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파에톤
  • 조회 수 2071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3년 1월 15일 15시 20분 등록

 출근하다 산으로 간 남자

(8천 미터 히말라야가 이 땅의 직장인에게 들려주는 사는 맛’)

 

 

프롤로그 (파에톤의)

1) 길을 거스르다 (오르기까지)

    - 밥보다 꿈

    - 현실보다 강해지기

    - 왜 오르는가? (나에게 ‘오르는 것’은 무엇인가?)

2) 무너진 곳에서 다시 일어서기 (시련과 숨죽임)

    - 으깨진 발목 조각 난 꿈 

    - 권위에 맞서는 자

    - 직장인의 잠재태는 자유인

3) 지친 일상 붉은 일탈 (히말라야 이야기)

    - 잠들기 전 가야 할 길

    - 나는 마치 웃는 듯 거칠게 호흡하고 있다

    - 히말라야를 걷는 법

4) 죽음의 지대 (히말라야에서 죽음이란)

    - 그 날, 그 자리, 그 사람 그리고 두려움

    - 고통에 대처하는 자세

    - 신의 선택, 죽여서 씻어낸다

 

5) 멈추어라 순간아 너 정말 아름답구나 (자유는 두려운가?)

    - 인간의 시간 신의 시간 그리고 직장인의 시간

    - 누가 삶을 비극이라 하는가

    - 생긴 대로 살아가기

6) 누구의 신화 속에 살고 있는가 (내 안의 행복을 깨우는 법)

    - 도대체 나는 누구란 말인가

    - 부끄러움과 부러움으로 돌아가는 바퀴

    - 젊어서 떠나라

7) 꿈을 좇아도 죽지 않는구나 (지금 행복하기)

    - 파괴적 전진에 절단 나는 작은 꿈들

    - 기본 3점의 자충수

    - 자일이 춤추는 거대한 바위

    - 나는 아무래도 산으로 가야겠다

  

에필로그 (나의 오지)

 

고세규 : 처음에는 2천몇백 할 때 웃었어요.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고. 다 듣고 난 다음에는 그 2천보다 0 하나 더 붙은 데서. 쉬운 일이 아니라 해서 진지하게 되었다. 이 책이 한 편의 특별한 이야기로 들리기에 충분하다. 대신 거리감이 있다. 소수는 열광할 수 있는데 다수를 위한 한계는 거리감 때문이다. 등반 전문가는 안 볼 것 같고, 일반인은 그게 얼마나 감동적인 이야기인지 미처 모를 수 있다. 거리감이 있어서 선택을 잘 안할 것 같은. 그 부분이 책으로 했을 때 독자들한테 찾아갈 때 걱정되는 부분이다. 처음에는 익숙한 것과의 결별 2013년판이 새롭게 나오나 했는데 조직 안에 계시는 상황이다. 그 경험을 통해 나의 일과 나의 꿈하고가 어떻게 결론적으로 가는지가 잘 모르겠다. 이 등반을 통한 변화, 등반을 통해 직장생활이 더 재미있어졌고, 활력 있어졌다, 꿈과 일이 공존할 수 있다는 건지? 구사부님의 책 <익숙한 것과의 결별>은 꿈을 찾아 나오라는 거였다. 실제로 책을 찾는 사람과의 거리감을 줄여주는 경험 & 나는 이것을 통해 어떻게 행복해졌나를 미리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한 편의 소설처럼 생각해서 등반하고 내려오거나 하면서 사색을 하는 거다. 헉헉거리면서 동상 걸렸는데 울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조직에서의 상황을 생각을 하는데, 그 꿈을 쫒아 변화를 시도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끄집어 내는 거다. 본인의 이야기만으로 설득하기에는 부족하니 거기 덧붙여서 역사 속 인물을 꺼낼 수 있다. 나무를 찾아간 사람, 직장을 버리고. 걷기를 향해 떠나간 사람 이런 식으로. 본인과 같이 삶에서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면서 새로운 숨을 만들어 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등반 과정에서, 연습장면에서, 인물들의 이야기, 동시대 인물, 역사 속 인물이 책 안에서 버무려지면서 본인의 이야기를 더 설득력 있게 해 줄 수 있다. 밥벌이를 바꾸라는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밥벌이에 대한 새로운 진화> 지난했던 과정, 여러 인물들 이야기 한 권으로 엮어내면 설득력 있는 책이 되지 않을까?

IP *.51.145.193

프로필 이미지
2013.01.16 00:28:14 *.37.122.77

꿈꾸는 직장인들이 공감할 만한 주제네요.

이 산을 넘으면 다음엔 어떤 산이 기다리고 있을지 기대됩니다!

면접여행이후로 만남의 기회가 없어 아쉽습니다.(다 저의 불찰ㅠㅠ)

프로필 이미지
2013.01.16 15:27:27 *.51.145.193

선배님~

항상 지켜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1.16 19:27:03 *.154.223.199

빨강색은 재용이 북리뷰할 때 '나의 생각'으로 쓰는 색이죠.

'내가 저자라면' '저자에 대해서'에도 꼭 재용식의 제목을 붙이던 그 실력이 목차의 매력적인 글귀들로 나타난 건 아닐지.

꿈을 쫒아 떠나라는 메세지 말고 다른 메세지를 재용의 책이 줄 수 있을 거라는 말씀이 기억에 남아요. 

잘 만져져서 똥통을 찬 직장인에게 멋진 바람이 되시리라 믿어요. 재용^^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2 책을 못써도 괜찮아, enjoy your dream! file [6] 콩두 2013.01.07 2478
1891 당신의 스피치 프레임은? file [1] 샐리올리브 2013.01.07 2159
1890 쌀과자#36_선택의 기준 [1] 서연 2013.01.07 2526
1889 경영을 창조 하라, 그 뜻을 경영의 구루에게 묻다. [2] 학이시습 2013.01.07 3106
1888 느끼고, 보고, 말하라! [1] [1] 세린 2013.01.07 2360
1887 자기애에서 벗어나 지혜로 나아가는 단계 [1] id: 깔리여신 2013.01.07 2361
1886 사람아, 두려워 마라. [1] 파에톤 2013.01.07 2681
1885 2013.1월 오프수업 file [1] 서연 2013.01.13 1996
1884 #2. 굴욕이 아니다. 생존이다. [1] 書元 2013.01.13 2114
1883 2013년 1월 오프수업 내용 [4] 한젤리타 2013.01.15 7171
1882 내가 쓰는 첫 책은 어떤 옷을 입고 나오게 될까? [2] 학이시습 2013.01.15 2132
1881 욕망은 이해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는 그 무엇 [1] id: 깔리여신 2013.01.15 5102
1880 2013년 1월 오프 '프리젠테이션 젠'과 '의식혁명' file [5] 샐리올리브 2013.01.15 2232
1879 1월 오프 수업 정리 _수학하는 세린 file [2] 세린 2013.01.15 3918
1878 신화야~~~~ 놀자! 놀자!^^ file [2] 콩두 2013.01.15 2501
1877 발표 자료 file [1] 레몬 2013.01.15 2549
» 발표 자료 [3] 파에톤 2013.01.15 2071
1875 논리적 스캔들, 루트2 file [8] [1] 세린 2013.01.20 11260
1874 위대한 기업 다 어디로 갔을까? [4] 학이시습 2013.01.20 2187
1873 소설가의 탄생 [6] 레몬 2013.01.21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