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8월 4일 18시 06분 등록

목요일에 떠날 여행(크로아시아&슬로베니아)을 위해 짐을 싸고 있다. 나에게는 나만의 짐 싸는 방법이 있다. 여행 일주일 전부터 드레스룸 한 구석에 여행 가방을 열어놓고 생각날 때마다 물건을 하나씩 던져 넣는 것이다. 그렇게 짐을 싸면 필요한 것을 빠뜨리는 일이 없고,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물건이라도 정말 필요한 것인지다시 한번 묻게 되어 가방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나는 원래 짐을 잘 싸는 사람이 아니었다. 이 정도 만이라도 짐을 잘 쌀 수 있기까지는 수많은 시행착오의 세월들이 있었다. 홍은택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을 읽다가 그가 나와 너무 비슷한 사람인 것을 알고 한참을 웃은 기억이 있다. 그는 짐 싸는 것이 그 사람의 취향과 성격을 발견하는 과정이라고 했다. 자전거여행 전문가들이 권하는 요령은 꼭 필요한 것만 싼 뒤, 거기서 딱 반을 빼놓으라는 것인데, 그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한다. 짐싸기로 보는 성격 테스트 결과 그는 나처럼 과단성이 없는 성격으로 나타났다. ‘그가 열거한 물건 목록 중에 몇몇 물건들이 재미있었다. 책 다섯 권, 자물쇠 두개, 비상 호루라기, 부싯돌, 나침반, 정수기... 그는 그 대목에 이렇게 적고 있다.

 

‘비상 호루라기를 불어 구조를 요청하고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부싯돌을 비벼서 불을 피우고 시냇물을 정수해 마셔야 할 상황이 과연 올까 싶기는 했다. 더군다나 책을 다섯 권이나 읽을 만큼 여유가 있을까. 그 전의 경험에 비추어보면 여행에 가져간 책을 끝까지 읽은 적이 없다. 이게 필요할까 의심이 들면 무조건 빼놓고 가라는 게 경험자들의 조언이지만 나는 그것들을 끝까지 빼지 못했다. 그 결과 자전거 횡단 여행 역사상 둘째가라면 서러울 엄청난 무게의 짐이 탄생했다. 거의 40킬로에 육박하는 무게였다.

 

어쩌면 그게 그의 삶의 무게인지 모른다. 사람들은 저마다 삶의 무게를 지고 산다. 집착이 많을수록 삶도 무겁다. 그래서 짐의 무게는 그 사람의 삶의 무게라고 할 수 있다. 짐을 잘 쌀 수 있다는 것은 그 만큼 자유롭다는 것이다. 필요한 온갖 것을 다 들고 떠나야 안심이 되는 사람들처럼 우리 역시 버리지 못하는 어떤 집착 때문에 삶이 한없이 무겁고 복잡한 건 아닌지 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늘 말한다, 인생은 나그네요, 빈 손으로 왔다가 빈 손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그러나 그 말의 의미를 얼마나 삶에 녹이며 살고 있는지는 모를 일이다.

 

이번 주는 내가 진행하고 있는 6기 모닝페이저들의 다섯 번째 모임이 있는 날이다. 공교롭게도 이번 주 과제(weekly tasks) 중에 옷장 정리하기가 있다. 정리한 옷 중에 서로 나눠 입으면 좋을 옷들을 모임에 가져오기로 했다. 이미 경험이 있는 그들은 서로 나누어 입는 것의 즐거움을 알고 있다. 비운 곳에는 새로운 것이 채워진다는 것도 그들은 알고 있다. 나 역시 정리할 때마다 망설여지는 옷들을 과감히 버리는 희열 때문에 벌써 여러 번 옷장을 정리했다. 옷장이 날씬해지는 만큼 삶도 가벼워졌다.

 

나의 버리는 연습은 모닝페이지 이전에 캐런 킹스턴이 쓴 <아무 것도 못 버리는 사람>이라는 책에서 시작되었다. 그 책을 읽고 나는 둔기로 머리를 심하게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무엇을 지독히도 못버리는 나는 이전의 묵은 관계와 기억, 심지어 상처마저도 추억이란 이름으로 다 싸안고 있었다. 그 짐들이 내 에너지를 얼마나 앗아가는지를 알지 못한 채…. 못 버리고 싸 안고 있는 과거의 짐들 때문에 내 삶이 앞 뒤 사방 얼마나 막혀있는지, 훤히 보였다. 그 책은 청산이라는 단어를 대학 이후 내게 다시 돌려주었다. 

 

다행히 나는 점점 가벼워지고 있다. 더 늦기 전에 버리는 연습을 시작하게 되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올 한 해 나는 더 많이 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종국에는 다 버려도 크게 아쉬울 게 없을 만큼 내 삶이 가벼워지기를!


DSCN9945.JPG
옷장을 정리하니 이 만큼 다시 버릴 게 나옵니다.
벌써 4번째입니다.



IP *.248.75.36

프로필 이미지
최주영
2009.08.05 07:31:30 *.120.80.243
'양손에 모두 쥐고 안놓겠다니, 해줄 말이 없네"
꿈벗 여행에서 구본형 사부께서 나에게 해 주신 말씀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요즘 저에게 하나의 화두가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못버리는 사람>.. 아직은 제 이름이기도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정명윤
2009.08.07 09:00:27 *.20.125.86
오늘 나는 너무 많이 먹었습니다.  몸이 무겁군요~~~. 너무 쌓이면 버리기(빼기) 힘이 들터인데.....................,조금 덜 채워야 겠습니다.   잘 읽고 갑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6 [월요편지 27] 세상엔 나를 도와주려는 사람들로 넘쳐난다 [1] 습관의 완성 2020.09.27 1019
715 [월요편지 28] 나의 성장은 안전지대 밖에서 이루어졌다 [1] 습관의 완성 2020.10.04 1512
714 [화요편지]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라곤 솔직해지는 것뿐이었다. file [4] 아난다 2020.10.06 1132
713 ‘월급쟁이’ 내려놓고 ‘산’으로 [1] 장재용 2020.10.06 1149
712 목요편지 - 테스형 [1] 운제 2020.10.08 923
711 [용기충전소] 한글날, 쉬어갑니다 file 김글리 2020.10.09 1035
710 [월요편지 29]직장에서 영어 동아리 2년 운영해 보니 습관의 완성 2020.10.11 1358
709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너무 빨리 찾아온 두번째 기회 file 알로하 2020.10.11 1326
708 [화요편지] 막막함이 설레임이 되기까지 file 아난다 2020.10.13 1075
707 산과의 첫 만남 [1] 장재용 2020.10.13 904
706 [용기충전소] 인생이 한 편의 이야기라면 [2] 김글리 2020.10.16 1080
70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두번째 공연, 미스코리아 화장, 성공적... file [2] 알로하 2020.10.18 1080
704 [월요편지 30] 도미노 효과, 성공이 쌓이는 비밀 file 습관의 완성 2020.10.18 1387
703 [화요편지] 바다를 '나는' 여인들 file 아난다 2020.10.19 1015
702 머리칼이 바람에 엉클어지며 산 속에서 장재용 2020.10.20 1367
701 목요편지 - 가을 시 [2] 운제 2020.10.22 1295
700 [용기충전소] 커밍아웃; 나는 000입니다 [4] 김글리 2020.10.23 1387
699 절망의 메커니즘 장재용 2020.10.23 1086
69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그 엄마에 그 딸들 file [2] 알로하 2020.10.25 1336
697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1] 안대를 벗어 주세요 습관의 완성 2020.10.25 1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