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4월 30일 06시 34분 등록


   혼돈은 세계의 중앙을 다스리는 왕이 되었다. 그에게는 두 명의 친구가 생겼다. 하나는 남쪽 바다를 다스리는 숙(儵)이고 또 하나는 북쪽바다를 다스리는 홀(忽)이다. 혼돈은 두 친구에게 극진히 대했다. 노래와 춤의 달인인 혼돈의 우정에 감동한 두 친구는 혼돈의 성의에 보답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궁리했다. 그리하여 혼돈에게 눈, 코, 귀, 입등 일곱 개의 구멍을 뚫어 주어, 보고 듣고 숨쉬고 먹을 수 있도록 해주자고 의견을 모았다. 그리고 우정의 이름으로 곧바로 혼돈의 몸에 하루에 한 개씩 7개의 구멍을 뚫었다. 칠일이 지나고, 일곱 번 째 구멍이 뚫리자 혼돈은 그만 죽고 말았다.                      - '장자'

  혼돈의 두 친구인 숙과 홀의 뜻은 모두 '잠깐'이나 '순간'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것은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이야기는 영원을 상징하는 혼돈이 죽고, 시간이 세계를 지배하게 된 것을 상징합니다. 단명하기에 슬픈 인간의 이야기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지요. 보고 듣고 먹고 숨쉬는 단명한 인간의 시선으로 우주적 영원을 이해하고 해석하기는 어렵습니다. '자연의 침묵'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인간은 '계발'이라는 잘못된 우정의 이름으로 자연의 눈을 뚫고, 콧구멍을 뜷고, 입을 뚫고, 귀를 뚫음으로 '혼돈'(Chaos) 이라는 자연의 질서를 죽이고 만 셈이지요.

  자기 경영은 영원을 맛보는 것입니다. '잠깐'과 '순간'의 마음에서 우주적 존재로서의 우리를 음미해 보는 것이지요.  모든 단명한 것 속에도 영원의 음성과 몸짓이 느껴지는 것이니, 순간을 영원처럼 즐기는 것입니다.   오직 '지금, 여기' 라는 의식만이 무한이 확대되어 미래에 대한 두려움은 사라지고, 모든 것을 잊는 몰입의 순간, 시간은 멈춰서게 됩니다. 그리하여 "순간이 영원같았다"라고 말하게 됩니다. 나는 이것을 '뽕 맛'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적절한 표현이 있는지요 ?

* 공지사항
   구본형 변화 경영연구소에서는 '사자로 사는 법 - 평생직업으로 가는 필살기 창조 프로젝트' 에 참가할  1기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책임과 의무의 고단한 ‘낙타의 삶’에서 차별적 전문가로 평생 일할 수 있는 ‘사자의 삶’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직장인 경력 혁명 프로젝트입니다. 구본형 소장이 정립한 ‘필살기 창조 모델’을 따라 쉽고, 명료하고, 강력하게 접근합니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등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zbxe/269573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5.02 01:22:14 *.67.223.107
찬란한 봄,
빛깔과 향기에 취해
답장을 쓰는 순간도 마구마구 뚫려 구멍이 났습니다. ㅋㅋ
 
인간은 이미 정해진 운명을 향해서 발버둥치다가
마침내 그 운명속으로 들어가는 존재라는 군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6 여행과 엽서 file 승완 2013.11.05 3002
1735 비범한 인물을 만나는 특별한 경험 file [4] 승완 2010.01.12 3003
1734 설레고 싶어서 피어난 꽃 [2] 박승오 2008.02.25 3004
» 순간이 영원 같았다 [1] 부지깽이 2010.04.30 3003
1732 너는 어디까지 볼 수 있느냐? 김용규 2014.02.27 3004
1731 촛불 하나 [1] 어니언 2014.04.26 3004
1730 유혹을 이겨낸 아이들 [1] 문요한 2007.08.14 3005
1729 지적 욕망이 독서를 방해한다 연지원 2014.06.09 3006
1728 화순에는 숲이 있었네-함께 깊어질 줄 아는 숲의 비밀 2 김용규 2014.07.10 3006
1727 “우연히 만났으나 영원히 잊을 수 없는 사이가 됐다” file [4] 승완 2010.01.26 3007
1726 종이 한 장 안에 들어있는 우주 문요한 2013.06.26 3007
1725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다 배움을 준다. 문요한 2007.12.04 3009
1724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선택 [2] 문요한 2010.02.03 3009
1723 그 화가가 내 삶에 가르쳐준 것 김용규 2014.07.17 3009
1722 동네 한 바퀴 [5] 김도윤 2008.01.10 3010
1721 내 편이 없다. 그래서 외롭다. [1] 문요한 2009.11.04 3011
1720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는가? [3] 신종윤 2009.06.22 3012
1719 뜻하지 않는 곳에서 삶은 새로 시작한다 [2] 문요한 2008.02.19 3013
1718 삶도 하나의 방식이다. file [3] 단경(소은) 2009.07.07 3013
1717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file [3] 부지깽이 2009.08.28 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