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규
- 조회 수 3457
- 댓글 수 15
- 추천 수 0
얼마 전 괴산군의 한 농부가 밭에서 옥수수를 따다가 말벌에 쏘여 사망한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습니다. 뱀에게 물려 사망하는 사람보다 벌에게 쏘여 목숨을 잃는 사람이 훨씬 많다는 통계가 말하듯, 벌은 인간에게 확실히 위험한 존재입니다. 특히 말벌과의 벌들은 대부분 어른의 새끼손가락 반 정도의 크기로, 사람에게도 무척 위협적인 벌입니다. 말벌과의 많은 벌들은 숲 혹은 숲 언저리에 자신들의 집을 짓습니다. 아마 애벌레 같은 동물을 잡아먹는 생활사를 발전시켜왔기 때문에 먹이가 풍부한 숲의 경계지대가 좋은 거처가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전의 편지에도 담았듯, 내가 사는 이곳 산방 곳곳에도 말벌과의 벌들이 집을 지어 함께 살고 있습니다. 대충 세어보아도 다섯 채가 넘는 집입니다. 그 중에는 그 집 자체가 정말 경이롭고 예술적인 건축물이라는 생각을 갖게 하는 공모양의 말벌 집이 두어 채, 넓적하게 노출된 육각형의 바다리나 등검정쌍살벌의 집이 세 채 정도 있습니다. 네 채는 오두막 처마에 지었고, 한 채는 안방 바깥쪽 창틀에 지었습니다. 안방 바깥쪽 창틀의 벌집은 검은등쌍살벌의 집인데, 이제 그 집의 길이가 약 25Cm에 달할 정도로 커진 상태입니다. 뜨거운 햇살이 드리우는 7월과 8월의 숲은 확실히 모든 생명의 삶이 한 해의 정점을 향하는 시간인가 봅니다. 벌들의 사회 또한 왕성한 번식과 팽창의 시간입니다. 이제 안방 앞을 지날 때면 녀석들의 존재감을 확연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얼마 전, 나는 그 검은등쌍살벌에게 뒷 목덜미를 쏘였습니다. 내가 그들을 해하려 한 것도 아니었습니다. 그저 고개를 숙이고 녀석들 집 근처의 마당에 배수 문제를 살피고 있었을 뿐입니다. 몇 마리로부터 느닷없는 공격을 받았습니다. 위력은 대단했습니다. 나도 모르게 비명을 질렀고, 그 자리에 주저앉고 말았습니다. 붕~ 하는 날개짓의 소리도 대단했지만, 벌에 쏘인 자리에 느껴지는 통증이 마치 그곳에 송곳처럼 날카로운 쇳조각이 박힌 듯한 느낌이었기 때문입니다. 그 통증은 길게 남았습니다.
정신을 차리고 난 뒤 나는 저들을 응징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문제를 놓고 고민했습니다. 마당에 있는 토종벌을 관리할 때 쓰는 모자와 보호망을 착용하고 두툼한 옷으로 중무장을 한 뒤, 소위 ‘토치 램프’라 부르는 소형 화염방사기로 다 그을려 씨를 말릴까, 아니면 양파 망으로 뒤집어 씌워 따낸 뒤 확 묻어버릴까…… 여태 함께 살겠다는 마음으로 불편함을 무릅쓰고 최대한 그들의 공간을 그저 지켜보기만 했던 마음이 분노로 이글댔습니다. 그러나 고민은 길게 가지 않았습니다. 그냥 함께 살기로 결정했습니다. 저들의 공격이 나에 대한 두려움, 아니 자신들의 생존에 대한 두려움에 근원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자연에 살면서 더 확실하게 알게 된 진실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삶이란 것이 본래 위험한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 위험은 늘 주변에 존재합니다. 자연 속에서는 온갖 야생의 것이 위험이고, 도시는 한편 다른 종류의 수많은 사고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곳이기도 합니다. 위험은 늘 두 갈래의 방향을 자극합니다. 움츠려 들게 하거나 공격하게 하거나. 두 갈래 중에 한 갈래를 선택하는 것은 쉬운 일입니다. 그러나 그 두 갈래 속에서는 자기다운 삶을 실현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나는 되도록 위험 너머를 보는 쪽을 선택하고자 애쓰고 있습니다. 말벌 없이는 이 숲도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에 나는 그들과 여전히 더불어 살기를 선택했습니다. 그대는 어떠신지요? 상존하는 위험을 어떻게 다루시는지요? 어느 쪽을 선택하시는지요?

위험~~? 늘~두려운 존재이지요..............., 외부적 위험도 위험하지만 내부적 위험이 더 위험한 것 같네요~~.내 마음이 약해지는 위험이 찾아 올 때 내 정신을 일으켜 세우고 반듯하게 해 주는 그 무엇~~~~~~.??? 그 것은 제주의 자연(오름)과 책 읽기 입니다. 김용규님의 산방생활과 그 주변 다른 모든것을 응원합니다.

위험을 옆에 두려는 결정은 현재의 제 그릇으로는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일단, 마음이 불편하거든요.
위험하지만 벌(또는 위험을 주는 그 무엇)이 있음으로 해서 숲이 있을수 있다는 큰 그림을
온전히 이해하고 받아들여 위험이라는 두려움을 넘을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저같이 머리로 받아들여 불완전하기 이를데 없는 이성으로 판단하려는 중생들에겐
넘기 힘든 벽이네요.
형님의 용기있는 결정이 벌들의 마음까지도 공명시킬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니면 계속 보호망을 쓰고 사셔야 할지도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377 |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 어니언 | 2024.12.26 | 339 |
4376 |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 불씨 | 2025.01.08 | 403 |
4375 | [수요편지] 삶과 죽음, 그 사이 [1] | 불씨 | 2025.02.19 | 409 |
4374 | [수요편지] 발심 [2] | 불씨 | 2024.12.18 | 432 |
4373 | 엄마, 자신, 균형 [1] | 어니언 | 2024.12.05 | 453 |
4372 |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 어니언 | 2024.12.19 | 503 |
4371 |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 어니언 | 2024.10.24 | 569 |
4370 | [수요편지] 언성 히어로 | 불씨 | 2024.10.30 | 664 |
4369 | [목요편지] 두 개의 시선 [1] | 어니언 | 2024.09.05 | 675 |
4368 | [수요편지] 내려놓아야 할 것들 [1] | 불씨 | 2024.10.23 | 693 |
4367 |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 에움길~ | 2024.08.20 | 696 |
4366 | 가족이 된다는 것 | 어니언 | 2024.10.31 | 698 |
4365 | [수요편지] 타르 한 통에 들어간 꿀 한 숟가락 | 불씨 | 2024.09.11 | 706 |
4364 | [수요편지] 다른 의견을 가질 권리 [1] | 불씨 | 2024.08.28 | 709 |
4363 | [수요편지] 레거시의 이유, 뉴페이스의 이유 | 불씨 | 2024.10.02 | 717 |
4362 | 관계라는 불씨 [2] | 어니언 | 2024.12.12 | 717 |
4361 |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 어니언 | 2024.08.22 | 730 |
4360 |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 불씨 | 2024.08.21 | 737 |
4359 | 며느리 개구리도 행복한 명절 | 어니언 | 2024.09.12 | 745 |
4358 | [수요편지] 마음의 뺄셈 | 불씨 | 2024.10.16 | 7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