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032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0년 3월 24일 16시 00분 등록

 

  

“죽은 이후 한 가지 소원이 있다면 내가 생을 마친 후 나의 생을 장식했던 모든 출연진들이 나타나 축하의 꽃다발과 함께 박수를 치며 나를 격려하는 그런 순간을 맞이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웃으며 내게 이렇게 말해준다. ‘모든 게 쇼였어.’ 그리고 이제부터가 진짜라고 해주면 좋겠다.”

 

- 이 석원의 <보통의 존재> 중에서 -

--------------------------------------------

 

 

스토아 학파의 창시자인 제논은 철학자가 되기 이전에 상인이었다고 합니다. 그가 철학을 하게 된 데는 그의 노예에게 받은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단적으로 나타내주는 일화가 있습니다. 어느 날 무슨 일 때문인지 제논이 무척 화가 나서 노예의 뺨을 때렸는데 그 노예가 감정적 동요 없이 평온한 목소리로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주인님! 저는 아득히 먼 옛날부터 이 순간에 주인님에게 뺨을 맞도록 되어 있었고, 주인님은 또 제 뺨을 때리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지금 우리 두 사람은 정해진 운명에 따라 충실히 제 역할을 수행했을 뿐입니다." 제논은 이 말을 듣고 큰 영향을 받아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현실 수용의 마음에 눈뜨게 되었다고 합니다.

 

 

혹시 영화 트루먼 쇼처럼 삶을 하나의 연극이라고 생각해보신 적이 있나요? 만일 누군가 정해놓은 각본이 있고 내가 만나는 사람들이 각자 맡은 배역을 연기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즉, 누군가와 사랑해서 희열을 느끼기도 하고, 누군가 나를 깊은 고통에 빠지게도 하지만 만일 이 모든 것이 짜여진 각본에 의해 벌어진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어떨까요? 다만 우리가 각자의 배역에 너무 심취해서 이것이 연극인지도 모르고 살아가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지요. 

 

 

삶이 연극인지 아닌지 저는 모릅니다. 하지만 저는 한 번씩 ‘삶이 연극이라면?’하는 상상을 떠올려보곤 합니다. 어떤 대상에 대해 너무 집착해 있거나 동일시하고 있으면 ‘지금 나는  하나의 배역을 맡고 있을 뿐이야.’하면서 마음을 다스려보기도 하고, 누군가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들은 어떤 가르침을 주기 위해 지금 이 시점에 등장하는 거야.’라고 생각을 해봅니다. 그리고 삶에 권태가 느껴지면 앞으로 내가 맡게 될 새로운 배역이 무엇일지 떠올려보곤 합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무언가 얻게 될 때도 있고, 마음이 덜 괴로워지기도 합니다.

 

 

어쩌다 한 번씩은 삶을 연극이라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주위 사람과 자신 그리고, 지금 내 앞에 벌어진 일들에 대한 느낌과 의미가 달라질지 모르니까요.  

  

 

 

- 2010. 3. 24.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372호-


link.jpg



IP *.131.5.204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3.24 20:59:55 *.36.210.184
삶은 연극 맞아요.

우리는 얼마든지 천의 얼굴을 가질 수 있는 저마다의 "끼"를 가지고 태어났고, 때때로 생각지 않은 역할에도 많이 맡겨지곤 하잖아요.

언제 어느 때 각자에게 맞는 "끼"를 찾아 내느냐도 일상에서 무척 재미나고 신나는 일 일수 있어요.

요한 아우님은 항상 점잖지만 변.경.연의 연구원들이 함께 모이는 날이면 언제나 즐겁게 연극같은 "끼"를 드러내곤 하여 재미나지요. 곧 봅시다. ^-^*

프로필 이미지
최정희
2010.03.26 06:00:10 *.106.63.145
써니 말에 동의해요. 요한선배님은  2개의 배역을 맡았더군요.

세상 모든 이야기를 다 들어주는 경청가
변.경.연 에서는 어린아이의 순수함을 담은 꼬맹이 철학자^^
난 지금의 배역이 너무 좋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0.03.31 10:59:48 *.131.5.204
두분 누님말씀을 듣고보니 저뿐만이 아니라 변경연에서 만나는 많은 사람들이 회사나 가정에서 보이는 모습과는 사뭇 다르지 않을까 싶네요. 두분 누님들도 그렇구요. 굳이 이야기하자면 '변경연 인격체'가 따로 있다고 해야될까요? 자신의 또 다른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 변경연의 참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앞으로 여러 배역으로 살아갈 수 있다면 참 좋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삶을 연극이라 생각한다면 [3] 문요한 2010.03.24 3032
3455 노래하자, 스스로를 노래하자 file [5] 김용규 2010.03.25 2910
3454 이 세상에 내 세상도 하나 있어야 겠다 file [2] 부지깽이 2010.03.26 4335
3453 잡다한 일상을 정리하라 [2] 신종윤 2010.03.29 2716
3452 존경하는 사람을 찾아 떠나는 여행 file [5] 승완 2010.03.30 3370
3451 생명연장 프로그램 [1] 문요한 2010.03.31 2816
3450 삶의 기둥 하나 - 농부의 꿈 file [4] 김용규 2010.04.01 3135
3449 보이지 않는 메시지를 읽어내는 힘 [3] 부지깽이 2010.04.02 2894
3448 왜 이리 배움이 더딜까 file [4] 신종윤 2010.04.05 2860
3447 마음속에 그려둔 ‘터닝포인트 스토리’를 실천하는 사람 file [2] 승완 2010.04.06 2883
3446 왜 부탁하지 않았는가 [2] 문요한 2010.04.07 2939
3445 별빛 아래서 나무를 심은 까닭 김용규 2010.04.08 3363
3444 매료된 영혼 file [1] 부지깽이 2010.04.09 3236
3443 어리석은 꿈 하나 file [10] 신종윤 2010.04.12 3017
3442 인간은 살아 있는 예술이다 file [3] 승완 2010.04.13 3194
3441 기대가 있는 곳에 실망이 있다 [1] 문요한 2010.04.14 2839
3440 책을 쓰며 살고자 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정신 [2] 김용규 2010.04.15 2828
3439 무너지지 마라 춤출 수 있다 file [4] 부지깽이 2010.04.16 4439
3438 운명의 목덜미를 움켜쥐겠노라 file [2] 신종윤 2010.04.19 7035
3437 오래 가는 사람은 매일하는 사람 file [6] 승완 2010.04.20 3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