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9월 11일 07시 22분 등록

"공주는 아무말 없이 귀걸이에서 똑같이 생긴 진주 두 알을 빼내어 왕자에게 건넸다.  이 무언의 행위, 이것이 수수께끼의 전부였다.  젊은 왕자는 그 진주를 유심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저울을 달라고 청하여 진주의 무게를 재었다. 그리고 공주에게 그 두 개의 진주와 똑같이 생기고 무게가 같은 세 개의 진주를 더해 모두 다섯 개의 진주를 공주에게 보냈다. "

이 이야기는 '투란도트' 공주가 낸 수수께끼를 젊은 왕자가 풀어내는 장면입니다. 그것은 놀이가 아니었습니다. 위험한 모험이었지요. 왜냐하면 공주가 낸 수수께끼를 풀지 못해 이미 아주 많은 청혼자들이 죽음을 면치 못했기 때문입니다.

  공주가 낸 수수께끼는 무슨 의미였을까요 ? 그리고 젊은 왕자는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답에 접근해 갔을까요 ? 2는 짝수이고 여성을 뜻하는 숫자입니다. 공주가 준 진주 두 개의 의미입니다. 3은 반대로 홀수이고 남성을 상징하는 숫자지요. 왕자가 더한 진주 3개의 상징입니다. 2와 3을 합치면 여자와 남자의 결합을 의미하며 사랑의 여신 비너스의 숫자 5가 됩니다. 5는 바로 만남과 결합을 통해 합일로 가는 '결혼의 수'입니다.  그것은 사랑의 완성을 의미합니다.   좋은 뜻이지요 ?

   나는 숫자 5를 좋아합니다.   물론 만남과 결합의 수라는 의미로도 아름답지만 그것이 또한 변화와 도약의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5는 4 다음의 자연수입니다.   오랫동안 숫자 4는 모든 숫자들 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숫자로 여겨져 왔습니다.   동서남북 4 방향을 다 차지하고 있어 전체 세계의 질서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4는 가장 안정적이고 현실적이 숫자입니다.   세상의 건축물의 대부분이 사각형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숫자 5는 이 안정성에 또 하나의 점을 찍습니다.  이차원의 세계를 벗어나 공간에 다섯 번 째의 점이 찍히면 이 점이 피라미드와 같은 사각뿔을 만들면서 하늘을 향해 상승하는 모양이 됩니다.  인간이 신적이 것을 그리워하는 도약을 상징합니다.

200991172148906.png

  자기 경영은 숫자 5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현실를 숭배하거나 존경하지 않고 우리가 현실 보다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도전점.   이 다섯 번째의 점이 우리를 달라지게 합니다.   당신의 지금을 넘어서 삶을 신화로 만들어 갈  다섯 번째의 점,   당신이 옴 몸으로 달려들어야 할 그 꿈의 점은 무엇인지요 ?

IP *.160.33.19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96 [금욜편지 34- 유럽 에니어그램 공부] file [2] 수희향 2018.04.27 931
3595 [수요편지] 그리고 비엔티안 장재용 2019.08.27 931
3594 [용기충전소] 모난 돌이라면 김글리 2020.04.16 931
3593 목요편지 - 장마 [1] 운제 2020.07.23 931
3592 [용기충전소] 멀티페르소나, 팔색조 말고 십색조라 불러주오 김글리 2020.08.06 931
3591 화요편지 - 고양이는 고마웠어요 [1] 종종 2022.10.03 931
3590 [수요편지] 깨달음은 궁극인가 과정인가 [1] 불씨 2022.12.21 931
3589 드디어 호그와트에 입학하라는 부엉이를 받았습니다. [1] 어니언 2023.02.23 931
3588 백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1기 원더우먼들에게 재키제동 2017.05.19 932
3587 신화는 처음이시죠? - 그리스 로마 신화, 한국 신화 제산 2019.08.25 932
3586 [금욜편지 104- 책쓰기준비 3- 경비] 수희향 2019.09.06 932
3585 목요편지 - 계절의 여왕 5월 운제 2020.05.07 932
3584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무취미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오디션 프로그램!" [2] 종종 2022.01.11 932
3583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확실한 자세 [1] 어니언 2022.12.01 932
3582 한 걸음이라도 내딛을 수 있는 현실에 감사합니다 [9] 차칸양 2018.03.06 933
3581 [금욜편지 121- 책쓰기는 강의다] 수희향 2020.01.31 933
3580 강남순 제4강 <21세기 페미니즘 : 코즈모폴리턴 페미니즘과 평등세계를 향한 나/우리의 과제> 제산 2020.03.09 933
3579 [수요편지] 성공적인 휴식 [1] 불씨 2022.07.05 933
3578 [월요편지 121] 탈모지만 괜찮아 [2] 습관의 완성 2022.08.28 933
357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와인과 음악, 설렘이 있는 11월 file 알로하 2019.11.17 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