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2924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9년 9월 16일 12시 32분 등록

'내가 그렇게 했어.’ 나의 기억은 이렇게 말한다. ‘난 그렇게 할 수 없어.’ 나의 자존심이 확고부동하게 말한다. 결국 나의 기억이 굴복하고 만다.

                                           - 니체 - 
                        ------------------------------------------

 

초등학교 1학년 때 바이올린을 배우러 교습소에 다닌 적이 있었습니다. 음악적 재능도 부족하고 어머니가 시켰던 거라서 흥미를 느끼지 못해 몰래 도망도 치고, 잔뜩 불평을 늘어놓은 적도 많았습니다. 결국 1년여 정도 다니다가 성의 없는 제 모습에 지치셨는지 어머니도 더 이상 보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사람마음이 참 간사하더군요. 성인이 되자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을 보면 너무 부러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때마다 ‘하기 싫어하더라도 억지로 붙잡아서 계속 시켰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느껴지는 것이었습니다. 그러자 기억도 덩달아 동조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생각해보면 그만 둔 이유는 제가 흥미가 없었던 것이 거의 분명함에도 자꾸 집안 사정과 같은 비본질적인 상황이 떠오르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과거를 이야기할 때 자신의 문제는 빼놓거나 축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모님이 자신을 자주 혼냈다면 그것은 자신의 어떤 문제 때문이 아니라 부모님이 이러이러한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기억이라는 것이 본래 자신의 책임은 최소화하고 부모나 환경의 책임은 과장되는 방향으로 진화하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세요. 누군가에게 자신의 책임을 돌리는 것은 자신의 어리석음, 부족함, 문제점 등과 덜 직면하게 해주는 아주 쉽고 아주 좋은 해결책이지 않겠습니까! 이것이 바로 기억의 자기정당화입니다.

 

 

그렇기에 부모는 자식의 말을 들어줘도 욕을 먹을 수 있고, 안 들어줘도 욕을 먹게 되어 있는 아주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는 셈입니다. 혹은 이와 달리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신 경우라면 정반대로 아주 이상적인 분으로 기억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진실은 어디에 있을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당신의 부모님이 성격장애가 아니라면 당신처럼 건강한 면과 건강하지 못한 면을 함께 지니고 있고, 선의의 의도 속에 때로는 일치된 표현을 보일 때도 있었고 때로는 불일치된 표현이 보였을 때도 있었을 것이며, 그 분들의 상태에 따라서 잘 대해주었을 때와 잘 대해주지 못했을 때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자기보호를 위해 어떤 면만을 선별해서 이를 부모의 전체 모습으로 기억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당신의 과거에 있는 악인이 과연 실재의 인물일까요? 자기정당화가 만들어낸 편집된 인물일까요?  

 

 

- 2009. 9. 16.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






IP *.131.5.204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09.09.16 16:40:03 *.48.42.155
선배님. 지난 주에는 감사했어요~
먹을 것도 자상하게 마니 챙겨주셔서 먹는 즐거움이 너모 컸어용~ 헤헤.

글고 오늘 글. 부모가 되어보지 못한 제게는
180도 다른 관점을 보여주시네요.
음...제 자신 좀... 부끄러우려고 해요...
좋은 말씀, 감사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6 [용기충전소] 멀티페르소나, 팔색조 말고 십색조라 불러주오 김글리 2020.08.06 927
75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몸과의 소통 file 알로하 2020.08.09 1099
754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0] 그들에겐 3가지가 없었다 습관의 완성 2020.08.09 1229
753 [화요편지]그렇게 엄마를 완전히 소화했다고 믿었다. file 아난다 2020.08.11 916
752 녀석과 마주하기 위하여 장재용 2020.08.12 937
751 목요편지 - 여름이 지나간 자리 운제 2020.08.13 870
750 [용기충전소] 하면 할수록 쉬워져! [2] 김글리 2020.08.13 895
749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1] 유머 감각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file 습관의 완성 2020.08.16 995
748 [화요편지] 그때 거기, 있었던 그대로 file 아난다 2020.08.18 954
747 쓸모라는 농담 장재용 2020.08.18 1055
746 목요편지 - 가을날 운제 2020.08.21 914
745 [용기충전소] 여행자의 눈이 필요할 때 김글리 2020.08.21 908
744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성실의 아이콘 또는 짜증 대마왕?? file 알로하 2020.08.23 985
743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2] 내가 26년 간 피우던 담배를 끊는데 성공한 결정적 방법 [1] 습관의 완성 2020.08.23 1073
742 [화요편지]끌리는 대로! file 아난다 2020.08.24 1095
741 월급쟁이, 그 처지를 규정하는 것들 [2] 장재용 2020.08.25 1358
740 9월을 기다리며 [1] 운제 2020.08.27 896
739 [용기충전소] 자신만의 사막을 건너는 법 [4] 김글리 2020.08.28 1036
73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이번주 쉽니다 알로하 2020.08.30 868
737 [월요편지 23] 우유부단한 사람에게 고함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8.30 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