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지깽이
- 조회 수 730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디오니소스의 제전에서 우승한 아가톤이 말했지
사랑의 신 에로스는 너무도 우아하여
땅을 밟지도 않고 사람의 머리 위를 걷지도 않고
세상에서 가장 부드러운 사람의 마음 속에 깃들어 거기에 머무나니
사람에게는 평화를
바다에게는 고요함을
바람을 위해서는 휴식을
또 슬픔에게는 잠을 주도다
그러나 가장 유명한 이야기를 한 것은 아리스토파네스지
인간은 원래 남자와 남자, 여자와 여자 그리고 남자와 여자가 결합된 동체였다네
그리하여 지금보다 훨씬 더 완전했다네
하늘의 신 제우스가 보니 그 불경이 가관인지라
가운데를 갈라 둘로 만들어 버렸다네.
신을 숭배할 개체 수는 두 배로 늘고
각자는 힘이 약해져 고분고분해졌으니 멋진 해결책이었지
갈라진 두 사람이 서로 원래의 짝을 찾아 나서는 것이 곧 사랑이니
살아있는 동안에도 한 사람처럼 살고
죽을 때도 함께 죽는 것이 곧 사랑이다.
플라톤의 '향연'(symposium)에는 사랑, 즉 에로스에 대한 멋진 담론들이 흘러나옵니다. 만일 사랑에 대하여
그리스인들의 생각을 알고 싶다면, 아니 먼 옛날 고대 인류의 사유를 접해보고 싶다면 당연히 '향연'을 읽어 보아야지요.
어울리지 않아 보이지만 이 사랑이야기에 그리스인들 중에서 가장 못생긴 소크라테스도
등장합니다. 그리고 그 유명한 산파술의 일단을 맛 볼 수 있지요. 대략 한번 볼까요?
어이, 에로스가 그렇게 고상해?
그럼요. 얼마나 사랑스러운데요.
그래? 에로스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인가 ?
그렇지요.
그래? 사람이든 신이든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욕망하는 것 아닌가 ?
그렇지요.
그렇다면 에로스가 아름다움을 욕망하는 것은 자신에게 아름다움이 없기 때문 아닌가?
띵 ?
2500년 전에 플라톤에 의해 쓰여진 이 짧막한 책 '향연'은 포도주를 한잔하고 기분이 좋을 때
그리스인들처럼 반쯤 누워서 이리저리 뒤척이며 읽으면 좋은 책입니다. 재미있습니다.
플라톤의 시 같은 산문의 맛도 즐길 수 있구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94 | 최고의 부모란 | 문요한 | 2013.02.20 | 4576 |
1593 |
스티브 잡스의 ‘현실 왜곡장’ ![]() | 승완 | 2013.02.19 | 5442 |
1592 | 자기결정권 | 최우성 | 2013.02.18 | 4849 |
1591 | 봄이 온다 [8] | 부지깽이 | 2013.02.16 | 11049 |
1590 | 겨울을 견뎌낸 생명들처럼 [1] | 김용규 | 2013.02.14 | 5250 |
1589 | 마음을 살피는 마음 [1] | 문요한 | 2013.02.13 | 4269 |
1588 |
바람을 담는 집 ![]() | 승완 | 2013.02.12 | 4303 |
1587 | 하루 [1] | 최우성 | 2013.02.11 | 4896 |
1586 | 온천장에서 보내는 편지 [2] | 부지깽이 | 2013.02.08 | 4761 |
1585 | 그대 분노 꽃이 될 때 까지 [3] | 김용규 | 2013.02.07 | 3829 |
1584 | 시간은 당신 편이다 | 문요한 | 2013.02.06 | 3967 |
1583 |
손으로 쓴 엽서 ![]() | 승완 | 2013.02.05 | 4516 |
1582 | 미래의 소설가 | 최우성 | 2013.02.04 | 4666 |
1581 | 사랑의 기술 [1] | 부지깽이 | 2013.02.01 | 7825 |
1580 | 개념 혹은 사상 창조자 | 김용규 | 2013.01.31 | 5005 |
1579 | 고통의 질감이 달라질 때 | 문요한 | 2013.01.30 | 12850 |
1578 |
어머니는 최선을 다하셨어요 ![]() | 승완 | 2013.01.29 | 3538 |
1577 |
꿀처럼 달다 ![]() | 최우성 | 2013.01.27 | 3721 |
» | 사랑, 그 다양함에 대하여 | 부지깽이 | 2013.01.24 | 7302 |
1575 | 농사꾼 말고 농부로 살고 싶은 이유 | 김용규 | 2013.01.24 | 53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