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1월 8일 03시 03분 등록

  처음에 우주는 인간의 모습을 한 '자아 Self' 였다.   그는 주위를 둘러보았으나 아무도 없었다.  그러자 두려워 졌다. 사람이 혼자 있으면 두려워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자아는 생각했다.     "내가 대체 무엇을 두려워하는가 ? 나 외에는 아무도 없는데" 그러자 두려움이 사라졌다.   

   그러나 불행했다.   왜냐하면 혼자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혼자 있을 때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남녀가 부둥켜안고 있는 형상만큼 커졌다. 그리고 나서 스스로 형상을 둘로 나누었다.    형상은 남편과 아내로 나뉘어졌다.   그는 아내와 교합했고, 그래서 인간이 태어났다. 아내는 그가 싫어졌다. 사람이 너무 오래 가까이 같이 있으면 싸우는 이유다. 아내는 암소로 변해 버렸다. 그러자 그가 수소로 변해 암소와 교합했다. 그래서 소가 태어났다. 이제는 아내가 암말로 변해 달아났다. 그는 숫말이 되어 아내와 교합했다. 그래서 말이 태어났다. 이렇게 하여 저 개미에 이르기 까지 짝으로 존재하는 모든 생물이 만들어졌다.     드디어 그는 깨달음을 얻었다. 그리고 이렇게 말했다. "내가 만물을 지었으니, 내가 곧 '창조'로구나 " 그리하여 자아는 창조로 불리게 되었다.

  이것은 인도의 한 창조 신화입니다.   나는 이 이야기를 좋아 합니다.   너무 귀여운 이야기입니다.   자기경영은 곧 창조입니다. 자신 안에 무엇인가를 잉태하여 자꾸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것에 물리면 저것을 만들고, 저것에 물리며 그것을 만들고, 그렇게 이것저것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그래도 심심하면 마침내 전혀 다른 자기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자아가 또 다른 자아를 만들어 내는 것이지요.

20101832056515.png
   자기경영은 바로 이렇게 자신을 새롭게 바꾸어 가는 것입니다.   달이 그림자를 버리고 날마다 새로워지듯, 자아는 날마다 새로워 지지 않으면 지루해 못 삽니다.   지금은 새벽 2시입니다.   얼마 전까지 보름달이었다가 그믐을 향해가는 달이 비스듬히 누워 막 산 위로 떠올랐습니다.   어찌나 예쁜지요.    창조 중의 으뜸은 자신을 변화시켜 새로운 자신으로 바꾸어 버리는 것입니다.   창조를 자아에 적용한 것이지요.    새해에는 자신을 빚어 무엇을 만들어 내고 싶으신지요 ?

 

IP *.160.33.244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나무처럼
2010.01.08 04:48:35 *.64.107.166
새해인사 드립니다.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더 많이 사부님과 "더불어 함께" 변화되어 나갔으면 합니다.

햇빛처럼 드림.
프로필 이미지
김주한
2010.01.08 08:54:40 *.174.66.219
사부님, 연말에 인사 못드렸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올해는 그림전시를 하셔도 되겠어요!!
프로필 이미지
정야
2010.01.08 11:03:53 *.12.21.72
하하.. 힌두신화 참 재미있습니다.^^  신들도 고행을 통해 더 큰 힘을 얻고...한번 뱉은 말은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며 선과 악이 싸우고....그리스로마 신화를 떠올리며 아이들 시각으로 읽으니 더 재미있습니다.  암튼 좀 더 깊습니다.헤헤
스승님께서 자아경영을 읽어 내시듯 저도 제 책에 대한 영감을 얻어야 할터인데요....^^
프로필 이미지
김영철
2010.01.09 21:49:03 *.29.105.130
선생님께서는 새해에도 변함없이 늘 좋은글 예쁜 그림으로 깨우침을 주십니다
늘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5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96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3
4333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09
4332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0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13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3
4329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1
4328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4
4327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4
4326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7
4325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0
4324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0
4323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0
4322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42
4321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0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5
4319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18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45
4317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