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284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1월 27일 09시 54분 등록

“평가목표를 가진 아이들은 부모가 자기들을 도와줄 때, 그것은 부모가 자기의 능력을 신뢰하지 않아서라고, 자기 스스로 그것을 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해서라고 말한다. 반면 학습목표를 가진 아이들은 ‘우리 부모님은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혹은 내가 공부 전략을 잘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싶기 때문에 도와준다.’고 말하며, 그들이 나를 도와주는 것이지, 나로부터 내 일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 캐롤 드웩, 스탠포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

 

 

초등학교 혹은 중학교까지는 나름 공부를 잘 하다가 고등학교 올라가고 나서 성적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꽤 있습니다. 부모들은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답답하고 궁금해서 속이 탑니다.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이 잘 형성되지 않았거나 이해가 아닌 암기식 학습법에 의존한 경우 등 여러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심리학과 교수인 캐롤 드웩은 ‘목표설정의 차이’를 우선적으로 꼽습니다.

 


 

공부를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자 하는 사람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똑똑하게 보이려는 사람과 배우려는 사람입니다. 자신이 얼마나 똑똑한지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증명해보이고자 공부하는 사람은 ‘평가(성과)목표’를 지닌 사람이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이를 더욱 익히고자 하는 사람은 ‘학습목표’를 지닌 사람입니다. 물론 현실에서는 둘 중의 하나가 아니라 둘 사이의 비율 차이라고 해야겠지요. 아무튼 공부의 초기에는 두 부류 모두 열심히 하게 되지만, 전반적인 공부의 난이도가 높아지게 되면 달라집니다. 즉, 평가목표가 중요한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이 어떻게 평가받을지 걱정되어 자꾸 도전과 노력을 꺼려하지만, 학습목표가 중요한 사람들은 새롭고 어려운 것에 흥미를 가지고 도전과 재도전을 거듭합니다.

 

  


우리 사회적 환경에서 결코 쉽지 않지만 부모는 자녀들이 평가목표가 아닌 학습목표를 더 중요하게 여기도록 세심하게 안배해야 합니다. ‘너는 우수해. 잘 할 수 있어.’ 혹은  ‘사람들(우리들)이 너를 믿고 있어.’라는 식의 평가목표를 자극하게 되면 아이는 십중팔구 어려운 공부를 이겨내지 못합니다. 그에 비해 ‘처음에는 힘들지만 하면 할수록 나아질 거야.’ ‘잘 안 되는 것은 소질이 없는 것이 아니라 다르게 해봐야 한다는 거야.’라고 학습목표를 중시하도록 대한다면 아이는 어려운 공부 앞에서도 보다 그 과정을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과 자녀)은 똑똑하게 보이려는 사람인가요? 배우려는 사람인가요?
 
   

 

 

- 2010. 1. 27.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358호-



link.jpg


IP *.131.5.204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1.29 07:13:31 *.67.223.154
"가끔 초등학교때에는 공부를 잘하지 못했어요.
중학교 2학년부터 점점 잘하게 되더군요."
그 아이는 이제 "수재"의 반열에 들어 시선을 끌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평가목표 지향적 태도 와 학습목표 지향적 태도의 차이로 이해해보니.....해석이 잘되는군요.
다르게 생각해보기 목록에 추가해야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나무처럼
2010.01.29 10:59:15 *.190.122.223
평가목표, 학습목표 잘 알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96 [수요편지] 노리스크 노리턴 [1] 불씨 2023.09.27 954
3495 그림으로 말해요 – 첫 번째 이야기 file [2] 제산 2017.06.19 955
3494 [라이프충전소] 내 인생의 길잡이 찾기 [1] 김글리 2022.10.07 955
3493 [수요편지]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불씨 2023.08.29 955
3492 가족처방전 - 아들이 남편을 대신하고 있어요. 제산 2018.01.29 956
3491 ‘강사를 가르치는 강사’ 유형선의 <강의 잘 하는 법>(하편) 차칸양 2018.02.27 956
3490 가족처방전 – 어버이날 아버지 선물 준비하셨나요? file 제산 2018.05.07 956
3489 월급쟁이가 책을 읽는다는 것 장재용 2020.04.28 956
3488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의 좋은 글들>을 소개합니다! [4] 차칸양 2018.09.11 957
3487 133번째 마지막 월요편지 제산 2020.03.16 958
3486 [라이프충전소] 바뀐 건 없다, 단지 [6] 김글리 2022.10.21 958
3485 꽃이 진다고해서 봄이 지나 書元 2017.07.15 959
3484 [금욜편지 102- 책쓰기준비 1- 진짜욕구] 수희향 2019.08.23 959
3483 [월요편지 98]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2가지 날 [1] 습관의 완성 2022.03.06 959
3482 일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덜어내기 재키제동 2016.10.28 961
3481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02] 신화의 힘 [2] 제산 2018.04.30 961
3480 '1인 기업가' 차칸양의 명함 제작기 file [4] 차칸양 2018.06.05 961
3479 [금욜편지 71- 그리스인 조르바- 불편한 자유] [4] 수희향 2019.01.11 961
3478 [수요편지] 꽃은 스스로 피고지는 것을 걱정하지 않는다 [1] 불씨 2022.08.09 961
3477 자기분야에 경계를 세우지 마라 이철민 2017.09.21 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