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8월 28일 05시 12분 등록

"아아, 원통하구나. 이것이 수많은 불행 중의 마지막 불행이구나.   불타오르는 고국을 등지고 떠나가야하다니.   늙은 몸이라 비록 발걸음은 떨릴지라도 비운의 조국에 마지막 고별인사를 하러가자.   지난 날 아시아의 백성을 거느리고 우뚝 솟았던 트로이가 이제 곧 그 영광의 이름을 잃어야 한다.   적들은 성에 불을 지르고 우리를 종으로 삼아 멀리 떨어진 곳으로 데려가려한다.    오오, 신들이시여,   그러나 이제 신을 부른 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지금껏 수없이 그 이름을 부르며 기도했건만 일찍이 들어 준 적이 없는 신들이 아니었던가.   불속으로 뛰어들자.   조국과 더불어 타 죽는다면 나로서 그 보다 더한 행복은 없다. "

                                                                                                                - 에우리피데스, '트로이의 여인들' 중에서

  토로이성이 불타고 무너지는 날, 트로이의 늙은 왕비 헤카베의 절규입니다.   오딧세우스는 그녀를 전리품으로 삼아 종으로 끌고 가려 합니다.   그녀는 트로이 제일의 용장 헥토르의 어머니이고,  헬레나를 데리고 옴으로써 트로이 전쟁의 비극을 만들어 낸 파리스의 어머니이기도 합니다.   아폴론이 사랑했지만 그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아 '늘 맞는 신탁을 말하지만 아무도 믿어주지 않는' 비운의 사제로  결국  비극적 최후를 맞게 되는 카산드라의 어머니이기도 합니다.    그녀는  마음 속에 신을 잃고 맙니다.

'트로이의 여인들'은 오늘 날 전해지는 그리스 비극 30여편 가운데서도 구원은 어디에도 없는 철저한 절망을 다룹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작품을 '가장 비극적'인 것으로 평했습니다.    패전국 트로이의 여인들은 포로가 되어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불행이 실제로 행해지자 더 이상 '불행에 대한 두려움조차 모두 사라진 일종의 평화, 아니 오히려 영광이라고 부를 수 있는 알 수 없는 괴이한 아름다움' 속에  놓이게 됩니다.    실제로 이 작품의 정조(情調)는 절망적으로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여기서 끝나지만 신화는 결코 여기서 끝나지 않고 이어집니다.    승전한 그리스군의 총사령관인 아가멤논은 카산드라를 전리품으로 데리고 당당히 귀환하지만, 귀국하는 첫날 아내와 그녀의 정부에 의해 목욕탕에서 죽임을 당합니다.   반면 헥토르에 이어 트로이 두 번 째 용사인 아이네아스는 트로이 유민을 이끌고 이탈리아로 건너가 로마의 시조가 됩니다. 트로이가 로마로 부활하는 것이지요.

20098285397328.png

   구원은 우리 안에 신성한 것을 되찾는 것입니다.     자기혁명은 새처럼 알을 깨고 나오는 것입니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하고,   알에서 깬 새는  신에게로 날아' 갑니다.     그 신의 이름은 누구여도 좋습니다.  그러나 그 신은 반드시 우리 안에 신성하게 거주해야합니다.  

IP *.160.33.197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09.08.28 12:16:13 *.248.91.49
선생님의 그림에서는 언제나 노래소리가 들려요.
그래서 눈으로도 듣게되나 봅니다.


.
프로필 이미지
김현철
2009.08.29 09:25:26 *.32.165.40
오늘 글을 읽으니,
이외수 씨가 '신이시여 대한민국을 버리세요' 라는 말이 생각이 납니다...

절망적 현실속에서, 희망을 놓지않는 힘.

좋은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凡海
2009.08.29 13:07:40 *.248.91.49

헤카베와 딸 카산드라는 포로가 되어 그리스로 끌려갔다.

아킬레우스가 사랑한 적이 있었던 다른 한 딸 폴릭세네는 그의 사후 망령의 요구에 따라
그리스군에 의하여 그의 묘 앞에서 희생제물로 바쳐졌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6 얼마나 재미있으려고 그리 심각한가 장재용 2020.09.01 1343
735 목요편지 - 태풍이 지나간 뒤 운제 2020.09.03 890
734 [용기충전소] 흔들림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김글리 2020.09.03 1585
73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댄스 머스트 고 온 (Dance must go on)… file [2] 알로하 2020.09.06 928
732 [월요편지 24] 야옹 거리며 우는 고양이는 쥐를 잡을 수 없다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9.06 1644
731 [화요편지]제주의 첫인사, You're ok! file 아난다 2020.09.08 1182
730 익어가는 수박을 위한 변증법 [2] 장재용 2020.09.08 1066
729 [용기충전소] 100일동안 매일쓰면 일어나는 일 [2] 김글리 2020.09.11 1237
72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댄스 머스트 고 온(Dance must go on)... 2 file 알로하 2020.09.13 1048
727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5]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2가지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9.14 953
726 [화요편지]세상에서 오직 나만이 그릴 수 있는 그림 file [2] 아난다 2020.09.15 1121
725 모든 게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그대에게 [1] 장재용 2020.09.16 1077
724 [용기충전소] 예술은 00 [1] 김글리 2020.09.17 948
72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해피 엔딩. 그리고 다시 시작 file [2] 알로하 2020.09.20 1045
722 [월요편지 26] 중소기업 다니던 내가 해외 MBA를 통해 얻은 것과 잃은 것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9.20 1510
721 [화요편지] 제주 세화해변 바위틈에서 만난 소라게에게 file 아난다 2020.09.22 1097
720 월급쟁이 무기력 장재용 2020.09.22 1157
719 목요편지- 아! 가을인가 운제 2020.09.24 983
718 [용기충전소] 새로운 변화가 필요할 때 [2] 김글리 2020.09.25 977
71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세상의 필요와 나의 꿈이 만나는 곳 file 알로하 2020.09.27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