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829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4월 15일 06시 53분 등록

3월은 늦봄이니 청명 곡우 절기로다

봄날이 따뜻해져 만물이 생동하니 온갖 꽃 피어나고 새소리 갖가지라 (중략)

약한 싹 세워낼 때 어린아이 보호하듯 농사 가운데 논농사를 아무렇게나 못하리라

좋은 씨 가리어서 품종을 바꾸시오 보리밭 갈아놓고 못논을 만들어두소

들 농사 하는 틈에 채소 농사 아니할까

울 밑에 호박이요 처맛가에 박 심고 담 근처에 동과 심어 막대 세워 올려보세

무 배추 아욱 상치 고추 가지 파 마늘을 하나하나 나누어서 빈 땅 없이 심어 놓고

갯버들 베어다가 개 바자 둘러막아 닭 개를 막아주면 자연히 잘 자라리

오이 밭은 따로 하여 거름을 많이 하소 시골집 여름 반찬 이밖에 또 있는가

뽕 눈을 살펴보니 누에 날 때 되었구나 어와 부녀들아 누에 치기에 온 힘 쏟으시오

잠실을 깨끗이 하고 모든 도구 준비하니 다래끼 칼 도마며 채광주리 달발이라

각별히 조심하여 내음새 없이 하소 (후략)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삼월령(三月令)>의 한 자락입니다. 《농가월령가》는 문자 그대로 농가에서 달마다 해야 할 일을 가사 형태로 엮어놓은 책입니다. 당연 음력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역사서에서 제목만 얼핏 본 기억을 가졌던 이 책을 우연히 접하였는데, 각각의 월령(月令)을 읽으며 깊이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매달 찾아오는 중요한 자연의 변화를 24절기와 함께 언급하면서 농가에서 할 일과 주의할 일, 그 달의 자연을 소재로 삼아 맛과 멋을 즐길 수 있는 지혜 등을 담고 있더군요. 길지 않은 전체 내용을 훑어 보면서 농부들에게 이보다 요긴한 책이 있을까 싶었습니다. 장차 달마다 이 책을 참고하여 농사를 지으려 합니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는 광해군 때 고상안(高尙顔)이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근래에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둘째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었다는 설이 힘을 얻고 있다 합니다. 누가 지은 책인지 보다 더 중요하게 느껴지는 것은 이런 책을 쓴 저자의 정신입니다. 이 책은 분명 책상머리에 앉아서만 쓴 책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입신양명에 몰두하거나 현학의 즐거움을 채우는 것보다 민중의 삶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책을 구상하고 쓰기 위해 직접 여러 해 동안 농사를 지었을 것입니다. 민중의 삶을 깊이 살폈을 것이며 자연의 흐름을 오랫동안 주시하고 통찰했을 것입니다. 농가의 소박한 행복도 살폈을 것이고 그들 삶에 담긴 애환도 읽어냈을 것입니다. 깊이 깨달은 뒤 저자는 달마다 실천하고 살펴야 할 일을 노래()로 담아냈습니다. 노동을 노래로 승화한 것이지요.

 

내 삶을 떠받치는 기둥 하나도 역시 농부입니다. 글을 쓰며 사는 삶 역시 내 삶을 떠받칠 또 하나의 기둥입니다. 농사짓고 글 쓰며 사는 것이 정말 아름답기 위해서는 이런 책을 쓸 수 있어야겠다 생각했습니다. 오래된 책에서 책을 쓰며 살고자 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정신을 배웠습니다.

IP *.229.222.96

프로필 이미지
바람처럼~
2010.04.15 10:03:42 *.149.87.148
배움의 깨달음을 나누어주어 고맙습니다.
꼭 마음 속에 새기고, 그렇게 살겠습니다.

세상과 더불어 사는 '농부'의 삶이 아름답게 다가오는군요.
프로필 이미지
범좌
2010.04.16 15:43:20 *.67.223.107
강의는 재미있게 진행되고 있나요?
내가 가는 곳곳에서 용규씨 책을 발견하곤 합니다.
"나, 이사람 아는데..... " 입쑬이 달싹 거리기도 하지요.   언제 함 봐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56 알아두면 쓸데있는 근거없는 계산법 3 이철민 2017.11.02 971
3455 가족처방전 – 꼭 결혼해야 할까요? file [1] 제산 2018.03.12 971
3454 [화요편지] 하필이면, 명절 전에 니나가 찾아온 이유 아난다 2020.01.28 971
3453 [수요편지] 괜찮아, 친구잖아 [1] 불씨 2023.01.18 971
3452 [수요편지] '영원'히 잘 사는 방법 [1] 불씨 2023.05.31 971
3451 [수요편지 14- 새벽형 인간으로 변신] [2] 수희향 2017.09.27 972
3450 [용기충전소] 영원한 것은 없다 김글리 2020.05.07 973
3449 [월요편지 98]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2가지 날 [1] 습관의 완성 2022.03.06 974
3448 목요편지 - 자존심과 자존감 [1] 운제 2018.06.21 975
3447 NG의 변신 이야기 [1] 차칸양 2018.07.17 976
3446 I의 제로를 찾아서 [1] 어니언 2023.05.04 976
3445 [수요편지] 커리어패스 [1] 불씨 2023.09.12 976
3444 나만의 김영란법은 -창- 2017.06.10 977
3443 [화요편지] 남겨질 이들을 위한 변명 아난다 2020.01.07 977
3442 [수요편지] 수오훈 [1] 불씨 2022.08.30 977
3441 [수요편지] 생각하는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대로 생각하게 된다 [1] 불씨 2023.05.24 977
3440 안 해도 좋았을 도전이란 없다 어니언 2023.12.07 977
3439 나를 위한 선택의 기술 [2] -창- 2017.05.13 979
3438 2017년 마음편지를 돌아보며 [2] 차칸양 2017.12.26 979
3437 실패를 넘어 과정을 보라 [3] 어니언 2023.06.15 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