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9년 12월 11일 04시 22분 등록

"때로는 바보로, 때로는 현자로, 때로는 왕관에 미친 자로, 때로는 방랑자로, 때로는 예언자처럼 흔들리지 않는 존재로, 때로는 자비로운 얼굴로, 때로는 귀한 자로, 때로는 폐덕자로, 때로는 무명인으로.....깨달은 자는 이런 상태에서도 지족의 극락을 산다. 무대 의상을 입고 있든, 벗고 있든 배우는 배우 이전의 그 자신이듯, 불멸의 지혜를 깨친 자는 그 불멸의 경지 안에 거하게 된다 " - Shankaracharya, 죠셉 캠벨의 '천의 영웅'에서 재인용

세상은 종종 무대로 비유되고, 삶은 종종 내가 맡은 배역으로 상징됩니다. 무대는 늘 그 세팅을 바꾸고, 나는 여러 개의 배역을 맡게 됩니다. 위에서 인용한 여러 개의 얼굴들이 다 내가 맡은 적이 있는 배역들입니다. 우리는 늘 자신을 재창조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다양한 우리는 우리 속에 내재하는 불멸의 존재의 현현이기도 합니다.

자기 경영은 부단한 자기 변화를 다룹니다. 시간 속에서 원래의 형태를 보존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자연은 형상에서 형상을 만들어 나갑니다. 그러나 우주 안에서 사라지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오직 변화하고 새로운 형상으로 재생될 뿐입니다. 자기경영은 하나의 나에서 여러 개의 나로 변용되어 스스로를 재창조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여러 개의 배역에서 물러나 하나의 나로 귀환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여러 개의 모습들과 '자기화해'(self-atonement)에 이르러 위대한 '하나 됨 at-one-ment' 으로 물러서는 것입니다.

2009121145436656.jpg

변화는 그러므로 끊임없이 두 개의 세계를 넘나듭니다. 늘 변하는 세계와 불변의 질서 사이를 말입니다. 자기경영에 성공한 사람은 어제의 나를 십자가에 매달 수 있어야 미래의 나와 화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못하면 어제의 영웅은 내일의 폭군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변화는 영속성을 파괴합니다. 그러나 시간을 넘어선 엄연한 불변성을 개인 존재의 영속성으로 오해하지 않습니다.  옷과 알몸을 구별하되, 언제 어떤 옷을 입고 새로운 배역에 충실해야하는 지 알고 있는 것이지요.  

IP *.72.208.16

프로필 이미지
2009.12.11 08:35:00 *.250.117.166
분홍 바탕의 하얀 별들이 어쩐지 카프라가 말하는 우주로 다가옵니다.

불멸과 필멸 사이에 놓여있는 영원불변의 법칙을 간직하고
오늘도 죽고 또 죽으며 다시 태어나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먼별이
2009.12.11 16:21:35 *.250.117.166
네, 선배. 그러게요...^^
프로필 이미지
예서
2009.12.11 13:09:26 *.71.76.251
먼별아 내눈에는  고기서 맞았을 눈 같다.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09.12.19 12:47:31 *.248.91.49

"내가 몸알로 있으면 어쩌려구 노크도 없이 문을 열었어요?"
콜롬반 수도회 소속 설신부님의 한국말 어휘
알몸-> 몸알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7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99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9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1
4332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15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20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7
4329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5
4328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6
4327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7
4326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7
4325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3
4324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3
4323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3
4322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1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20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7
4319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48
4318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49
4317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