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신종윤
  • 조회 수 3357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9년 8월 10일 11시 00분 등록

찍는 법을 알면 사진사.
무엇을 찍어야 할 지 알게 되면 사진작가.
그 사이를 채우는 것은 무수한 셧팅.
– 구본형 –

모처럼 서점 나들이에 나섰다가 계획에 없던 책을 한 권 들고 돌아왔습니다. 사두고 읽지 못한 책이 잔뜩 쌓여있는 걸 생각하면 참아야 했지만 “우연한 걸작(The Accidental Masterpiece)”이라는 책제목은 뿌리칠 수 없는 매력으로 제 마음을 사로 잡았습니다. 집으로 돌아와서 펼쳐 든 책은 중독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만큼 자신의 주제에 몰두했던 예술가들의 이야기로 가득했습니다.

프랑스의 화가 피에르 보나르는 1893년의 어느 날, 파리의 거리를 걷다가 전차에서 내리는 작고 매력적인 여자를 보았습니다. 150센티미터가 조금 넘는 키에 가냘픈 새를 연상시키는 그녀의 이름은 마르트 드 멜리니였습니다. 그날, 보나르는 그녀의 직장까지 따라갔습니다. 그 우연한 만남 이후로 마르트는 보나르의 삶과 작품에 결정적인 사람이 되었습니다.

보나르는 반세기 동안을 마르트와 함께 하며 그녀를 그렸습니다. 신경증이 있고, 사람들을 싫어하는 데다가 질투가 심하고 건강염려증까지 있었던 마르트로 인해 그들의 삶은 고립되고 외로웠지만 그들은 자신들만의 세상을 가꾸어나갔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그런 삶을 살았기에 보나르는 황홀한 내면을 그려내는 화가가 될 수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보나르가 마르트를 만난 것은 우연이었지만 그 만남을 시작으로 평생 400점이나 되는 그림에 그녀를 그려낸 것은 그의 열정과 헌신 그리고 사랑이었습니다. 나비파에 속했던 보나르의 작품 세계에 대해 피카소는 혹평을 퍼부었습니다. 그리고 일부 사람들은 공처가라며 그의 삶을 조롱했습니다. 그러나 “아름다움은 행복을 약속해 준다.”는 스탕달의 말처럼 그들 내부의 삶은 겉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행복하고 아름다웠습니다.

이 책에는 보나르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다양한 예술가들의 삶이 담겨있습니다. 우연을 걸작으로 빚어낸 예술가들의 삶을 엿보는 즐거움에 푹푹 찌는 한여름 더위도 잠시나마 힘을 잃어버렸습니다. 책의 저자인 마이클 키멜만은 “치열하게 사는 것은 인간이 가진 기본적인 욕망이고 예술적인 삶에선 필수적이다.”라고 말합니다. 결국 그는 우연히 탄생하는 걸작은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요?


 

IP *.96.12.130

프로필 이미지
김주한
2009.08.10 13:45:09 *.174.66.219
무엇을 찍어야 할 지 알게되면 사진작가.. 역시 사부님의 통찰이 빛나는 한마디입니다.
제 스스로를 작가라 쉽게 자부하지 못하는 이유가 그것이었나 봅니다.
이제 작가로 가는 길이 어디인지 알게 되었네요.
'무엇'을 정하고 '무엇'에 대한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아야 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정명윤
2009.08.11 09:26:47 *.20.125.86
저도 읽지 못한 책이 수두룩 인데........인터넷 서점을 쇼핑하다 마음에 든 책이 있으면 그냥 클릭하고 구매하고 맙니다. 그냥 목차만 읽는 것 만으로도 만원 이상의 가치를 느끼기 땜에 그런것 같아요~~~. 오늘도 글 잘 읽고 가옵니다.  그리고  오늘 나도 조그만 우연한 걸작 하나를 만들어 볼려 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36 목요편지 - 목련이 피었어요 운제 2020.03.19 916
3635 목요편지 - 생활의 발견 운제 2020.07.30 916
3634 함께한 기억(4/14 마음편지) [1] 어니언 2022.04.21 916
3633 라디오 생방송 출연 후기 [1] 제산 2020.01.19 917
3632 소점포 창업, 소박하고 디테일한 그림으로, [14] 이철민 2018.02.08 918
3631 신화는 처음이시죠? - 신화 작가편 제산 2019.09.01 918
3630 새 책 <중1 독서습관>을 소개합니다. 제산 2019.12.16 918
3629 지우개 하나 있으신가요 -창- 2017.06.25 919
3628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04] 법구경 [2] 제산 2018.06.11 919
3627 안동 가을 햇살 속 관계의 행복을 느끼며(에코독서방 연합 모임) [3] 차칸양 2018.11.06 919
3626 [화요편지] 나의 기쁨과 세상의 기쁨이 만나는 현장, ‘엄마의 시간통장’ file [1] 아난다 2019.05.14 919
3625 철학은 처음이시죠? - 동양철학 제산 2019.07.28 919
3624 목요편지 - 새해 새 마음 운제 2020.01.03 919
3623 [수요편지] 월급쟁이 금욕주의자 장재용 2020.01.14 919
3622 [월요편지 89] 자녀 습관에 관한 부모의 흔한 착각 [1] 습관의 완성 2022.01.09 919
3621 [월요편지 96] 무엇을 하든 2년 이상 지속하면 생기는 일 [1] 습관의 완성 2022.02.20 919
3620 [수요편지] 깨달음은 궁극인가 과정인가 [1] 불씨 2022.12.21 919
3619 [용기충전소] 도전의 가장 큰 적은 [2] 김글리 2020.07.09 920
3618 [용기충전소] 멀티페르소나, 팔색조 말고 십색조라 불러주오 김글리 2020.08.06 920
3617 백열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아픈 손가락 [2] 재키제동 2017.07.21 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