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12월 4일 09시 13분 등록

"그는 숲길을 걷고 있었다. 그때 한 쌍의 뱀이 사랑에 빠져 서로 몸을 칭칭감고 있는 것을 보게되었다. 그는 지팡이로 그 둘을 갈라놓았다.  그러자 그는 여자로 변했다.  몇 년이 지나 여자가 된 그가 다시 숲길 걷다 또 다시 사랑에 빠진 뱀 한 쌍을 보게 되었다. 지팡이로 그 둘을 갈라 놓자 그는 다시 남자가 되었다. 그는 남자로도 살아 보고 여자로도 살아 보게 되었다."

이 사내의 이름은 테이레시아스입니다.  이 일이 있은 후 어느 날, 올림포스 산 위에 살고 있는 제우스는 아내 헤라와 가벼운 입씨름을 하고 있었지요. 남녀가 사랑에 빠지면 누가 더 좋아할까 ? 제우스는 여자가 더 좋아한다고 했고, 헤라는 남자가 더 좋아 한다고 우겼기 때문입니다. 답이 나오지 않자, 그들은 남자로도 살아보고 여자로도 살아 본 테이레시아스를 부릅니다. 그러자 테이레시아스가 대답합니다.

"사랑에 빠지면 여자가 아홉 배는 더 좋아하지요"

내기에 진 헤라가 가지고 있던 지팡이로 테이레시아스를 가볍게 치자 그는 장님이 되어 버립니다. 제우스는 애꿎게 장님이 된 그에게 미안해 졌지요. 그래서 테이레시아스에게 앞을 보지는 못하지만 미래를 예언할 수 있는 힘을 주게 됩니다. 그리스 신화 최고의 예언자가 탄생하게 된 이야기지요.

200912492022734.png
자기경영은 남자도 되어 보고 여자도 되어 보는 것입니다. 즉 한 사물에 두 측면이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지요. 지금의 내 속에 아홉배는 더 좋은 또 다른 인생이 숨어 있다는 것을 알아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통찰은 눈을 감음으로써, 즉 직관의 힘으로 보이는 것을 넘어 숨어있는 것을 보게 된다는 뜻입니다. 자기경영은 바로 자기 속에 숨어 있는 여러 개의 삶에 대한 자기예지력입니다. 바로 자기 속에서 더 나은 자기를 찾아내는 힘이지요. 테이레시아스처럼 눈을 감고, 그대와 함께 살고 있는 더 좋은 그대가 누구인지 찾아보세요.

IP *.160.33.244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9.12.07 07:18:08 *.8.184.167
와~ ^-^*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09.12.07 11:39:01 *.12.160.159
오훗 ~~~~* ^^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36 전통시장, 이제는 컨텐츠를 만들어야...... [3] 이철민 2018.01.11 943
3535 [라이프충전소] 어떻게 이 순간을 잡을 건가요? [4] 김글리 2022.08.26 943
3534 메달을 받다! [1] 어니언 2022.10.13 944
3533 [수요편지] 나에게 돌아가는 길 불씨 2023.03.28 944
3532 서천으로 강연 여행 다녀왔습니다 [1] 제산 2019.06.16 945
3531 Business Tip - 친절한 금자씨 書元 2017.05.20 946
3530 백세번째 마음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사업방침 [6] 재키제동 2017.05.26 946
3529 삶의 전환기에 함께하면 좋은 책 옹박 2017.06.26 946
3528 내가 부리고 싶은 큰 욕심 한가지 file 차칸양 2017.09.19 946
3527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5]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읽기 file [1] 제산 2018.06.25 946
3526 목요편지 -겨울준비 운제 2019.11.21 946
3525 목요편지 - 올해도 반이나 [1] 운제 2020.06.25 946
3524 [라이프충전소] 그냥 서툴게 시작해버려요 [2] 김글리 2022.01.07 946
3523 중요한건 꺾이지 않는 마음 [1] 어니언 2023.03.15 946
3522 [화요편지] 선택의 갈림길에서 [6] 삶을 담은 하루 2023.03.28 946
3521 목요편지 - 꽃비 운제 2020.04.09 947
3520 [용기충전소] 나만의 길을 만드는, 인생학교 [2] 김글리 2020.05.21 947
3519 목요편지 - 인생에 답이 필요할 때 운제 2020.07.03 947
351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2] 인생 첫 사표를 쓴 이유 습관의 완성 2020.11.01 947
3517 정의…2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0.27 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