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5025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09년 10월 13일 00시 24분 등록

‘공포 소설의 제왕’인 스티븐 킹은 고등학교 시절 신문기사를 쓴 적이 있었습니다. 리스본 주간신문의 편집장인 존 굴드는 그 기사를 수정하며 다음과 같이 조언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쓸 때는 자신에게 그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생각해라. 그리고 원고를 고칠 때는 그 이야기와 무관한 것들을 찾아 없애는 것이 제일 중요해.”

스티븐 킹은 <유혹하는 글쓰기>에서 이 조언에 대해 “존 굴드는 겨우 10분 사이에 그 어떤 강의 보다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다”고 회고합니다. 저도 이 조언을 응용한 2가지 방법을 글쓰기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구체적인 독자를 가슴에 품고 쓰는 것입니다. 여기서 독자는 두 사람을 가리킵니다. 하나는 바로 제 자신입니다. 저는 최대한 스스로에게 말하듯이 글을 씁니다. 그러니까 내가 첫 번째 독자인 셈입니다. 예를 들면 나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정리하고, 마음이 아픈 나를 치유하기 위해 글을 쓰는 겁니다. 나를 독자로 삼고 쓰면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평가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다른 한 명의 독자는 어느 ‘누군가’입니다. 나를 독자로 삼기 어려운 경우는 주변 사람이나 가상 독자 한 명에게 편지를 적듯이 씁니다. 이 방법은 글에 공감의 불씨를 심어주고 따뜻한 문체로 자연스럽게 이끕니다. 스티븐 킹은 말합니다.

“모든 소설가에게는 반드시 한 명의 가상 독자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을 쓰는 동안에 작가들은 이따금씩 이런 생각을 하게 마련이다. ‘그 독자는 이 부분을 읽으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 나에게 이 최초의 독자는 바로 내 아내 태비사이다.”

두 번째 방법은 고쳐 쓰기입니다. 저는 처음에는 한 번에 완전한 글 한 편을 완성하는 식으로 글을 썼습니다. 하지만 고쳐 쓰기의 힘을 체험하고 난 후부터는 고쳐 쓰기를 글쓰기의 기본으로 삼고 있습니다. 어떤 글이든 적어도 3번 이상은 고쳐 씁니다. 이렇게 고쳐 쓸 수 있는 동력은 고쳐 쓰기를 통해 글의 완성도가 점점 높아지는 걸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쳐 쓰기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규칙은 잘라내기입니다. 불필요한 단어와 문장을 삭제할수록 구성이 견고해집니다. 이에 대해 스티븐 킹은 어느 잡지사에 소설을 투고하고 받은 거절 쪽지를 ‘명언’으로 소개합니다.

“수정본 = 초고 - 10%. 행운을 빕니다.”

독자를 가슴에 품고 글을 쓰고 그 글을 고쳐 쓰는 습관을 들이면, 가독성이 좋고 흐름이 매끄러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sw1013.gif
* 오늘 소개한 책 : 스티븐 킹 저, 김진준 역, 유혹하는 글쓰기, 김영사, 2002년
 

IP *.255.183.149

프로필 이미지
2009.10.13 17:30:18 *.96.12.130
글쓰기에 대한 네 이야기를 듣다보면... 내가 참 무대뽀로 글을 쓰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드네. '글'이라는 놈, 아직 내가 휘두를 수 있는 칼이 아닌 것 같기도 해. 더 많은 수련이 필요한 거겠지. 흠... 이 책 읽어 보고 싶다. 고마워~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9.10.13 20:54:14 *.255.183.149
형, 무슨 말씀!
형 글 가독성 좋고 구성도 좋잖아요.
형 글 참 좋아요!
프로필 이미지
병진
2009.10.14 11:06:32 *.242.62.1
교통사고 후 얘기에도 감명 받았어요. 특히 글쓰기에 대한 태도, 그리고 즐거움..

좋은 책 소개시켜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9.10.14 13:02:57 *.255.183.149
이 책에는 스티븐 킹이 대가임을 새삼 알 수 있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글쓰기에 대한 태도가 특히 그렇죠. ^_^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54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어니언 2024.12.26 953
4353 엄마, 자신, 균형 [1] 어니언 2024.12.05 978
4352 [수요편지] 발심 [2] 불씨 2024.12.18 1016
4351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불씨 2025.01.08 1020
4350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에움길~ 2024.08.20 1055
4349 [수요편지] 형세 [3] 불씨 2024.08.07 1084
4348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불씨 2024.08.21 1109
4347 [목요편지] 흉터 [2] 어니언 2024.07.11 1125
4346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어니언 2024.10.24 1130
4345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어니언 2024.08.22 1152
4344 [책 vs 책] 무해한 앨리스 화이팅! file [2] 에움길~ 2024.07.22 1154
4343 [월요편지] 세상이 분노가 가득한데 [1] 에움길~ 2024.07.08 1159
4342 새로운 마음 편지를 보내며 [4] 어니언 2024.07.04 1160
4341 [목요편지]’호의’라는 전구에 불이 켜질 때 [4] 어니언 2024.07.18 1164
4340 [수요편지] 행복 = 고통의 결핍? 불씨 2024.07.10 1165
4339 [내 삶의 단어장] 알아 맞혀봅시다. 딩동댕~! [1] 에움길~ 2024.07.30 1172
4338 [책 vs 책] 어디든, 타국 [1] 에움길~ 2024.08.26 1178
4337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어니언 2024.12.19 1179
4336 [수요편지] 성공의 재정의 [2] 불씨 2024.07.03 1182
4335 [수요편지] 불행피하기 기술 [3] 불씨 2024.07.17 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