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9월 25일 08시 15분 등록

그 안락과 평화 ! 어느 것도 바라지 않아
내가 만일 이것으로 족해
게으름의 자리 위에 길게 드러 눕는다면
내 생명의 끝이 되어 그렇게 누워 쉬게 되리라
네가 그럴싸하게
나를 부추겨 스스로 만족하게하고
쾌락으로 내 혼을 빼앗아간다면
그것이 내 최후의 날이다
내기를 하자
...
이렇게 한 이상 다른 말은 있을 수 없다
내가 순간을 향해 말하노니
'멈추어라 너는 참 아름답구나' 라고 말하면
네가 나를 사슬로 친친 묶어도 좋다
나는 기꺼이 멸망해 주마
장송의 종이 울려 퍼지고
너는 종자의 임무로부터 해방된다
시계는 멈추고 바늘은 떨어진다
나의 모든 것은 끝나는 것이다

  이 대사는 괴테의 '파우스트' 중 가장 유명한 대목으로 파우스트와 악마 메피스토펠레스 사이에 계약이 체결되는 장면입니다.   세계문학사상 가장 유명한 대사이기도 합니다.   지식으로도 쾌락으로도 심지어 순결한 소녀 그레트헨과 신화 속의 미녀 헬레나와의 사랑으로도 충족되지 않았던 파우스트는 '순간이여 멈추어라, 너는 참 아름답구나' 라고 외치는 순간 죽어 그 영혼이 메피스토펠레스에게 넘어가게 되는 것이지요.   이상국가를 실현해 가던 파우스트는 결국 이렇게 외치고 죽게 됩니다. 그러나 신은 천사들과 함께 그를 구해 냅니다.

  악마가 도전하고 신이 수락한 내기에서 신이 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악마는 신의 사업에 대하여 도전하고 간섭을 하지만 신의 목적을 방해할 수 없고, 결국은 그 목적을 위해 봉사하게 될 뿐이며, 신은 항상 멋지게 국면을 전환시켜 악마 스스로 목을 매도록 밧줄을 제시합니다.   성경 '욥기'의 주인공 욥의 경우든 파우스트의 경우든 모두 신은 승리합니다.   이 내기에서 극의 주역을 맡은  인간은 신과 악마 사이에서 고뇌하고 쓰라린 시련을 겪게 됩니다.  이 신화적 이야기는 적당히 단념하고 손쉽게 사는 것이 인간의 길이 아님을 보여 줍니다.

역사가 아놀드 토인비는 이렇게 말합니다.

"네 번이나 되풀이된 빙하시대의 혹독한 추위 속에서 살아난 무리들은 '달아난 원시인들'이 아니다... 난관을 뚫고, 짐승에서 인간으로 진화한 자들은, 앉은 나무조차 없어진 그 자리에 버티고 있던 무리들이며, 나무 열매가 익지 않자, 짐승을 잡아 고기로 배를 채운 무리들이며, 햇볕을 따라 후퇴하는 대신 옷과 불을 만들어 낸 무리들이다"

20099258245842.png
 
  자기 경영은 불리한 역경 속에서도 살아 내겠다는 결심과 고집입니다. 그것은 자기 안의 신을 믿는 것이며, 시련을 성숙으로 전환시켜내는 것입니다.   자기 경영은 자신이 주역인 인생의 무대에서 퇴각하지 않는 것이며, 자신의 뜻대로 살아 내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자신의 삶을 향해 외치는 것입니다. "멈춰라 순간이여, 너는 참 아름답구나"

IP *.160.33.197

프로필 이미지
오옥균
2009.09.26 15:44:23 *.223.56.152
미치겠다. 정말
내 인생의 무대에 서있지만 내 의지대로 살아내지 못하고 있는것만 같아서...
가을 햇살은 저리도 좋은데...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6 [용기충전소] 멀티페르소나, 팔색조 말고 십색조라 불러주오 김글리 2020.08.06 901
75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몸과의 소통 file 알로하 2020.08.09 1066
754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0] 그들에겐 3가지가 없었다 습관의 완성 2020.08.09 1225
753 [화요편지]그렇게 엄마를 완전히 소화했다고 믿었다. file 아난다 2020.08.11 890
752 녀석과 마주하기 위하여 장재용 2020.08.12 920
751 목요편지 - 여름이 지나간 자리 운제 2020.08.13 856
750 [용기충전소] 하면 할수록 쉬워져! [2] 김글리 2020.08.13 877
749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1] 유머 감각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file 습관의 완성 2020.08.16 971
748 [화요편지] 그때 거기, 있었던 그대로 file 아난다 2020.08.18 941
747 쓸모라는 농담 장재용 2020.08.18 1038
746 목요편지 - 가을날 운제 2020.08.21 901
745 [용기충전소] 여행자의 눈이 필요할 때 김글리 2020.08.21 905
744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성실의 아이콘 또는 짜증 대마왕?? file 알로하 2020.08.23 981
743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2] 내가 26년 간 피우던 담배를 끊는데 성공한 결정적 방법 [1] 습관의 완성 2020.08.23 1070
742 [화요편지]끌리는 대로! file 아난다 2020.08.24 1076
741 월급쟁이, 그 처지를 규정하는 것들 [2] 장재용 2020.08.25 1336
740 9월을 기다리며 [1] 운제 2020.08.27 878
739 [용기충전소] 자신만의 사막을 건너는 법 [4] 김글리 2020.08.28 1033
73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이번주 쉽니다 알로하 2020.08.30 864
737 [월요편지 23] 우유부단한 사람에게 고함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8.30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