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규
- 조회 수 491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개념 혹은 사상 창조자
셈해 보니 나는 18년 간 학교에서 공부했습니다. 초등학교부터 대학원 석사 과정까지 제도화된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공부한 시간이 그렇게나 긴 시간입니다. 그렇게 긴 시간 동안 공부해 놓고도 삶이 무언지 몰라 쩔쩔맨 시간이 많았습니다. 사랑이 무엇인지 몰라 아픈 날 많았습니다. 무엇이 참으로 귀하고 무엇이 사소한 것인지 몰라 귀한 것을 놓치고 사소한 것에 빠져 허우적거린 날 셀 수 없이 많았습니다.
천성이 책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라 책에 빠져 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그 세월만큼 읽은 책도 제법이고, 두세 권 내 이름을 달고 책을 내놓기에 이르렀지만, 아직도 본질을 보지 못하고 변죽만 울리는 갑갑함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어제 읍내에서 한 분야를 30년 간 공부하셨다는 분의 강의를 들었는데 역시 비슷한 답답함을 느꼈습니다. 그 선생님 말씀이 자신이 조선말기에 있었던 농민운동과 그 사상을 그토록 오랫동안 공부하셨다는데 강의는 시원하지가 않았습니다. 그 사상의 위대함은 알겠는데, 그 사상이 이 시대에 어떻게 창조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과 답은 들을 수 없었습니다.
연대기적 사실과 배경, 흐름을 그간의 사료와 당신이 발로 뛰어 직접 발굴해 낸 자료를 중심으로 탁월하고도 객관적으로 풀어낸 강의지만, 나는 그 운동이 품고 있는 사상에 대한 설명에서는 답답함을 느꼈습니다. 그 답답한 감정은 코끼리의 다리는 선명하게 만지고 있는데 코끼리를 온전히 볼 수 있는 눈을 열어주지는 못하는 느낌이었습니다.
돌아와 아랫목에 누워서 긴 시간 그 생각을 했습니다. 나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최소 20년 가까이, 혹은 그 이상의 공부를 하는데 도대체 왜 우리는 코끼리의 다리를 만지다가 마는 걸까? 백이삼십 년 전에 그 농민운동의 사상적 뼈대를 구축하고 많은 민중들의 가슴을 그 사상으로 물들여 놓은 분들은 농민과 민중에게 이것이 참된 삶이고 진실이요 저것이 허위고 거짓이라고 설파했습니다. 그런데 후학은 그 사상의 조각들을 어루만지는 수준에만 머물러 있습니다. 과거의 위대함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 대부분이 그렇습니다. 우리 각자가 행하는 제 분야의 공부가 그렇게 선대의 사유를 쫓아가기에 급급합니다. 모으고 흩고, 다시 모으면서 새롭게 창조해 내는 힘이 확실히 빈약합니다. 한 시대의 문제, 아니 작게는 우리가 당면한 현실적인 문제의 본질을 꿰고 그 답을 내놓을 창조적 개념과 위대한 사상이 이 땅에서 나오지 못한 것이 너무 오래 되었습니다. 그러한 개념과 사상의 창조자가 보이지 않은지 너무 오래입니다. 왜 그럴까요? 공부 제도나 방법의 한계일까요? 사유의 한계일까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97 | 진정한 예술가는 작품을 출하한다 | 승완 | 2013.02.26 | 4580 |
1596 |
깊고 뜨거운 ![]() | 최우성 | 2013.02.25 | 3601 |
1595 | 그렇게 사랑해 보신 적 있으신지요? | 김용규 | 2013.02.21 | 5858 |
1594 | 최고의 부모란 | 문요한 | 2013.02.20 | 4492 |
1593 |
스티브 잡스의 ‘현실 왜곡장’ ![]() | 승완 | 2013.02.19 | 5278 |
1592 | 자기결정권 | 최우성 | 2013.02.18 | 4759 |
1591 | 봄이 온다 [8] | 부지깽이 | 2013.02.16 | 10958 |
1590 | 겨울을 견뎌낸 생명들처럼 [1] | 김용규 | 2013.02.14 | 5161 |
1589 | 마음을 살피는 마음 [1] | 문요한 | 2013.02.13 | 4166 |
1588 |
바람을 담는 집 ![]() | 승완 | 2013.02.12 | 4217 |
1587 | 하루 [1] | 최우성 | 2013.02.11 | 4820 |
1586 | 온천장에서 보내는 편지 [2] | 부지깽이 | 2013.02.08 | 4663 |
1585 | 그대 분노 꽃이 될 때 까지 [3] | 김용규 | 2013.02.07 | 3754 |
1584 | 시간은 당신 편이다 | 문요한 | 2013.02.06 | 3873 |
1583 |
손으로 쓴 엽서 ![]() | 승완 | 2013.02.05 | 4425 |
1582 | 미래의 소설가 | 최우성 | 2013.02.04 | 4587 |
1581 | 사랑의 기술 [1] | 부지깽이 | 2013.02.01 | 7718 |
» | 개념 혹은 사상 창조자 | 김용규 | 2013.01.31 | 4912 |
1579 | 고통의 질감이 달라질 때 | 문요한 | 2013.01.30 | 12770 |
1578 |
어머니는 최선을 다하셨어요 ![]() | 승완 | 2013.01.29 | 34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