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339
  • 댓글 수 12
  • 추천 수 0
2009년 9월 17일 00시 00분 등록

IMG_0080.jpg

이 숲에는 요즘 우리 꽃 물봉선이 한창이다. 야생의 것들은 모두 제 자리를 찾아 살 때 가장 빛나는 삶을 산다. 물봉선은 졸졸 흐르는 물을 따라 피어난다. 그 자리에서 군락으로 필 때 가장 아름답다.

 

가을입니다. 가을을 맞아 오늘은 아주 조금 긴 편지를 쓰려합니다. 그대의 가을은 어떠신지요? 이곳의 가을은 풍성합니다. 소쩍새 우는 숲 근처 밤나무에서는 밤새 알밤이 떨어지고, 부엉이 우는 바위 숲 기슭에는 어느새 버섯들이 올라옵니다. 집 앞 텃밭에서는 오늘 마지막 옥수수를 땄고, 곧 고구마를 캘 날을 가늠하는 중입니다. 옥수수대를 자른 자리에는 다시 김장용 배추와 무우, 쪽파를 조금씩 심어두었습니다.

 

올 한 해 나의 농사는 실험이었습니다. 비료와 농약을 전혀 쓰지 않고, 밭에 자라는 풀도 뽑거나 베지 않았습니다. 유기농법이라고 부르기 보다는 내버려둠 농법이라 불러야 옳은 농사였습니다. 땅과 하늘이 허락하는 만큼만 먹으리라 작정했기에 조바심 없이 그들을 지켜볼 수 있었습니다. 근처 밭에 농사를 지으시는 할머니는 내 밭의 풀을 볼 때마다 혀를 찼습니다. 수확이 어려울 것이라고 염려하셨고, 제초용 농약을 쳐야 한다는 조언도 자주 하셨습니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오직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땅과 하늘의 힘 만을 빌어 농사를 지을 때, 저 밭에서 과연 어떤 맛의 작물을 얼마나 얻을 수 있을 지가 알고 싶었던 것입니다.

 

농사는 나의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십여 종의 쌈 채소 중, 두어 종은 아예 한 장의 잎도 먹어보지 못하고 곤충들의 만찬용으로 팔려 나갔습니다. 주력 작물이었던 괴산대학찰옥수수는 양분이 부족한 지 누런 잎으로 변한 채 작은 키에 머물렀습니다. 당귀와 고구마 줄기는 풀에 갇혀 제 잎을 보기 어려웠고, 브로콜리는 풀에 덮여 다 죽고 말았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농사가 망한 것은 아닙니다. 자줏빛 도는 가지는 내내 좋았고, 참외와 오이도 그럭저럭 괜찮았으며 고추는 마음껏 먹을 수 있었습니다. 토종벌은 한 통을 잃었으나 나머지는 아직 잘 지내고 있습니다. 옥수수는 볼품 없이 작았지만 염려했던 벌레는 거의 먹지 않았고, 그 맛 또한 천하 일품이어서 나눠달라는 사람들이 줄을 설 정도입니다. 맛을 보신 그 할머니 농부는 심지어 내년에는 나의 농사법을 따라 하시겠다고 까지 합니다. 뿐만 아닙니다. 가망 없을 것 같던 고구마와 당귀는 이제 막 사위어 가는 그 풀 더미 속에서 드디어 자신의 위용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무지막지한 풀 속에서도 그들은 자신을 지켜내고 있었던 것이지요.

 

나는 이 실험을 통해 세 가지 중요한 교훈을 얻었습니다. 첫째는 순환의 중요성입니다. 1945년 우리나라 밭 토양 속에는 4.5% 정도의 유기물(humus)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대략 1.9%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는 작물을 거둔 뒤에는 반드시 두엄과 퇴비를 되돌려 땅의 고단함을 위무했던 농법이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존해 작물의 양분을 채우고 병을 막는 농법으로 바뀐 탓입니다. 반 세기가 넘는 수탈을 겪은 땅에 비료 없이 농사를 지었으니 내 옥수수의 부실함은 자연스러운 것이지요. 요즘 농작물의 모양은 예전보다 훨씬 좋아졌으나 그 맛과 건강성은 60년 전 자연농법의 그것에 비할 수 없습니다. ‘내버려둠 농법을 통해 나는 되돌림을 무시하는 효율의 해악을 알게 되었습니다.

둘째 다양성의 유익함에 관한 것입니다. 나의 밭에서 벌레로 인해 실패한 작물은 두어 가지 밖에 되지 않습니다. 나머지는 곤충의 습격으로부터 자유로웠습니다. 이웃 농부 모두가 궁금해 하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다양성을 지켜주었기 때문입니다. 제초제로 풀을 다 죽이면 곤충은 먹을 것이 없어서라도 농작물을 먹어야 합니다. 하지만 자기가 좋아하는 먹이인 풀이 있다면 농작물을 덜 찾게 됩니다. 또한 다양한 곤충들이 밭으로 찾아와 자기들 간의 천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다품종 소량의 작물을 다양한 풀과 함께 자라게 한 다양성 농법으로 나는 살충제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아마도 생물 다양성의 보고인 숲과 붙어 있는 밭이어서 더욱 그랬을 것입니다.

셋째 작물의 토양 적합성에 관한 것입니다. 버드나무가 산 정상의 메마름을 견디며 자랄 수 없어 물가 주변에서 주로 자라듯, 작물 또한 제 꽃을 마음껏 피울 수 있는 땅을 만나야 합니다. 그래야 제대로 자랄 수 있습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 나는 이 밭에 심어도 좋을 작물과 심지 말아야 할 작물이 있음을 알게 된 것이지요.

 

나의 밭에서 딴 고추는 한 여름 실온에서 보름을 넘겨도 신선합니다. 냉장실에서는 한 달 넘게 그 신선함을 유지합니다. 비료와 농약을 써서 키운 고추는 그 절반의 시간도 견디지 못해 신선함을 잃고 썩어갑니다. 나의 밭에서 나온 모든 작물의 맛 또한 화학농업으로 거둔 작물의 그것과 비교를 불허합니다. 이것이 바로 자연 그대로의 것들이 갖는 위대한 힘일 것입니다. 장차 내가 상품성을 갖춘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기울여야 할 노력은 한 가지에 집중될 것입니다. 그것은 땅심을 높이는 것입니다. 위대한 자연의 힘이 선순환의 구조를 갖도록 애쓰는 것입니다.

 

지금 나는 자연스러운 농사와 함께 자연스러운 삶에 대해서도 실험하고 있습니다. 가설적 모델은 이렇습니다. ‘풀을 견뎌 자신을 꽃피우는 작물들처럼 사람 또한 본래 스스로 위대함을 지닌 존재이다. 그것이 제대로 작동하여 자기답게 결실에 이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을 버려야 하며 어떠한 실천이 필요한가?’ 언젠가 그 결과를 나는 꼭 책으로 펴내어 공유하고 싶군요. 이제 그대에게 여쭙니다. 이 가을, 그대의 삶은 어떤 수확과 마주하고 있는지요?

 
 
IP *.229.181.146

프로필 이미지
2009.09.17 06:24:04 *.189.234.240
던져주신 마지막 질문 근처에서 마음이 계속 서성입니다. 아마도 제대로된 답을 할 수 없기 때문이겠지요. 오늘 하루종일 품고 다녀야겠습니다. 이 가을, 나는 어떤 수확과 마주하고 있는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9.23 23:59:17 *.229.137.195
종윤.
가을처럼 자신을 돌아보기에 좋은 계절이 없지?
그 밝은 얼굴이 그립군.^^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09.09.17 07:03:30 *.108.48.236
참으로 공들여 쓴 글, 잘 읽었습니다.
종윤씨는 마지막 질문 근처에서 서성인다고 했지만
저는 마지막에서 두 번 째 질문에 오래 눈길이 머물렀습니다.^^

땅에 땅심이 있듯이 사람에게도 자기다움을 향해 뻗어가는
마음심이 있음이 믿어집니다.
자연과 벗하여 도달한 '자연스러운 삶'에 대한 성과물이 기대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9.24 00:03:46 *.229.137.195
자연스러운 삶에 대한 정리를 꼭 하고 싶은데,
그게 제게는 만만하지 않은 과제입니다.
두고두고 숙성하며 정리해 보겠습니다.
격려에 감사드립니다.
환절기 건강 잘 챙기시고 10월 그 날에 기쁘게 뵙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9.09.17 08:55:31 *.190.122.223
!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9.24 00:04:14 *.229.137.195
^^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9.09.17 09:10:52 *.122.216.98
우리가 잡초라고 부르는 것들이 사위어 갈때 고구마 줄기와 당귀는 그 위용을 드러냈다고 하시는데 그 대목에서 눈물이 나려고 했습니다. 자신을 지켜내는 것과 다양함에 대해서도 한번 더 생각해 보게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9.24 00:05:21 *.229.137.195
요즘 어떻게 지내시는지요?
고구마 줄기와 당귀처럼 살고 계시지요?
프로필 이미지
정명윤
2009.09.17 09:33:54 *.20.125.86
"내버려둠 농법이라~~~~~~~~~.멋진표현 이네요 . 이 글을 읽으면서 내 몸이 자연에 흠뻑 젖은 느낌입니다. 이 초가을 아침 한웅큼 수확을 얻고 갑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9.24 00:06:05 *.229.137.195
^^
프로필 이미지
햇살처럼
2009.09.20 16:12:05 *.59.199.151
어제 땅콩과 고구마 일부를 캤습니다. 주말농장에서 언니들과 밭 두고랑을 가꾸는데.. 사실 서로 바쁘다는 핑계로 들여다보질 못해서 저절로 '내버려둠 농법'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수확물이 좋았습니다. 옆고랑의 아주머님께서 "아니, 관리도 안하시는것 같더니, 그리도 수확이 많아서 좋으시겠다"며 부러워 하십니다. 자신을 꿋꿋하게 지켜낸 아이들이 정말 대견하게 생각되는 하루였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9.24 00:08:10 *.229.137.195
저는 도시에 살면서 주말농장 하시는 분들이 반갑습니다.
가장 큰 공부를 하시는 분들이란 생각이 들어서 입니다.

생각보다 수확물이 좋으셨다니 땅과 하늘에 감사하셨겠군요.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6 몸을 온전히 나누는 사랑은 멈출 줄 알 때 찾아들고 [2] 김용규 2013.07.25 4247
755 그대 내게 희망을 주는 사람 오병곤 2007.04.08 4248
754 편지22: 메신저, 양은냄비, 막내, 이어령, 인연... file [1] 단경(소은) 2009.06.02 4249
753 12월. 침묵하며 나를 비우는 달 [1] 김용규 2006.11.30 4250
752 평생 화두로 삼을 그대의 주제를 가졌는가? file [2] 김용규 2009.07.02 4250
751 [앵콜편지] 하고 싶은 일에 미쳐라.. 최우성 2013.08.09 4255
750 자유를 얻기 위해 필요한 것 연지원 2013.08.26 4256
749 여행 단상 [앵콜편지] 최우성 2013.06.28 4260
748 언 것을 녹이는 데는 바람이 최고 [2] [2] 구본형 2007.03.02 4261
747 피터 드러커, 완벽의 추구 file [2] 승완 2011.10.25 4265
746 젊어서 알지 못하는 것 [2] 김용규 2012.01.19 4265
745 최고의 부모란 문요한 2013.02.20 4267
744 에곤 실레의 이루지 못한 꿈, <가족>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6.07 4268
743 주변을 물들이고 싶을 때 알아야 할 자연원리 [1] 김용규 2013.05.16 4274
742 등로주의와 등정주의 [1] 문요한 2010.10.06 4275
741 단식은 칼을 대지 않는 수술이다 file [3] 단경(소은) 2009.07.14 4276
740 어머니가 아들에게 [4] 박승오 2008.05.19 4277
739 절망, 못이 되어 걸음을 꺾으려 들 때... [1] 김용규 2013.05.09 4279
738 모유가 분유보다 좋은 이유 [1] 신종윤 2009.11.30 4283
737 몰두하라. 뜨겁게 타오를 것이다. [5] 신종윤 2011.05.23 4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