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3208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0년 4월 13일 00시 39분 등록

중고등학교 시절, 일기를 썼습니다. 일기장에 수십 편의 자작시를 적기도 했습니다. 거의 매일 쓴 일기와 어설픈 시를 읽으면 당시의 내가 보입니다. 보고 있자니 슬픔과 기쁨, 한숨과 미소가 뒤섞입니다. 지금은 시를 쓰지 않습니다. 가끔 쓰고 싶을 때가 있지만 잘 쓸 자신이 없습니다.

월트 휘트먼의 <나 자신의 노래>를 읽었습니다. 갑자기 시를 쓰고 싶습니다. 비범한 시인의 노래가 내 안에 잠들어 있던 시인을 깨웁니다. <나 자신의 노래>는 월트 휘트먼이 평생 써온 일기와 메모를 직접 엮은 책입니다. 그는 늘 작은 수첩을 가지고 다니면서 ‘보고 들은 모든 것을 기록’했습니다. 깨달음은 언제나 순간적으로 옵니다. 휘트먼은 작은 수첩 덕분에 그런 순간을 잡을 수 있었을 겁니다. 그는 말합니다.

“내 주머니엔 언제나 노트가 있다. 겨울과 여름, 도시와 시골, 혼자 집에 있든 낯선 곳을 여행하든, 내 주머니엔 언제나 노트가 있다. 나이를 먹고, 몸이 제대로 말을 듣지 않게 되면서 노트는 나의 유일한 친구가 되었다. (...) 인간은 만족할 수 있는 대상을 찾아야 하고, 영원히 가질 수 없는 것을 동경해야 한다. 나는 한 권의 노트로 만족하고, 자연을 동경하기로 했다.”

휘트먼에 따르면 문학은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것’이 아닙니다. ‘향신료를 듬뿍 넣은 값비싼 요리’도 아닙니다. 그는 문학이란 ‘물과 같은 것, 공기와 같은 것, 언제나 곁에 둘 수 있는 이 작은 노트와 같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시인이 될 수 있습니다. 휘트먼의 말처럼 시를 비롯한 문학은 ‘표현하고 싶은 존재와 융합된 자기를 드러내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그는 <나 자신의 노래>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문학이란 문법이나 선천적인 재능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이었다. 모든 인간은 그 자체로 한 편의 거대한 시였다. 대자연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그 자체로 살아 있는 예술이었다. 화가와 음악가와 시인의 꿈인 피가 통하는 예술은 바로 인류였다.”

예술은 시와 그림과 음악과 같은 분야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삶이야말로 무엇보다 감동적인 예술이 될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자기다운 예술의 씨앗을 품고 있다고 저는 믿습니다. 이 씨앗을 열심히 길러내는 사람은 빛나는 내 세상 하나를 가질 수 있습니다. 휘트먼의 책을 읽으며 시인의 세계에 감탄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약속했습니다. ‘내 세상도 하나 만들자.’ 나를 닮은 오솔길 하나 매일 닦고 싶습니다. <내 자신의 노래>의 마지막 구절에서 휘트먼은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살아 있는 이 육신이야말로 영혼이며, 자연이고, 예술이며, 완성이다. 그것이 나의 문학이었고, 나의 삶이었다.”

sw20100412.gif
* 오늘 소개한 책 : 월트 휘트먼 저, 김욱 역, 나 자신의 노래, 바움, 2007년

IP *.255.183.142

프로필 이미지
된다 우성
2010.04.13 13:46:49 *.30.254.28
나이는 어리지만 승완 선배의 글을 읽으면,
그 책을 사고 싶어지게 만드니,
출판사에서  책 소개해 달라고 요청이 마구 들어올 것 같은데... ^*^

'내 세상도 하나 만들자...'

피곤한 몸, 낑낑대며, 마감시간에 맞춰 리뷰올리고,
좋은 글 읽으니,

'아, 좋~타.'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0.04.13 16:49:46 *.255.183.142
형, 다행히 그런 일은 한 번도 없었어요. ^_^;
형은 참 매력있는 사람이에요.
형에게 배우고 싶은 게 많아요.
우리 오래 함께 해요.
프로필 이미지
mens timberland boots
2010.04.29 12:17:19 *.6.27.197
For the class and the discount timberland boots, the cause of the party's success, I do not cherish the timberland classic boots, but would rather live in a shabby and wet thatched; do not cherish the delicious timberland men's custom boots, but would rather swallow the coarse corn and vegetable roots; not cherish the timberland 6 inch boots, the dog would rather sleep in the pigsty nest-like home! China is an timberland roll top boots, is also a brave nation. The timberland chukka boots has two major advantages: courageous, hard-working. How lovely such a mens timberland boots, we love our nation (of course other people have their good points, we must not lose sight of that point), which is the timberland womens boots of our confidence. www.timberlander.com 29April LGZ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0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87
4334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92
4333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92
4332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95
4331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05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07
4329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18
4328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1
4327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22
4326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25
4325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28
4324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29
4323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1
4322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4
4321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35
4320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36
4319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37
4318 [수요편지]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필연 [1] 불씨 2023.11.07 737
4317 케미가 맞는다는 것 [1] 어니언 2022.09.15 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