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314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0월 20일 00시 51분 등록

니체는 “‘왜(why)’ 살아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그 ‘어떤(how)’ 상황도 견뎌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저자인 빅터 프랭클은 이 ‘왜’를 ‘삶의 의미’로 설명합니다. 그는 “삶에 어떤 의미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보다 최악의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강조합니다. 그렇다면 삶의 의미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프랭클에 의하면 3가지 방식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1) 무엇인가를 창조하거나 어떤 일을 함으로써 2) 어떤 일을 경험하거나 어떤 사람을 만남으로써 그리고 3) 피할 수 없는 시련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삶의 의미에 대해 다가갈 수 있다.”

오늘 저는 두 번째 경로, 특히 사람과의 만남에서 삶의 의미 발견하기에 대해 생각을 나누고 싶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사람과의 만남에서 핵심은 ‘사랑’인데, 이것은 이성뿐만 아니라 친구와 사제(師弟) 등 모든 관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랑을 뜻합니다. 사랑으로 맺어진 관계는 유일하고 특별한 경험을 서로 공유합니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자신을 깊이 보여줍니다. 그래서 나에 대해 다른 사람은 모르는 것을 그 사람은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을 가장 과대평가하는 존재는 그 사람의 부모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부모의 과도한 기대가 자녀에게 투사 될 때의 역효과를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모의 깊은 사랑에는 자녀의 고유한 잠재력을 파악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사랑의 힘에 대해 프랭클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랑은 다른 사람의 인간성 가장 깊은 곳까지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사랑하지 않고서는 어느 누구도 그 사람의 본질을 완전히 파악할 수 없다. 사랑으로 인해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특성과 개성을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사람이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 그리고 아직 실현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도 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인간은 사랑의 힘으로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이 이런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신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깨닫도록 함으로써 이런 잠재능력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자신을 함부로 살 수 없게 만드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사람은 어머니 혹은 아버지일 수도 있고, 친구나 연인, 스승일 수도 있습니다. 그 사람이 누구든지 본질은 사랑입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명의 사람들을 만납니다. 직장에서 만나고, 학교에서 만나고, 거리에서 만나고, 가정에서 만납니다. 그 중 사랑으로 만나는 사람은 얼마나 되는지, 그 사람은 누구인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이 질문의 답 속에 삶의 의미를 찾거나 확인할 수 있는 단서가 숨어 있습니다.

sw1020_1.gif
* 오늘 소개한 책 : 빅터 프랭클 저, 이시형 역,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05년

*** 안내 ***
변화경영연구소의 박승오, 홍승완 연구원이 진행하는 ‘나침반 프로그램’이 11월 1일, 8일, 15일의 3일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20대의 갈림길에서 인생의 방향을 찾기 위한 자아탐색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IP *.255.183.6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7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스무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1.11 929
3575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와인과 음악, 설렘이 있는 11월 file 알로하 2019.11.17 929
3574 [화요편지] 굿바이,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아난다 2019.12.03 929
3573 목요편지 - 참새 이야기 운제 2020.06.11 929
3572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리티를 구축하는 법 1. 엉터리를 참아낼 것 [3] 김글리 2022.05.20 929
3571 [수요편지] 마음의 평화 [1] 불씨 2023.06.28 929
3570 [금욜편지 119- 책쓰기는 혼자놀기다] 수희향 2020.01.10 930
3569 아홉 빛깔 무지개 - 서천에서 온 선물 제산 2020.01.13 930
3568 [화요편지]바람이 너무 좋았어! file 아난다 2020.05.19 930
3567 [월요편지 121] 탈모지만 괜찮아 [2] 습관의 완성 2022.08.28 930
3566 Business Tip - 진심 한잔 [1] 書元 2017.10.21 931
3565 신화는 처음이시죠? - 그리스 로마 신화, 한국 신화 제산 2019.08.25 931
3564 [금욜편지 104- 책쓰기준비 3- 경비] 수희향 2019.09.06 931
3563 (화요 편지) 종종덕질 - 사랑과 자유를 위해 No할 수 있는 용기 [4] 종종 2022.01.18 931
3562 점심 혼자 드시지 마세요 [1] 어니언 2023.04.27 931
3561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암흑의 시대를 살던 사람들의 꿈 file [1] 알로하 2019.03.16 932
3560 녀석과 마주하기 위하여 장재용 2020.08.12 932
3559 [일상에 스민 문학] - 건포도가 듬뿍 담긴 베이글에 꽉찬 양파 크림치즈처럼 정재엽 2018.01.03 933
355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로마네 콩티 살인 사건 1 file 알로하 2019.05.11 933
3557 강남순 제4강 <21세기 페미니즘 : 코즈모폴리턴 페미니즘과 평등세계를 향한 나/우리의 과제> 제산 2020.03.09 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