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2774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0년 5월 26일 13시 51분 등록

 “감동한 사람은 누군가에게 그것을 말하는 것으로 감동이라는 경험을 자기 것으로 만든다. 강한 감정을 느꼈을 때 사람은 누군가에게 말하지 않으면 ‘장면’이 완결되지 않는 것이다.”

 

- 히라노 히데노리의 <감동예찬> 중에서 -

-------------------------------------------

 

이전 편지(에너지플러스 342호)에서 좋은 식사를 했던 경험을 글로 쓴 적이 있었습니다. 그 글을 보시고 몇몇 분들이 그곳이 어디인지 물어보셨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는 직접 가보시고 나서 참 좋았다고 이야기해주신 분도 있었습니다. 아마 그 분은 저처럼 또 다른 누군가에게 그 곳을 소개했는지도 모릅니다. 저 역시 누군가의 소개로 그 집을 가게 되었으니 입소문이 난 셈입니다.  

 

 

감동은 만족을 넘어서는 상태입니다. 그렇기에 감동은 마음 안에 가두어 둘 수 없습니다. 감동은 자연스럽게 주위 사람들과 나누게 되고, 밖으로 전해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감동은 바이러스 같은 전염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지 일방적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순환하고 공유하게 됩니다. 만족이 느끼는 것에 그친다면 감동이라는 감정은 한 단계가 더 진행됩니다. 바로 나누어야 끝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감동은 사실 개인적인 감정이 아니라 집단적인 감정입니다.

 

 

얼마 전 김 국진씨의 대학강연 내용이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었습니다. 그의 강연이 감동을 준 것은 왜 일까요? 아마도 롤러코스터와 같았던 삶을 통해 얻은 인생체험이 온전히 강연에 녹아들어있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물론 사람마다 기대가 다르기에 감동의 지점과 순간이 같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모든 감동의 핵심은 진심과 성의가 담겨 있을 때 일어납니다. 그렇기에 감동은 꼭 거창한 이벤트나 연출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의 강점을 잘 발휘하는 순간이나 예상치 못한 아주 작은 말과 행동 하나도 충분히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길을 가다가 누군가를 위해 꽃 한송이를 사서 건네거나, 아무렇게나 벗어놓았던 빨래감을 통에 담는 작은 행동만으로도 감동은 충분히 피어날 수 있고 순환될 수 있습니다.

 

 

당신이 누군가에게 감동을 준 적이 언제였습니까?  

 


- 2010. 5. 26.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389호-


link.jpg






IP *.131.5.204

프로필 이미지
배요한
2010.05.28 02:28:05 *.176.113.179

문요한 선생님, 안녕하세요?

감동은 순환된다...는 선생님의 글을 읽고 문득  생각되는 바가 있어, 사랑하는 후배에게 전화를 걸어 그간 미처 못했던 고마운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oo야, 나, 요즘 새벽 글쓰기하면서 마치 정한수 떠놓고 빌듯이 커피 그득한잔 마시고 시작하는데..., 그 떄 지난번 네가 준 커피잔을 쓰고 있어. 너와 네 고마운 마음을 기억하려고... 지난번 4박 5일 피정갈 때도 네가 준 그 잔을 들고 갔어.  네가 지금은 비록 투병 중인 엄마 간호 덕분에 힘들겠지만, 마치 내가 너의 고마움을 잊지 않고 늘 기억하듯, 너희 어머니도 너의 고마움과 사랑스러움을 늘 기억하시고 언젠가 오늘 나처럼 이렇게 네게 말씀해주실꺼야. 힘내렴! ."

덕분에 후배로 부터 "따뜻한 마음 가득히 전해주셔서 오늘도 기운차게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들었답니다. 제 마음도 무척 좋습니다. 따뜻한 마음이 생기고 기운이 났어요. 어쩌면 그 후배는 오늘 그 따뜻한 마음을 투병 중인 엄마와 주변에 또 전달했을지도 모르겠어요. 그리고 저는 지금 그 기운을 선생님께로 다시 전달해드립니다.

"문요한 선생님, 
연구소 뉴스레터 메일로 선생님의 글이 실려오면, 반드시 그 자리에서 읽어 보지만,  따로 모아두었다가 짬짬이 다시 한번씩 읽어본답니다.  1번 읽을 떄, 2번 읽을 떄, 3번 읽을 떄, 4번 읽을 떄, 5번 읽을 떄, 읽을 떄마다  매번 마음과 생각을 일깨우게 됩니다. 늘 좋은 글 주셔서 감사드려요."

 
프로필 이미지
2010.06.02 08:54:36 *.120.20.161
아~! 저도 예전 글은 다시 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정성껏 읽어주셨다니 작은 감동입니다. 저 역시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나경
2010.05.28 06:32:40 *.131.41.34

 “감동한 사람은 누군가에게 그것을 말하는 것으로 감동이라는 경험을 자기 것으로 만든다. 강한 감정을 느꼈을 때 사람은 누군가에게 말하지 않으면 ‘장면’이 완결되지 않는 것이다.”


완죤 공감 가는 구절입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이렇게 제 감동을 전달하는거겠죠 ^^*

프로필 이미지
2010.06.02 08:57:15 *.120.20.161
완죤 공감가는 글을 만나면 참 반갑지요? 저도 그 대목에 필이 딱 꽃혔었거든요. 그리고 이렇게 다른 분들에게 그 대목을 전해드리게 되죠. 감동과 함께 하는 삶 되시길!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6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성실의 아이콘 또는 짜증 대마왕?? file 알로하 2020.08.23 985
3415 [라이프충전소] 이 길이 내 길일까? 묻고 있다면 [4] 김글리 2022.04.08 985
3414 화요편지 - 인사담당자와 커피 한 잔 하실래요? [2] 종종 2022.08.02 985
3413 [수요편지] 모든 나뭇조각은 진짜 [2] 불씨 2023.04.11 985
3412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6편) 차칸양 2017.08.08 986
3411 [금욜편지 115- 책쓰기는 설득이다] 수희향 2019.12.06 986
341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시인과 와인의 나라 3 file [1] 알로하 2020.01.19 986
3409 다시 걷습니다 書元 2016.10.29 987
3408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4편) 차칸양 2017.07.25 987
3407 [금욜편지 67-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2번 교만한 애정실천가] file [2] 수희향 2018.12.14 987
3406 [용기충전소] 추임새의 마법 [1] 김글리 2020.11.13 987
3405 [라이프충전소] 결국 누가 글을 잘 쓰게 되는가 [1] 김글리 2022.12.08 987
3404 [수요편지] 혁명으로 가는 길 [1] 불씨 2023.03.15 988
3403 트럼피즘(Trumpism), 불확실성을 대표하는 키워드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1.15 990
3402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 네 번째 이야기 제산 2018.10.21 990
3401 [월요편지 19] 내가 글을 쓰는 근사한 이유 5가지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8.02 990
3400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1] 유머 감각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file 습관의 완성 2020.08.16 990
3399 [수요편지] 고민이 고민인 사람들에게 [1] 불씨 2022.11.02 990
3398 가족처방전 – “엄마, OO해도 돼요?” 라는 질문에 대하여, 첫번째 이야기 제산 2018.07.16 991
3397 [라이프충전소] '그렇게 될때까지 하라'는 말에 숨겨진 비밀 [3] 김글리 2022.03.25 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