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8월 21일 07시 10분 등록



   "불행한 이번 전쟁의 근본 원인은 파리스를 낳은 어머니에게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아들을 어려서 죽이지 않았기 때문에 반딧불만한 불씨가 모든 것을 태우게 한 그 아버지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파리스는 세 여신의 아름다움을 품평하는 판관이 되었지요.  아테나는 트로이인이 헬라스(그리스)를 정복하게 해 주겠다고 했고, 헤라는 아시아와 유럽을 다스리는 왕으로 만들어 주겠다고 했습니다. 아프로디테는 내 용모를 칭찬한 다음 나를 파리스에게 주겠다고 했습니다...(파리스는 나를 선택했기 때문에 아프로디테는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 되었지요).

  내가 파리스의 아내가 된 것은 헬라스에게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그리스는 트로이의 공격을 받아 정복되지 않아도 되었으니까요. 그 대신 나는 아름다움으로 팔려 이런 비참한 꼴이 되었습니다. 화환을 받고 칭찬을 받아아야할 공을 세우고도 그로 인해 도리어 이렇게 비방과 책망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

- 에우리피데스의 '트로이의 여인들' 중에서

   서양 최고의 미인은 아마 헬레나일 것입니다.   그녀는 ‘배 천 척을 띄우게 할 만한 미모’ 였다지요.   이 이야기는 그리스군이 트로이를 함락한 후, 그 전쟁의 원인이 되었던 헬레나를 잡아 전남편인 메넬라오스 앞으로 끌고 왔을 때,  헬레나가 메넬라오스에게 자신의 무죄와 결백을 주장하는 대사입니다.   메넬라오스는 결국 아름다운 헬레네를 죽이지 못합니다.   희화된 얼간이 메넬라오스는 바람나 딴 사내를 따라 도주하고 수 만명의 장정을 싸움터에서 죽게 한 부정한 아내 헬레나를 데리고 스파르타로 의기양양하게 귀환합니다. 위대한 전리품을 되찾아서 말입니다.

20098217412062.png

  그리스의 눈먼 시인 호메로스는 '죄악에는 허다한 도구들이 있지만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죄악은 거짓말'이라는 말합니다. 쇼펜하우어는 '거짓은 여자의 본능'이라고 몰아 부칩니다.   자연은 사자에게 발톱과 이빨을 주고, 소에게는 뿔을 주고,   오징어에게는 먹물을 준 것 처럼,   여자에게는 자기 방어를 위해 거짓말하는 힘을 주었다고 여자들이 미워할 말을 골라했군요.   그는 거짓으로 이골이 난 교활한 남자들을 보지 못했던 모양이지요?   그러나 헬레네의 경우에는 딱 맞는 말처럼 들립니다.

그러나 거짓말에 대하여 가장 훌륭한 말을 한 사람은 아마 톨스토이가 아닌가 합니다. 그가 이렇게 말했군요. "남에게 한 거짓말은 자신에 대한 거짓말 보다 중대하지 않다.   남에게 한 거짓말은 즉흥적일 수도 있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스로에게 한 거짓말은 진리에 대한 배반이며, 인생의 요구에 대한 배신이다."

   자기혁명은 자신에 대한 거짓말을 몰아내는 것입니다.    인생이 내게 요구한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지요.
인생이 당신에게 요구한 것, 그것이 무엇인지요 ?

IP *.160.33.197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09.08.21 12:19:19 *.48.42.224
그런 것 같습니다. 세상은 다 속일 수 있어도 하늘 아래 제 진심만큼은 감출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아주 오래, 그것도 성공적으로 잘 감춰왔다고 생각했던 하나의 몸 동작이
이번 여행 중 갑자기 터져나왔을 때, 전 무척이나 당황했고 그런 제가 신기하기도 하였습니다.

제 삶에 스며드는 진실의 기운..
이것이 아마 이번 여행에서 제가 길어올린 가장 빛나는 보석이 아닐까 싶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6 얼마나 재미있으려고 그리 심각한가 장재용 2020.09.01 1336
735 목요편지 - 태풍이 지나간 뒤 운제 2020.09.03 882
734 [용기충전소] 흔들림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김글리 2020.09.03 1583
73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댄스 머스트 고 온 (Dance must go on)… file [2] 알로하 2020.09.06 921
732 [월요편지 24] 야옹 거리며 우는 고양이는 쥐를 잡을 수 없다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9.06 1632
731 [화요편지]제주의 첫인사, You're ok! file 아난다 2020.09.08 1161
730 익어가는 수박을 위한 변증법 [2] 장재용 2020.09.08 1062
729 [용기충전소] 100일동안 매일쓰면 일어나는 일 [2] 김글리 2020.09.11 1235
72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댄스 머스트 고 온(Dance must go on)... 2 file 알로하 2020.09.13 1046
727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5]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2가지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9.14 949
726 [화요편지]세상에서 오직 나만이 그릴 수 있는 그림 file [2] 아난다 2020.09.15 1118
725 모든 게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그대에게 [1] 장재용 2020.09.16 1063
724 [용기충전소] 예술은 00 [1] 김글리 2020.09.17 945
72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해피 엔딩. 그리고 다시 시작 file [2] 알로하 2020.09.20 1035
722 [월요편지 26] 중소기업 다니던 내가 해외 MBA를 통해 얻은 것과 잃은 것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9.20 1486
721 [화요편지] 제주 세화해변 바위틈에서 만난 소라게에게 file 아난다 2020.09.22 1082
720 월급쟁이 무기력 장재용 2020.09.22 1143
719 목요편지- 아! 가을인가 운제 2020.09.24 974
718 [용기충전소] 새로운 변화가 필요할 때 [2] 김글리 2020.09.25 973
71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세상의 필요와 나의 꿈이 만나는 곳 file 알로하 2020.09.27 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