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7월 31일 06시 32분 등록

이 아기는 그 옛날 어머니가 잉태하여
번갯불 번뜩이는 속에
때 아니게 나은 아이,
어머니는
벼락을 맞고 죽었네.
크로노스의 아들 제우스가
스스로의 허벅지를 째고
아기를 그 새로운 모태에 넣고
헤라의 눈을 피하기 위해
황금고리로 걸어 숨겼도다.

달이 차서 황소뿔이 난
신이 태어나자
아버지 신은 화환 대신
그의 머리에 뱀을 감았도다.

      - 에우리피데스, '박쿠스의 여신도들' 중에서

  테베의 왕녀 세멜레는 제우스가 사랑한 여인 중에서도 가장 불행한 여인입니다.   세멜레를 몹시 사랑한 제우스는 그녀의 부탁이면 무엇이든 들어 주겠노라고 약속했습니다.   세멜레는 천상의 왕이자 번개의 주인인 제우스의 찬란한 모습을 직접 보게 해달라고 졸랐습니다.  세멜레의 마음 속에 그런 생각이 들도록 주입시킨 것은 남편을 뺏긴 제우스의 아내 헤라였지요.   맹세를 거부할 수 없었던 제우스는 원래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그 엄청난 광휘를 견딜 수 없었던  세멜레는 불에 타 죽고 맙니다.   제우스는 출산이 임박한 아이를 빼내어 자신의 허벅지에 넣어 기르게 되지요.    그렇게 해서 인간 디오니소스는 어머니 세멜레와 함께 죽었다가 아버지 제우스의 허벅지에서  신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그래서 그를 '두 번 태어난 자', 즉 그리스어로 디티람보스라고 부릅니다.

  인간은 언젠가는 미지의 것, 헤아려 알 수 없는 힘든 것을 만나게 됩니다.   이것이 인간의 조건입니다.   이것이 삶의 슬픔입니다.   자기혁명은  거부하지 않고 그 슬픔을 받아들여 운명이 요구하는 것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이 위대한 순간에 우리는 신의 실재를 인식하게 됩니다.   이 순간 인간은 죽고 우리 속에 신이 태어납니다.  그래서 이렇게 외치게 합니다.   "모든 위대한 것은, 고통과 재액이 없이는 인간을 찾아오지 않는다"

20097316442538.png

당신,  삶의 슬픔에 지지마세요.  슬픔에 기쁨으로 응답할 때, 그 순간 우리는 다시 태어 납니다.

IP *.160.33.197

프로필 이미지
인생전략
2009.07.31 14:01:34 *.121.106.107
얼마 전 켐벨의 책 한 권을 읽었는데, "세상의 슬픔에 기쁜 마음으로 참여하라"는 말이 자주 나오더군요.
그 땐 이해가 잘 안되었는데, 이 편지를 보니 어느 정도 긍정하게 되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6 [월요편지 27] 세상엔 나를 도와주려는 사람들로 넘쳐난다 [1] 습관의 완성 2020.09.27 1018
715 [월요편지 28] 나의 성장은 안전지대 밖에서 이루어졌다 [1] 습관의 완성 2020.10.04 1511
714 [화요편지]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라곤 솔직해지는 것뿐이었다. file [4] 아난다 2020.10.06 1130
713 ‘월급쟁이’ 내려놓고 ‘산’으로 [1] 장재용 2020.10.06 1149
712 목요편지 - 테스형 [1] 운제 2020.10.08 922
711 [용기충전소] 한글날, 쉬어갑니다 file 김글리 2020.10.09 1035
710 [월요편지 29]직장에서 영어 동아리 2년 운영해 보니 습관의 완성 2020.10.11 1358
709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너무 빨리 찾아온 두번째 기회 file 알로하 2020.10.11 1325
708 [화요편지] 막막함이 설레임이 되기까지 file 아난다 2020.10.13 1074
707 산과의 첫 만남 [1] 장재용 2020.10.13 904
706 [용기충전소] 인생이 한 편의 이야기라면 [2] 김글리 2020.10.16 1079
70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두번째 공연, 미스코리아 화장, 성공적... file [2] 알로하 2020.10.18 1080
704 [월요편지 30] 도미노 효과, 성공이 쌓이는 비밀 file 습관의 완성 2020.10.18 1386
703 [화요편지] 바다를 '나는' 여인들 file 아난다 2020.10.19 1013
702 머리칼이 바람에 엉클어지며 산 속에서 장재용 2020.10.20 1365
701 목요편지 - 가을 시 [2] 운제 2020.10.22 1295
700 [용기충전소] 커밍아웃; 나는 000입니다 [4] 김글리 2020.10.23 1386
699 절망의 메커니즘 장재용 2020.10.23 1086
69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그 엄마에 그 딸들 file [2] 알로하 2020.10.25 1336
697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1] 안대를 벗어 주세요 습관의 완성 2020.10.25 1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