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에톤
- 조회 수 2071
- 댓글 수 3
- 추천 수 0
출근하다 산으로 간 남자
(8천 미터 히말라야가 이 땅의 직장인에게 들려주는 ‘사는 맛’)
프롤로그 (파에톤의 꿈)
1) 길을 거스르다 (오르기까지)
- 밥보다 꿈
- 현실보다 강해지기
- 왜 오르는가? (나에게 ‘오르는 것’은 무엇인가?)
2) 무너진 곳에서 다시 일어서기 (시련과 숨죽임)
- 으깨진 발목 조각 난 꿈
- 권위에 맞서는 자
- 직장인의 잠재태는 자유인
3) 지친 일상 붉은 일탈 (히말라야 이야기)
- 잠들기 전 가야 할 길
- 나는 마치 웃는 듯 거칠게 호흡하고 있다
- 히말라야를 걷는 법
4) 죽음의 지대 (히말라야에서 죽음이란)
- 그 날, 그 자리, 그 사람 그리고 두려움
- 고통에 대처하는 자세
- 신의 선택, 죽여서 씻어낸다
5) 멈추어라 순간아 너 정말 아름답구나 (자유는 두려운가?)
- 인간의 시간 신의 시간 그리고 직장인의 시간
- 누가 삶을 비극이라 하는가
- 생긴 대로 살아가기
6) 누구의 신화 속에 살고 있는가 (내 안의 행복을 깨우는 법)
- 도대체 나는 누구란 말인가
- 부끄러움과 부러움으로 돌아가는 바퀴
- 젊어서 떠나라
7) 꿈을 좇아도 죽지 않는구나 (지금 행복하기)
- 파괴적 전진에 절단 나는 작은 꿈들
- 기본 3점의 자충수
- 자일이 춤추는 거대한 바위
- 나는 아무래도 산으로 가야겠다
에필로그 (나의 오지)
고세규 : 처음에는 2천몇백 할 때 웃었어요.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고. 다 듣고 난 다음에는 그 2천보다 0 하나 더 붙은 데서. 쉬운 일이 아니라 해서 진지하게 되었다. 이 책이 한 편의 특별한 이야기로 들리기에 충분하다. 대신 거리감이 있다. 소수는 열광할 수 있는데 다수를 위한 한계는 거리감 때문이다. 등반 전문가는 안 볼 것 같고, 일반인은 그게 얼마나 감동적인 이야기인지 미처 모를 수 있다. 거리감이 있어서 선택을 잘 안할 것 같은. 그 부분이 책으로 했을 때 독자들한테 찾아갈 때 걱정되는 부분이다. 처음에는 익숙한 것과의 결별 2013년판이 새롭게 나오나 했는데 조직 안에 계시는 상황이다. 그 경험을 통해 나의 일과 나의 꿈하고가 어떻게 결론적으로 가는지가 잘 모르겠다. 이 등반을 통한 변화, 등반을 통해 직장생활이 더 재미있어졌고, 활력 있어졌다, 꿈과 일이 공존할 수 있다는 건지? 구사부님의 책 <익숙한 것과의 결별>은 꿈을 찾아 나오라는 거였다. 실제로 책을 찾는 사람과의 거리감을 줄여주는 경험 & 나는 이것을 통해 어떻게 행복해졌나를 미리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한 편의 소설처럼 생각해서 등반하고 내려오거나 하면서 사색을 하는 거다. 헉헉거리면서 동상 걸렸는데 울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조직에서의 상황을 생각을 하는데, 그 꿈을 쫒아 변화를 시도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끄집어 내는 거다. 본인의 이야기만으로 설득하기에는 부족하니 거기 덧붙여서 역사 속 인물을 꺼낼 수 있다. 나무를 찾아간 사람, 직장을 버리고. 걷기를 향해 떠나간 사람 이런 식으로. 본인과 같이 삶에서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면서 새로운 숨을 만들어 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등반 과정에서, 연습장면에서, 인물들의 이야기, 동시대 인물, 역사 속 인물이 책 안에서 버무려지면서 본인의 이야기를 더 설득력 있게 해 줄 수 있다. 밥벌이를 바꾸라는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밥벌이에 대한 새로운 진화> 지난했던 과정, 여러 인물들 이야기 한 권으로 엮어내면 설득력 있는 책이 되지 않을까?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892 |
책을 못써도 괜찮아, enjoy your dream! ![]() | 콩두 | 2013.01.07 | 2478 |
1891 |
당신의 스피치 프레임은? ![]() | 샐리올리브 | 2013.01.07 | 2159 |
1890 | 쌀과자#36_선택의 기준 [1] | 서연 | 2013.01.07 | 2526 |
1889 | 경영을 창조 하라, 그 뜻을 경영의 구루에게 묻다. [2] | 학이시습 | 2013.01.07 | 3106 |
1888 | 느끼고, 보고, 말하라! [1] [1] | 세린 | 2013.01.07 | 2360 |
1887 | 자기애에서 벗어나 지혜로 나아가는 단계 [1] | ![]() | 2013.01.07 | 2361 |
1886 | 사람아, 두려워 마라. [1] | 파에톤 | 2013.01.07 | 2681 |
1885 |
2013.1월 오프수업 ![]() | 서연 | 2013.01.13 | 1996 |
1884 | #2. 굴욕이 아니다. 생존이다. [1] | 書元 | 2013.01.13 | 2114 |
1883 | 2013년 1월 오프수업 내용 [4] | 한젤리타 | 2013.01.15 | 7171 |
1882 | 내가 쓰는 첫 책은 어떤 옷을 입고 나오게 될까? [2] | 학이시습 | 2013.01.15 | 2132 |
1881 | 욕망은 이해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는 그 무엇 [1] | ![]() | 2013.01.15 | 5102 |
1880 |
2013년 1월 오프 '프리젠테이션 젠'과 '의식혁명' ![]() | 샐리올리브 | 2013.01.15 | 2232 |
1879 |
1월 오프 수업 정리 _수학하는 세린 ![]() | 세린 | 2013.01.15 | 3918 |
1878 |
신화야~~~~ 놀자! 놀자!^^ ![]() | 콩두 | 2013.01.15 | 2501 |
1877 |
발표 자료 ![]() | 레몬 | 2013.01.15 | 2549 |
» | 발표 자료 [3] | 파에톤 | 2013.01.15 | 2071 |
1875 |
논리적 스캔들, 루트2 ![]() | 세린 | 2013.01.20 | 11260 |
1874 | 위대한 기업 다 어디로 갔을까? [4] | 학이시습 | 2013.01.20 | 2187 |
1873 | 소설가의 탄생 [6] | 레몬 | 2013.01.21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