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규
- 조회 수 491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개념 혹은 사상 창조자
셈해 보니 나는 18년 간 학교에서 공부했습니다. 초등학교부터 대학원 석사 과정까지 제도화된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공부한 시간이 그렇게나 긴 시간입니다. 그렇게 긴 시간 동안 공부해 놓고도 삶이 무언지 몰라 쩔쩔맨 시간이 많았습니다. 사랑이 무엇인지 몰라 아픈 날 많았습니다. 무엇이 참으로 귀하고 무엇이 사소한 것인지 몰라 귀한 것을 놓치고 사소한 것에 빠져 허우적거린 날 셀 수 없이 많았습니다.
천성이 책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라 책에 빠져 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그 세월만큼 읽은 책도 제법이고, 두세 권 내 이름을 달고 책을 내놓기에 이르렀지만, 아직도 본질을 보지 못하고 변죽만 울리는 갑갑함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어제 읍내에서 한 분야를 30년 간 공부하셨다는 분의 강의를 들었는데 역시 비슷한 답답함을 느꼈습니다. 그 선생님 말씀이 자신이 조선말기에 있었던 농민운동과 그 사상을 그토록 오랫동안 공부하셨다는데 강의는 시원하지가 않았습니다. 그 사상의 위대함은 알겠는데, 그 사상이 이 시대에 어떻게 창조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과 답은 들을 수 없었습니다.
연대기적 사실과 배경, 흐름을 그간의 사료와 당신이 발로 뛰어 직접 발굴해 낸 자료를 중심으로 탁월하고도 객관적으로 풀어낸 강의지만, 나는 그 운동이 품고 있는 사상에 대한 설명에서는 답답함을 느꼈습니다. 그 답답한 감정은 코끼리의 다리는 선명하게 만지고 있는데 코끼리를 온전히 볼 수 있는 눈을 열어주지는 못하는 느낌이었습니다.
돌아와 아랫목에 누워서 긴 시간 그 생각을 했습니다. 나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최소 20년 가까이, 혹은 그 이상의 공부를 하는데 도대체 왜 우리는 코끼리의 다리를 만지다가 마는 걸까? 백이삼십 년 전에 그 농민운동의 사상적 뼈대를 구축하고 많은 민중들의 가슴을 그 사상으로 물들여 놓은 분들은 농민과 민중에게 이것이 참된 삶이고 진실이요 저것이 허위고 거짓이라고 설파했습니다. 그런데 후학은 그 사상의 조각들을 어루만지는 수준에만 머물러 있습니다. 과거의 위대함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 대부분이 그렇습니다. 우리 각자가 행하는 제 분야의 공부가 그렇게 선대의 사유를 쫓아가기에 급급합니다. 모으고 흩고, 다시 모으면서 새롭게 창조해 내는 힘이 확실히 빈약합니다. 한 시대의 문제, 아니 작게는 우리가 당면한 현실적인 문제의 본질을 꿰고 그 답을 내놓을 창조적 개념과 위대한 사상이 이 땅에서 나오지 못한 것이 너무 오래 되었습니다. 그러한 개념과 사상의 창조자가 보이지 않은지 너무 오래입니다. 왜 그럴까요? 공부 제도나 방법의 한계일까요? 사유의 한계일까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817 | 공부란 무엇인가? [1] | 부지깽이 | 2013.01.04 | 9713 |
2816 |
나의 노래를 부르면 된다. ![]() | 최우성 | 2013.01.07 | 4310 |
2815 |
비정상적이고 예외적인 한 사람의 이야기 ![]() | 승완 | 2013.01.08 | 4286 |
2814 | 소유에서 존재로 | 문요한 | 2013.01.09 | 6172 |
2813 | 경험에 머물지 마라, 체험이 되게 하라! | 김용규 | 2013.01.10 | 5298 |
2812 | 이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키스에 대하여 [1] | 부지깽이 | 2013.01.11 | 8013 |
2811 | 행복한 질문 | 최우성 | 2013.01.14 | 4823 |
2810 |
애팔래치아 트레일이 주는 교훈 ![]() | 승완 | 2013.01.15 | 5633 |
2809 | 프리에이전트의 DNA | 문요한 | 2013.01.16 | 3758 |
2808 | 인간 폭력성에 대한 성찰 | 김용규 | 2013.01.17 | 4660 |
2807 | 생명을 키우는 것은 성실함이란다 [1] | 부지깽이 | 2013.01.18 | 5940 |
2806 | 사람들 [4] | 최우성 | 2013.01.21 | 3738 |
2805 |
책 읽는 인생 예찬 ![]() | 승완 | 2013.01.22 | 3969 |
2804 | 프로가 된다는 것 [1] | 문요한 | 2013.01.23 | 4360 |
2803 | 농사꾼 말고 농부로 살고 싶은 이유 | 김용규 | 2013.01.24 | 5267 |
2802 | 사랑, 그 다양함에 대하여 | 부지깽이 | 2013.01.24 | 7203 |
2801 |
꿀처럼 달다 ![]() | 최우성 | 2013.01.27 | 3645 |
2800 |
어머니는 최선을 다하셨어요 ![]() | 승완 | 2013.01.29 | 3448 |
2799 | 고통의 질감이 달라질 때 | 문요한 | 2013.01.30 | 12772 |
» | 개념 혹은 사상 창조자 | 김용규 | 2013.01.31 | 4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