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27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0년 1월 13일 09시 46분 등록

 

“나 혼자 힘으로 그 기록을 깨는 건 불가능하다. 누군가 날 끌어줘야 한다. 2초는 아주 작은 것 같지만 이제 그것은 내게 벽돌을 깨는 것같이 느껴진다. 솔직히 내 능력 밖의 일인 것 같다.”

 

- 육상선수, 로저 배니스터 -

-------------------------------------

 

1마일은 1,609m로 육상트랙 네 바퀴에 해당합니다.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생리학자들은 인간이 1마일을 4분 이내에 달리는 것은 불가능이라고 단언했습니다. 하지만 1954년 그 관념적 절대한계는 무너지고 맙니다.  4분 벽을 넘어서고자 하는 로저 배니스터라는 대학생에 의해서입니다. 이 유명한 사례는 흔히 신념의 힘을 강조하기 위해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합니다. 그런데 신념의 힘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지만 간과되고 있는 사실은 배니스터의 과학적 훈련방법과 페이스메이커의 힘입니다. 배니스터는 자신을 도와 줄 두 친구(우측 사진 좌우 인물)에게 기록갱신을 위한 페이스메이커가 되어달라고 부탁하여 함께 연습하고 경기에 출전했습니다. 그리고 두 친구는 구간별로 맡아 그가 적정 페이스를 유지하도록 자기역할을 다한 것입니다.  

 

 

마라톤 대회를 보면 페이스메이커가 있습니다. 선수들의 기록갱신을 위한 전문 페이스메이커도 있고, 아마추어 참가자의 완주를 돕는 페이스메이커도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참가자들이 서로를 격려하며 달리기에 사실상 서로가 서로의 페이스메이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 이끌어주는 힘이 있기에 많은 사람들이 포기하지 않고 마라톤 코스를 완주해낼 수 있는 것입니다.  

 


인생을 우리가 완주할 수 있는 것도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는 혼자 달리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수많은 페이스메이커를 만납니다. 물론 모든 페이스메이커가 자신에게 꼭 좋을 수만은 없습니다. 때로는 너무 지나칠 정도록 끌고 갈 수도 있고, 때로는 너무 쳐지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마라톤보다 훨씬 더 긴 인생에서 우리는 얼마든지 자신에 맞는 페이스메이커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절대적으로 좋은 페이스메이커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실력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목표를 정할 때 자신에 맞는 페이스메이커를 찾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인생의 어느 구간에서는 누군가를 위한 페이스메이커가 되어주는 것이야말로 의미있는 인생의 완주를 위한 조건이 아닐까 싶습니다.    

 

 

 

- 2010. 1. 13.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354호-



link.jpg

IP *.131.5.204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1.15 09:47:57 *.67.223.154

인생길의 pacemaker는

함께 걸어가는 사람이기도 하고
앞서서 걸어가는 사람이기도 하겠네요.
친구와 스승을 알아보는 선수의 눈이,  마음이 그에게 영광을 가져다 주었겠지요?

불꽃이 꽃불이 되어 타오르는 것 같습니다.

성찰하고 사색에 잠기게 하는 글, 늘  잘 읽고 있습니다. 고마워요..  문요한 선배님~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16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구름 속에서 탄생한 와인의 기적 1 file [1] 알로하 2019.06.30 948
3515 목요편지 - 음악이야기 [1] 운제 2020.06.18 948
3514 [용기충전소] 예술은 00 [1] 김글리 2020.09.17 948
3513 [월요편지 118] 우리가 미루는 진짜 이유(part2) [1] 습관의 완성 2022.07.31 948
3512 [수요편지] '나'에 대한 짧은 생각들 [1] 불씨 2023.04.04 949
3511 [월요편지-책과 함께] 긴 숟가락 세상에서 [2] 에움길~ 2023.07.24 949
3510 [수요편지 13- 책읽기를 통한 신비체험] [5] 수희향 2017.09.13 950
3509 알아두면 쓸데있는 근거없는 계산법 1 [2] 이철민 2017.10.19 950
3508 화요편지 - 회의를 좋아합니다만 [1] 종종 2022.08.16 950
3507 [화요편지] 그때 거기, 있었던 그대로 file 아난다 2020.08.18 951
3506 가족처방전 – “엄마, OO해도 돼요?” 라는 질문에 대하여, 두번째 이야기 file 제산 2018.08.06 952
3505 [금욜편지 94- 관계는 정녕 따로또같이] [3] 수희향 2019.06.28 952
3504 [수요편지]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불씨 2023.08.29 952
3503 [용기충전소] 일상을 소비하는 새로운 방식 김글리 2020.06.12 953
350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5]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2가지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9.14 953
3501 여든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아홉번째 토크쇼 재키제동 2016.11.25 954
3500 가족처방전 – 어버이날 아버지 선물 준비하셨나요? file 제산 2018.05.07 954
3499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3편-퇴직연금(1)) [2] 차칸양 2018.10.09 954
3498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세 번째 이야기 file 제산 2019.09.23 954
3497 '할말'을 마무리 하며 장재용 2019.12.18 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