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489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1월 24일 13시 23분 등록

숲에 살면서 아무리 힘겨운 국면이 찾아와도 버릴 수 없는 욕망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농부로 사는 꿈입니다. 숲의 이야기를 담아 글을 써서 독자를 만나거나 강연의 형태로 대중과 나누는 작업도 기쁘지만, 무엇보다 농부라는 업을 버리고 싶지 않은 이유가 있습니다. 농사는 몸을 써야 하고, 땀을 흘려야 하는 어쩌면 상대적으로 더 고된 작업이지만, 나는 그 업을 형편껏 죽을 때 까지 지속하고 싶습니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입니다. 첫째는 참 정직한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땀이 만드는 정직함으로 세상에 소구하는 업이 농사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허위의 사회 경제적 구조를 전복할 수 있는 힘이 있는 업이 바로 농사이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스스로 창조하는 삶을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누군가가 창조해 놓은 것을 중개할 일 없고, 누군가의 부와 영광을 위해 종사할 일 없기 때문입니다. 셋째는 겸손하게 살 수 있는 업이기 때문입니다. 하늘을 우러러 살고, 땅에게 기도하며 살 수 있는 업이 농사이기 때문입니다. 자연의 일부로 살아가기에 더 없이 훌륭한 업이기 때문입니다.


농사를 업의 하나로 삼더라도 나는 결코 농사꾼이 되고 싶지는 않습니다. 나는 농부라는 표현을 농사꾼이라는 표현과 다르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철학자가 철학 노동자와 구분되고 교육노동자와 교육자가 구분되는 것과 같은 차원의 의미를 담고 있는 구분입니다. 철학자는 그 동안 존재해 온 철학자들의 철학을 단순히 집계하고 소개하는 철학 노동자와 다릅니다. 철학자는 스스로 근본을 추구하며 사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피에르 라비 같은 농부는 별도로 철학적 지식을 추구하지 않았지만 당당히 농부 철학자로 불립니다. 같은 차원에서 교육자는 단순히 지식과 비법을 전달하는 교육 노동자와 구분됩니다. 학교는 죽었다는 말이 학교 사회에 횡행하는데도, 박봉과 그 절망적인 분위기를 감수하면서 제자들을 만나러 날마다 출근하는 선생님들, 그들이 더 많은 소득이 보장되는 학원의 강사로 떠나가지 않는 이유를 생각해 보면 그 개념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농사꾼이 아닌 농부도 마찬가지입니다. 농부는 오직 돈만을 위해 감히 밥상에 장난을 치지 않습니다. 자신이 먹기 두려운 농산물을 만들지 않는 이들이 진정한 농부입니다. 나는 그런 농부의 삶을 내 삶의 한 축으로 삼고 싶은 것입니다.

그대 역시 그런 분일 것입니다. 그러니 그대 처한 곳이 어디이든 꾼으로 살지는 않기를 바랍니다. 아무리 힘겨운 국면이 찾아와도 꾼이 아닌 창조자로 사는 욕망 하나 꼭 지켜내시기 바랍니다.

IP *.186.129.8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6 [화요편지]투기, '지금 여기 나'에 기반하지 않은 모든 도모 아난다 2021.08.10 1373
475 세계 랭킹 1위를 이기는 법 [1] 어니언 2021.08.12 1214
474 [용기충전소] 변화무쌍한 파도를 타는 법 [1] 김글리 2021.08.13 1377
473 [화요편지]세상에서 가장 친절하고 부드러운 혁명 아난다 2021.08.17 1394
472 그 모든 헛발질이 나의 길이었으니 장재용 2021.08.17 1511
471 첫 발을 내딛는 용기 [1] 어니언 2021.08.19 1228
470 [용기충전소] 오만가지 생각을 다루는 법 [1] 김글리 2021.08.20 1278
469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어린 왕자 and ...... 알로하 2021.08.22 1360
468 [월요편지 72] 쌀국수 한 그릇 팔면 얼마 남아요? [2] 습관의 완성 2021.08.22 2095
467 [화요편지]자신을 재료로 신화를 만들어내야 하는 작은 영웅들의 시대 아난다 2021.08.24 1363
466 길은 묻지 않는다 [1] 장재용 2021.08.24 1384
465 능력에 대하여 어니언 2021.08.26 1341
464 [용기충전소] 잡초에게 배우는 생의 전략 김글리 2021.08.27 1395
463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어른이 된 어린 왕자 알로하 2021.08.29 1369
462 [월요편지 73] 이 남자는 왜 나체로 주방에 앉아 있는 것일까? [1] 습관의 완성 2021.08.29 1600
461 [화요편지]통찰은 어떻게 일상이 되는가? [2] 아난다 2021.08.31 1385
460 나는 나를 본 적 없다 [1] 장재용 2021.08.31 1217
459 인간성의 조건 [1] 어니언 2021.09.02 1330
458 [용기충전소] 내가 잘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1] 김글리 2021.09.03 1991
457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구슬을 보배로 만드는 법 [2] 알로하 2021.09.05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