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신종윤
  • 조회 수 7038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4월 19일 10시 40분 등록

다른 누구보다 나와 같은 사람에게 가장 섬세해야 할 감각이 무디고 둔해졌다는 사실을 내가 어떻게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한때 나는 이 분야에서도 극히 찾아보기 힘든, 완벽한 감각을 소유하고 있었다. (중략) 나는 그만 목숨을 끊어버리려고 했다. 그때, 오로지 예술이 나를 가로막았다. 내가 써야 한다고 느꼈던 곡을 완성하지도 않고, 이 세상을 떠난다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나는 비참한 이 삶을 계속 버텨내야만 했다.

- 베토벤, 하일리겐슈타트의 유서 중에서

음악에 문외한인 저 같은 사람조차도 베토벤에 대해서 알고 있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말년의 그가 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는 사실입니다. 요양 중이던 그가 자살을 떠올리며 남긴 유서에는 그런 절망이 고스란히 묻어있습니다. 삶과 음악이 둘이 아니었던 베토벤에게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공포는 죽음과 하나였습니다.

그런데요. 그가 훌륭함을 딛고 위대함으로 도약한 것은 자신에게 닥친 시련을 극복하기로 결심한 바로 그 순간이었습니다. 그의 음악은 이전에도 이미 훌륭했지만 그의 존재 자체가 사람들의 가슴 속으로 파고들어와 각인된 것은 틀림없이 시련이 닥친 이후입니다. 대중이 그를 악성(樂聖)으로 기억하는 데는 음악 이상의 무언가가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목숨을 끊고 싶을 만큼 고통스러웠을 그의 시련입니다. 참 아이러니하지요?

제게 탁월한 재능이나 비범한 천재성을 허락하지 않은 하늘을 원망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한번만 훑어보면 몽땅 외워버리고, 어려운 수학 문제도 척척 풀어내는 천재(天才)의 모습을 동경했던 거지요. 그러나 이제는 알고 있습니다. 하늘이 허락한 천재조차 집착이라고 불릴 만큼의 지독한 노력이 없다면 그저 역사 속의 해프닝으로 잊혀져 버린다는 평범한 사실을 말입니다.

보통 사람은 상상하기조차 벅찬 열정과 몰입으로 창조해낸 그의 눈부신 작품을 속에서 짜릿한 카타르시스를 느낍니다. 하지만 거기서 끝이 아니지요. 이 작품들 위에 시련과 극복의 감동이 더해지면서 베토벤은 그의 숭고한 삶 자체로 예술작품이 되었습니다.

운명의 목덜미를 움켜쥐겠노라. – 루드비히 반 베토벤

그의 일갈에 목덜미를 붙잡힌 듯한 얼얼함으로 한 주를 시작합니다.

Beethoven.jpg


IP *.96.12.130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4.19 22:04:36 *.34.224.87
좋은 식당에 가서, 만난 음식을 먹으면
요리사한테, 고맙단 인사를 하는 것..
우리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문화인 것 같아요.

'운명의 목덜미를 움켜 쥐겠노라..'
마음을 움직이는 멋진 문장을 만나면,  힘이 됩니다.
고맙지요....
프로필 이미지
2010.04.23 07:16:03 *.72.208.16
댓글을 읽는 동안 형이 말하는 듯한 환청이 들리네요. 좋은 목소리의 힘은 역시 세네요.

운명의 목덜미를 움켜쥐겠다는 베토벤의 당당함이 소름끼치도록 부러웠던 한 주였네요. 목덜미는 좀 무례한 것도 같아서, 저는 운명을 등 뒤에서 꼭! 끌어안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네요. 조금 더 당당해져야겠어요. 고맙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1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88
4334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94
4333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95
4332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97
4331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06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09
4329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21
4328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4
4327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24
4326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28
4325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30
4324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30
4323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4
4322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6
4321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36
4320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37
4319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38
4318 케미가 맞는다는 것 [1] 어니언 2022.09.15 740
4317 [수요편지]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필연 [1] 불씨 2023.11.07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