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3년 1월 24일 19시 36분 등록

디오니소스의 제전에서 우승한 아가톤이 말했지

사랑의 신 에로스는 너무도 우아하여

땅을 밟지도 않고 사람의 머리 위를 걷지도 않고

세상에서 가장 부드러운 사람의 마음 속에 깃들어 거기에 머무나니

사람에게는 평화를

바다에게는 고요함을

바람을 위해서는 휴식을

또 슬픔에게는 잠을 주도다

 

그러나 가장 유명한 이야기를 한 것은 아리스토파네스지

인간은 원래 남자와 남자, 여자와 여자 그리고 남자와 여자가 결합된 동체였다네

그리하여 지금보다 훨씬 더 완전했다네

하늘의 신 제우스가 보니 그 불경이 가관인지라

가운데를 갈라 둘로 만들어 버렸다네.

신을 숭배할 개체 수는 두 배로 늘고

각자는 힘이 약해져 고분고분해졌으니 멋진 해결책이었지

 

갈라진 두 사람이 서로 원래의 짝을 찾아 나서는 것이 곧 사랑이니

살아있는 동안에도 한 사람처럼 살고

죽을 때도 함께 죽는 것이 곧 사랑이다.

 

플라톤의 '향연'(symposium)에는 사랑, 즉 에로스에 대한 멋진 담론들이 흘러나옵니다.   만일 사랑에 대하여

그리스인들의 생각을 알고 싶다면, 아니 먼 옛날 고대 인류의 사유를 접해보고 싶다면 당연히 '향연'을 읽어 보아야지요.

 

어울리지 않아 보이지만 이 사랑이야기에 그리스인들 중에서 가장 못생긴 소크라테스도

등장합니다. 그리고 그 유명한 산파술의 일단을 맛 볼 수 있지요. 대략 한번 볼까요?

 

어이, 에로스가 그렇게 고상해?

그럼요. 얼마나 사랑스러운데요.

그래? 에로스는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인가 ?

그렇지요.

그래? 사람이든 신이든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욕망하는 것 아닌가 ?

그렇지요.

그렇다면 에로스가 아름다움을 욕망하는 것은 자신에게 아름다움이 없기 때문 아닌가?

띵 ?

 

2500년 전에 플라톤에 의해 쓰여진 이 짧막한 책 '향연'은 포도주를 한잔하고 기분이 좋을 때

그리스인들처럼 반쯤 누워서 이리저리 뒤척이며 읽으면 좋은 책입니다. 재미있습니다.

플라톤의 시 같은 산문의 맛도 즐길 수 있구요.

IP *.160.33.5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54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어니언 2024.12.26 960
4353 엄마, 자신, 균형 [1] 어니언 2024.12.05 979
4352 [수요편지] 발심 [2] 불씨 2024.12.18 1019
4351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불씨 2025.01.08 1025
4350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에움길~ 2024.08.20 1065
4349 [수요편지] 형세 [3] 불씨 2024.08.07 1092
4348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불씨 2024.08.21 1113
4347 [목요편지] 흉터 [2] 어니언 2024.07.11 1130
4346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어니언 2024.10.24 1133
4345 [책 vs 책] 무해한 앨리스 화이팅! file [2] 에움길~ 2024.07.22 1161
4344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어니언 2024.08.22 1161
4343 [월요편지] 세상이 분노가 가득한데 [1] 에움길~ 2024.07.08 1165
4342 새로운 마음 편지를 보내며 [4] 어니언 2024.07.04 1167
4341 [목요편지]’호의’라는 전구에 불이 켜질 때 [4] 어니언 2024.07.18 1169
4340 [수요편지] 행복 = 고통의 결핍? 불씨 2024.07.10 1171
4339 [내 삶의 단어장] 알아 맞혀봅시다. 딩동댕~! [1] 에움길~ 2024.07.30 1178
4338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어니언 2024.12.19 1185
4337 [책 vs 책] 어디든, 타국 [1] 에움길~ 2024.08.26 1186
4336 [수요편지] 성공의 재정의 [2] 불씨 2024.07.03 1191
4335 [수요편지] 불행피하기 기술 [3] 불씨 2024.07.17 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