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5월 21일 08시 17분 등록

  의상이 두 번째로 중국을 방문했을 때, 산동 반도의 등주에서 탁발을 하게 되었다. 그는 여기서 선묘(善妙)라는 여인을 만나게 된다. 선묘는 의상의 수려한 용모에 반해 뜨거운 연모에 빠지게 되었고,  이내 그의 불심에 감복하여 불법에 귀의하게 되었다.   의상은 공부를 마치고 귀국하는 길에 등주에 있는 선묘의 집을 찾게 되는데, 그녀는 단 앞에서 일심으로 합장하여 예불을 들이고 있었다.  의상은 선묘의 뒷모습을 가만 바라보다 발길을 돌린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선묘는 나루터로 달려가지만 배는 이미 떠나  멀리 의상의 모습은 아스라하다.  선묘는 기원과 함께 바다에 몸을 던졌다. 순식간에 용으로 변해 의상이 탄 배를 신라까지 호위하게 되었다. 의상은 영주에 부석사를 지은 후, 용이 된 선묘가 머물게 했다. 그 우물의 이름이 선묘정(善妙井)이다.
     - 송고승전 宋高僧傳
, 고운기의 '삼국유사' 에서  다시 정리

스님은 세속을 떠나있으나 사랑의 이야기는 어디나 아름답습니다. 의상과 선묘의 이야기는 불가의 계율 속에 핀 가장 낭만적인 스토리 중 하나입니다. 나는 이 이야기를 대학 초년기에 이기백 선생님으로부터 강의 시간에 듣게 되었는데, 이 이야기 때문에 영주 부석사에 대한 특별한 마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 참지 못하고 한달음에 그 절에 가게 되었는데, 가서 절 한 편에 조용히 서있는 선묘각과 그 안에 그려진 한 여인을 보고 나니, 어느 덧 해가 졌습니다. 엄청난 사과꽃 사이를 걸어 되돌아 온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것은 꽃처럼 곱던 청춘의 일이었는데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자기경영은 그리움입니다. 나날의 반복적 삶에서 빠져나와 특별한 일이 벌어졌던 그 날들을 기억하고, 반복되는 일상의 권태에 항거하던 빛나는 정신에 대한 그리움인 것입니다.   자기경영은 나와 세상 사이의 불화를 잊고, 그 속에서 삶이 충만되었던 날들에 대한 그리움으로 미래를 다시 계획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삶의 어둠 속에서,  삶의 순수한 불꽃을 기억하고,  그 그리움으로 필사적으로  삶을 소진하는 것입니다.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최정희
2010.05.21 17:37:10 *.153.252.66
자기경영은 그리움이라는 글귀에 가슴한곳이 저려옵니다.

이 곳 경기도로 옮긴 후  농업인들의 모임에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이 있는 수원에서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  자정을 훌쩍넘기고 입안은 일주일 내내 헐어있지만
그 곳에서 만난  사람들로 인해 ' 삶이 충만했던 시절로 다시 돌아가는 힘'을 얻습니다.

휴일이나 퇴근길에 그 분들의 농장을 방문하는 일은 행복 그 자체이구요.
소 똥 거름 냄새를 비롯한 배꽃 향내음, 찔레꽃 향기, 매발톱꽃 사연 등 -  농장은
그분들의  이야기 창고였습니다.   
그 분들에게는 흙이 선묘요 의상이었습니다.  

오늘,
길상사를 다녀와  멀리 이 곳 남양주에 있는 교실에 와 다시 앉았습니다.
그리고  그분들과 스승님을 가슴으로 떠올려봅니다.
가까이에서는 경기를 비롯해서  김제, 부안, 심지어는 제주에서까지 달려온 흙의 힘을 아는 사람들
우리 반 꼬맹이들, 그리고 우리의  사부님 스승님이 저의   위대한 스승이십니다.

늦게나마 스스의 날의 맞아 감사인사를 올립니다.

귀여운 여인 최정희 드림^^






 
 
프로필 이미지
2010.05.22 06:55:30 *.160.33.180

귀여운 여인 최정희에서  웃음 터졌다. 
그곳에서 젊어졌구나.   흙힘이구나.
그래, 그대는 귀여운 여인이지.  보란가 노랑인가 그렇지.  붓꽃같지.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6 [금욜편지 109- 삼천배 철야정진] 수희향 2019.10.25 880
975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여덟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28 868
974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와인의 나라, 와인을 “먹는” 사람들 2 file [2] 알로하 2019.10.28 1152
973 [화요편지]10주차 미션보드_나, 세상의 중심 file 아난다 2019.10.29 858
972 [수요편지] 아내가 낯선 남자와 한 이불 덮은 사연 장재용 2019.10.30 902
971 [금욜편지 110- 책쓰기는 책읽기다-전문분야편] 수희향 2019.11.01 802
97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치즈로 만든 무지개 file 알로하 2019.11.03 857
969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아홉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1.04 926
968 [화요편지]10주차 워크숍_나, 세상의 중심 아난다 2019.11.05 892
967 [수요편지] 내 '남사친' 이야기 장재용 2019.11.06 896
966 목요편지 - 우째 이런 일이 운제 2019.11.08 907
965 [금욜편지 111- 책쓰기는 책읽기다-인문고전편] 수희향 2019.11.08 862
964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치즈로 만든 무지개 2 file 알로하 2019.11.10 936
963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스무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1.11 929
962 [화요편지]11주차 미션보드 _스스로의 기쁨으로 열어가는 길 file 아난다 2019.11.12 855
961 [수요편지] 더러운 길과 디오게네스 장재용 2019.11.13 891
960 목요편지 - 11월의 한 가운데서 운제 2019.11.15 833
959 [금욜편지 112- 책쓰기는 기획이다] 수희향 2019.11.15 867
95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와인과 음악, 설렘이 있는 11월 file 알로하 2019.11.17 929
957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스물한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1.18 1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