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2월 5일 08시 21분 등록

 '옛날에 아주 옛날에 보기, 듣기, 생각하기, 성적충동, 호흡이 각자 주장하기를,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자기라고 서로 다투었다. 아무도 물러서지 않았기 때문에 이 다툼은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그리하여 마침내 차례로 1년 씩 몸을 떠나 있기로 했다. 그러면 누가 가장 소중한지 알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보기와 듣기가 차례로 몸을 떠났다. 삶을 괴로웠지만 그럭저럭 살 수 있었다. 또 생각하지 못해도, 성적충동이 일지 않아도 삶은 그럭저럭 꾸려져갔다. 드디어 호흡이 몸을 떠나려 하자, 모두 일어나 호흡의 손을 잡았다. 호흡이 떠나면 끝장인줄을 알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호흡이 으뜸이 되었다.'    - 우파니샤드

   인도인들에게 호흡이 어째서 그렇게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신화입니다. 우리는 늘 숨을 쉽니다. 호흡을 하다 보면 깨닫게 됩니다. 내가 숨을 쉬는 것이 아니라 우주의 어떤 존재가 나를 숨쉬게 한다는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하여 우주와 하나가 됩니다.   의도적으로 숨쉬기 위해 애쓰거나 개입하게 되면 금방 호흡은 부자연스럽게 흩어집니다. 호흡은 나의 참여 없이도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호흡을 통해 나의 몸은 받아들인 음식물을 변화시켜 살 수 있는 에너지를 얻습니다. 나는 늘 만들어 지고 변화하는 과정에 있는 것이지 한번도 '완성된 적'이 없습니다. '받아들이기-변화하기-돌려주기'를 반복하며, 지금의 삶이 이루어집니다.

   자기경영은 한 순간의 호흡입니다.   호흡의 리듬 속에서 '지금 여기 살아있음'을 만지고, 냄새 맡고, 느끼는 것입니다. 가장 단순한 것에 의지하여 강제된 모든 번잡을 버리는 것입니다.  

  과거가 족쇄가 되어 현재를 가두지 않도록, 미래가 납덩어리처럼 마음의 평화를 압박하지 않도록,  살아지는 대로 기쁘게 사는 것입니다.   그것은 마치 돌연 마주친 아름다운 풍광에 사진기를 들여대는 대신,  천천히 그 아름다움 속으로 스미듯 걸어들어 가는 현재성입니다.  

  자기경영은 '지금 여기'입니다.  지금의 '떨림'을 온몸으로 기뻐하는 것입니다.

2010258268187.png

IP *.160.33.217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2.05 23:13:36 *.67.223.154

치약처럼 짜내려가신 호흡입니다. 선생님.
고생이 많으셨지요?
어떤 방법으로 힘을 북돋아드릴 수 있을까 생각하는 사이에
치약같은 숨을 다 쉬어버리셨더군요. ㅋㅋㅋ

이제 새사람들이 고추장 처럼 맛있는 숨을 쉬어주어야 할텐데요....
OUM 처럼 멋있게 흘러나오면 좋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10.02.06 07:04:31 *.160.33.217

좌샘은 별걸 다 알아보는군요.  
뱀이 되려 했는데, 치약이 되었군요.  오~우~음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96 [수요편지 13- 책읽기를 통한 신비체험] [5] 수희향 2017.09.13 960
3495 [금욜편지 102- 책쓰기준비 1- 진짜욕구] 수희향 2019.08.23 960
3494 [금욜편지 117- 책쓰기는 자기성장이다] 수희향 2019.12.20 960
3493 [라이프충전소] 내 인생의 길잡이 찾기 [1] 김글리 2022.10.07 960
3492 [수요편지] 노리스크 노리턴 [1] 불씨 2023.09.27 960
3491 일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덜어내기 재키제동 2016.10.28 961
3490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3편-퇴직연금(1)) [2] 차칸양 2018.10.09 961
3489 [금욜편지 71- 그리스인 조르바- 불편한 자유] [4] 수희향 2019.01.11 961
3488 목요편지 - 인생에 답이 필요할 때 운제 2020.07.03 961
3487 자기분야에 경계를 세우지 마라 이철민 2017.09.21 962
3486 '1인 기업가' 차칸양의 명함 제작기 file [4] 차칸양 2018.06.05 962
3485 [수요편지] 말하지 않을게, 므앙펑 [1] 장재용 2019.06.19 962
3484 133번째 마지막 월요편지 제산 2020.03.16 962
3483 [월요편지 118] 우리가 미루는 진짜 이유(part2) [1] 습관의 완성 2022.07.31 962
3482 [용기충전소] 웰컴 투 크레이지 하우스! 김글리 2020.06.18 963
3481 [라이프충전소] 바뀐 건 없다, 단지 [6] 김글리 2022.10.21 963
3480 여성 리포트 - 비교는 경쟁력이다 書元 2017.04.01 964
3479 [금욜편지 29 – 발목 재수술] [12] 수희향 2018.03.23 964
3478 [일상에 스민 문학] - 게이의, 게이에 의한, 게이를 위한, 정재엽 2018.08.29 964
3477 [화요편지]'인정받고 싶던 여자'의 격조있는 성취 아난다 2020.02.05 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