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9월 11일 07시 22분 등록

"공주는 아무말 없이 귀걸이에서 똑같이 생긴 진주 두 알을 빼내어 왕자에게 건넸다.  이 무언의 행위, 이것이 수수께끼의 전부였다.  젊은 왕자는 그 진주를 유심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저울을 달라고 청하여 진주의 무게를 재었다. 그리고 공주에게 그 두 개의 진주와 똑같이 생기고 무게가 같은 세 개의 진주를 더해 모두 다섯 개의 진주를 공주에게 보냈다. "

이 이야기는 '투란도트' 공주가 낸 수수께끼를 젊은 왕자가 풀어내는 장면입니다. 그것은 놀이가 아니었습니다. 위험한 모험이었지요. 왜냐하면 공주가 낸 수수께끼를 풀지 못해 이미 아주 많은 청혼자들이 죽음을 면치 못했기 때문입니다.

  공주가 낸 수수께끼는 무슨 의미였을까요 ? 그리고 젊은 왕자는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답에 접근해 갔을까요 ? 2는 짝수이고 여성을 뜻하는 숫자입니다. 공주가 준 진주 두 개의 의미입니다. 3은 반대로 홀수이고 남성을 상징하는 숫자지요. 왕자가 더한 진주 3개의 상징입니다. 2와 3을 합치면 여자와 남자의 결합을 의미하며 사랑의 여신 비너스의 숫자 5가 됩니다. 5는 바로 만남과 결합을 통해 합일로 가는 '결혼의 수'입니다.  그것은 사랑의 완성을 의미합니다.   좋은 뜻이지요 ?

   나는 숫자 5를 좋아합니다.   물론 만남과 결합의 수라는 의미로도 아름답지만 그것이 또한 변화와 도약의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5는 4 다음의 자연수입니다.   오랫동안 숫자 4는 모든 숫자들 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숫자로 여겨져 왔습니다.   동서남북 4 방향을 다 차지하고 있어 전체 세계의 질서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4는 가장 안정적이고 현실적이 숫자입니다.   세상의 건축물의 대부분이 사각형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숫자 5는 이 안정성에 또 하나의 점을 찍습니다.  이차원의 세계를 벗어나 공간에 다섯 번 째의 점이 찍히면 이 점이 피라미드와 같은 사각뿔을 만들면서 하늘을 향해 상승하는 모양이 됩니다.  인간이 신적이 것을 그리워하는 도약을 상징합니다.

200991172148906.png

  자기 경영은 숫자 5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현실를 숭배하거나 존경하지 않고 우리가 현실 보다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도전점.   이 다섯 번째의 점이 우리를 달라지게 합니다.   당신의 지금을 넘어서 삶을 신화로 만들어 갈  다섯 번째의 점,   당신이 옴 몸으로 달려들어야 할 그 꿈의 점은 무엇인지요 ?

IP *.160.33.19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6 [화요편지] 요가, 새로운 사랑을 가르쳐준 스승이자 연인? file [2] 아난다 2020.11.24 1494
675 어제 월급쟁이, 오늘 히말라야 [1] 장재용 2020.11.24 1667
674 목요편지 - 헤민스님 [1] 운제 2020.11.26 1630
673 [용기충전소] 마음에 군불 때기 [1] 김글리 2020.11.27 1133
672 인문학으로 맛보다, 와인, 치즈 빵 file [3] 알로하 2020.11.29 2375
671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6] 희생, 엄마의 두 번째 이름 [2] 습관의 완성 2020.11.29 2053
670 [화요편지] '요가'가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file 아난다 2020.12.01 1434
669 죽음의 지대 [1] 장재용 2020.12.01 2200
668 [용기충전소] 지금 여기에서 한달살이를 한다면 file [1] 김글리 2020.12.04 1800
66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40대의 재롱잔치 file [2] 알로하 2020.12.06 1419
666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7] 그 망할 놈의 딸기 [2] 습관의 완성 2020.12.06 1966
665 [화요편지]요가, 몸으로 그리는 신화 file 아난다 2020.12.08 2173
664 [용기충전소] 여행은 삶을 바꿔주지 않는다, 다만 file [1] 김글리 2020.12.11 2126
66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또 하나의 퀘스트 file [2] 알로하 2020.12.13 1589
66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8] 수능만점 서울대생, 내가 그들에게 배운 한가지 [1] 습관의 완성 2020.12.13 2715
661 [화요편지] 당신에게 '자기돌봄'이란 무엇인가요? file [3] 아난다 2020.12.15 2056
660 적석산, 쌓는 자의 꿈 [1] 장재용 2020.12.15 2372
659 [용기충전소] 서울한달살이의 최고 맛집 file [1] 김글리 2020.12.18 2360
65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망상이 꿈이 되는 순간... file [1] 알로하 2020.12.20 1588
657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9] 다 때려 치우고 싶은 마음 [1] 습관의 완성 2020.12.21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