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9월 18일 07시 33분 등록

"흰옷을 입은 고인 휴네퍼는 개의 머리를 한 인도자에게 손을 이끌려 죽음을 관장하는 오시리스의 재판정으로 인도되어 온다. 거기서 그의 심장은 진리의 여신의 깃털과 함께 저울에 달아진다. 저울 꼭대기에는 진리의 여신의 머리가 달려 있다. 개의 머리를 한 아누비스는 저울이 평형을 이루는지 판정한다. 그의 앞에는 '죽은 자를 잡아 먹는 자'라는 이름의 괴물이 앉아있다. 그 괴물은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는 죽은 자들을 다 잡아 먹는다. 이 괴물은 머리를 돌려 토트(Thoth)의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 토트는 판정의 결과를 기록하고 있다. 다행스럽게 휴네퍼는 심사를 통과하여 죽음과 부활의 신 오시리스에게 인도된다.  '

hunefer_papyrus.jpg

이 이야기는 기원전 1300년 전 휴네퍼라는 사람이 죽은 후, 사후 재판 모습을 담은 파피루스 그림의 한 장면입니다. 보통 휴네퍼 파피루스(Hunefer Papyrus)라고 부르지요. 그림에는 고대 글자들이 많이 적혀있습니다. 자신의 심장이 저울에 달아지는 동안 고인이 읊은 기도문과 토트의 판결문 내용이라고 합니다. 긴장되는 순간을 진무할 진언입니다.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죽음은 삶의 끝이 아닙니다. 그것은 늘 부활로 연결됩니다. 마치 태양이 서쪽으로 졌다가 다시 동쪽에서 떠 오르 듯 목숨은 되살아 납니다. 영원과 불멸은 그들이 갈망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다시 부활하는 것은 아닙니다. 재판정의 심사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착상이 너무 귀엽습니다. 심장의 무게와 진리의 여신의 깃털이 형평을 이루어야만 죽음과 부활의 신 오시리스에게 인도 됩니다. 통과하지 못하면 괴물에게 잡아먹히게 되지요.

자기 경영은 살아서 자신의 심장의 무게를 진리의 깃털과 평형을 이루려는 노력입니다. 그 삶이 진리의 눈에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나는 이 이야기를 듣고 진리의 여신의 깃털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궁금했습니다. 깃털이니 아주 가볍겠지요 ? 그럼 심장의 무게도 아주 가벼워야 형평을 이룰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심장을 가볍게 만들어야 할 텐데 어떻하면 그렇게 할 수 있을까요 ? 그 안에 가득한 뜨거운 피를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라는 뜻일까요 ? 기쁨과 즐거움이라는 구름으로 심장을 가득 채우라는 뜻일까요 ? 단순하고 소박한 삶을 살라는 뜻일까요 ? 아마 이 해석이 바로 철학의 시작이 아닐까 합니다.  당신을 다시 살게 할 당신의 삶의 철학, 그것을 만드는 것이 바로 자기경영입니다. 

 

IP *.96.12.130

프로필 이미지
먼별이
2009.09.18 10:12:28 *.249.57.239
따부님~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라에 한 표요~!
여신 앞에 올때는 세상 모든 집착이나 미련은 다 내려놓고 깃털처럼 가볍게 오라고용~ ㅎㅎㅎ
그러려면 신나게, 열정적으로 다 쓰고 가야겠죵? 함 도전해볼께용~~~ ㅋㅋㅋ
좋은 주말되세용~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6 [용기충전소] 멀티페르소나, 팔색조 말고 십색조라 불러주오 김글리 2020.08.06 885
75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몸과의 소통 file 알로하 2020.08.09 1056
754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0] 그들에겐 3가지가 없었다 습관의 완성 2020.08.09 1222
753 [화요편지]그렇게 엄마를 완전히 소화했다고 믿었다. file 아난다 2020.08.11 875
752 녀석과 마주하기 위하여 장재용 2020.08.12 919
751 목요편지 - 여름이 지나간 자리 운제 2020.08.13 849
750 [용기충전소] 하면 할수록 쉬워져! [2] 김글리 2020.08.13 876
749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1] 유머 감각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file 습관의 완성 2020.08.16 965
748 [화요편지] 그때 거기, 있었던 그대로 file 아난다 2020.08.18 926
747 쓸모라는 농담 장재용 2020.08.18 1030
746 목요편지 - 가을날 운제 2020.08.21 898
745 [용기충전소] 여행자의 눈이 필요할 때 김글리 2020.08.21 902
744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성실의 아이콘 또는 짜증 대마왕?? file 알로하 2020.08.23 976
743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2] 내가 26년 간 피우던 담배를 끊는데 성공한 결정적 방법 [1] 습관의 완성 2020.08.23 1067
742 [화요편지]끌리는 대로! file 아난다 2020.08.24 1064
741 월급쟁이, 그 처지를 규정하는 것들 [2] 장재용 2020.08.25 1328
740 9월을 기다리며 [1] 운제 2020.08.27 863
739 [용기충전소] 자신만의 사막을 건너는 법 [4] 김글리 2020.08.28 1030
73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이번주 쉽니다 알로하 2020.08.30 860
737 [월요편지 23] 우유부단한 사람에게 고함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8.30 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