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999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09년 8월 27일 00시 11분 등록

그대가 외로움이라 부르는 것에 대하여

IMG_0353.jpg
마당에 스승님 선물하신 배롱나무 꽃잔치 길게 열고 있습니다.
저들의 꽃잔치가 긴 까닭은 혹 저들의 외로운 겨울이 길었기 때문일까요?

 

우리가 이렇게 썰물처럼 떠나고 나면 한동안 외로우시겠어요! 괜스레 미안해서 어쩌죠?”

산방을 찾아와 한참을 노닐던 그대가 어둠 속으로 떠나면서 나를 염려하여 두고 가신 말입니다. 그대의 배려심이 얼마나 따뜻한지요. 하지만 염려하지 마세요. 나는 홀로 있는 시간 때문에 외롭지는 않습니다.

 

외로움은 불통 속에서 오는 것, 많은 이들은 뜨거운 군중 속에 있으면서도 종종 얼마나 차가운 고독을 껴안고 사는지요! 긴 시간 애쓴 탓일까요? 나는 이제 나 자신을 만나 소통하는 일에는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다만, 점점 더 허구적이고 자본적인 가치만을 맹신하는 방향으로 내닫는 세상과 대면하기가 버거울 뿐입니다. 세상의 언어로부터 점점 멀어져 내 귀에 들리지 않는 말들이 많아지는 날도 내게는 외로운 날, 여전히 숲 속 다른 생명들의 언어를 알아차리지 못해 자연 앞에 무도해지는 날들도 외로운 날입니다.

 

물론 그대가 염려했던 나의 외로움은 텅 빈 공간 혼자 있어 맞닥뜨려야 하는 고독감이었겠지요? 하지만 지금 우리에게는 바로 그러한 종류의 외로움이 부족한 것 아닐지요? 어쩌면 그대가 외로움이라 부르는 그것이야 말로 우리를 가장 충일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시간이기 쉬우니까요.

 

세상에는 요즘 외로움 없이 쓰여진 노래가 적지 않습니다. 고독이 주는 통증을 거치지 않은 사유 또한 많아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묻지 않고 허구적이고 수탈적인 시류를 쫓아 그것을 더욱 자극하는 미각에 치중하는 이야기도 넘쳐나고 있습니다. 발가벗은 채 스스로를 대면하는 시간을 갖지 않고 시류와 기교를 쫓아 나오는 언어와 노래와 전략과 사랑을 나는 믿지 못합니다.

 

무엇인가 쓰러지고서야 봄이 온다는 시인의 말처럼, 우리의 삶 또한 진정 외롭고 나서야 가득 차오르는 것이 아닐지요? 실로 그대가 외로움이라 부르는 그것 앞에 나는 기꺼이 쓰러집니다. 그렇게 쓰러지고 나서야 스러지지 않는 나로 자란다는 것을 믿기 때문입니다. 한 주에 한 번 정도 그대의 삶에도 외로움으로 쓰러지는 시간이 있기를 바랍니다. 벌들의 언어에 공감하지 못해 외로운 날, 백오산방에서 김용규 드립니다.

IP *.229.189.83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09.08.27 10:53:44 *.248.91.49
크로아티아에서 주소를 외우지 못해 보내지 못했던 엽서가
<대한민국 김용규>로도 그곳 행복 숲으로 찾아가는 날
  
         겨울을 이기고 사랑은
         봄을 기다릴 줄 안다.
         기다려 다시 사랑은 
         불모의 땅을 파헤쳐

          제 뼈를 갈아 재로 뿌리고
          천년을 두고 오늘
          봄의 언덕에
          한 그루 나무를 심을 줄 안다.
 
           사랑은
           가을을 끝낸 들녁에 서서
           사과 하나 둘로 쪼개
            나눠가질 줄 안다.  

           너와 나와 우리가
           한 별을 우러러보며.   -김남주 -     이렇게 써서 보내고 싶습니다.


         창 밖에  배롱나무가 참 곱게 피었군요.    
프로필 이미지
김주한
2009.08.27 21:39:20 *.174.66.219
여전히 벌들과는 불통상태로군요 ^^ 저도 무서워서 못가겠습니다.
도시나 시골이나 소통의 부재때문에 민중이 시련을 겪는것은 매한가지로군요..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9.08.28 08:12:47 *.64.107.166
비워야 채워지는 역설을 어렴풋이 이해할 나이가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혼자 있기 때문에 외롭운 것은 아니라는 말씀 그리고 여럿이 있다고 해서 외롭지 않은 것도 아니라는 말씀 10%쯤 이해할 나이가 되었나 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16 토종으로 플래그십 브랜드를 키워라 [2] 이철민 2017.07.27 921
3615 전환기가 다가온다 [2] 어니언 2022.01.06 921
3614 [수요편지] 새해 진심을 다하겠습니다! [1] 불씨 2023.01.03 921
3613 아들을 군대에 보내며 [3] 차칸양 2018.08.21 922
3612 [용기충전소] 모난 돌이라면 김글리 2020.04.16 922
3611 목요편지 - 계절의 여왕 5월 운제 2020.05.07 922
3610 [수요편지 11- 무의식의 춤] [4] 수희향 2017.08.09 923
3609 자신에게 냉정한 통찰력을 발휘하라 [2] 이철민 2017.10.12 923
3608 [금욜편지 78- 사십 대, 인생의 중립지대] [6] 수희향 2019.03.01 923
3607 저의 전성기는 바로 지금입니다. [1] 어니언 2023.01.12 923
3606 백스물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열혈 엄마 모드 재키제동 2017.11.03 924
3605 [금욜편지 58-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8번 골목대장- 특성] file 수희향 2018.10.12 924
3604 목요편지 - 테스형 [1] 운제 2020.10.08 924
3603 화요편지 - 고양이는 고마웠어요 [1] 종종 2022.10.03 924
3602 백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종강 재키제동 2017.06.09 925
3601 [금욜편지 61-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1번 완벽주의자- 특성] file 수희향 2018.11.02 925
3600 [화요편지] 스스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자신을 받아들이기로 합니다. 아난다 2019.12.18 925
3599 [일상에 스민 문학] - 히가시노 게이고 <공허한 십자가> 정재엽 2018.01.17 926
3598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아홉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1.04 926
3597 [금욜편지 113- 책쓰기는 첫 문장이다] 수희향 2019.11.22 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