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329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0년 6월 1일 01시 00분 등록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에서 사고로 사막에 불시착한 비행사는 우연히 어린왕자를 만나게 됩니다. 물이 필요했던 둘은 함께 우물을 찾아 나섭니다. 왕자는 사막에 앉아 쉬면서 조종사에게 “사막이 아름다운 이유는 어딘가에 샘을 숨기고 있기 때문이야”라고 말합니다. 조종사 역시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집이건 별이건, 사막이건 그들을 아름답게 하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거야!”라고 화답합니다. 이렇게 둘의 마음에 길이 트입니다.

비행사는 자신의 품에서 잠든 어린왕자의 모습에 감탄합니다. 그 이유는 어린왕자의 외모 때문이 아니라 그가 고향별에서 키웠던 ‘한 송이 장미꽃에 대한 성실성’을 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동이 틀 무렵 드디어 샘을 발견합니다. 사막은 끝이 보이지 않았지만 샘은 멀리 있지 않았습니다. 그 샘에는 도르래와 두레박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조종사는 도르래를 돌려 물을 떠서 어린왕자와 함께 마셨습니다. 조종사는 이 물이 특별한 것임을 알았습니다.

“이 물은 참으로 보통 음식과는 달랐다. 이 물이 이토록 맛있는 것은 별이 반짝이는 밤길을 걸어서 도르래의 노랫소리를 들으며 나의 두 팔로 애써 퍼 올린 물이기 때문이다. 이 물은 선물처럼 마음을 흐뭇하게 해주었다.”

어린왕자는 조종사에게 말합니다.
“당신이 살고 있는 이곳 사람들은 같은 뜰에 장미꽃을 5천 그루나 심어 두지만 그들이 이 뜰에서 그들이 찾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어.” 조종사가 고개를 끄덕이자 왕자는 이렇게 덧입니다.

“그렇지만 그들이 찾고 있는 건 단 한 송이의 장미꽃에도, 아니면 단 한 방울의 물에도 있을 수 있는 건데. 하지만 눈으로는 아무것도 볼 수 없어. 마음으로 봐야지….”

살다보면 삶이 ‘사막’ 같을 때가 있습니다. 행복, 희망, 소명, 사랑처럼 소중한 것을 찾을 수 없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럴 때도 소중한 것은 멀어지거나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쩌면 소중한 것은 멀리 있을 거란 생각이 가까운 곳에 있는 그것을 찾지 못하게 하는 걸지도 모릅니다. 소중한 것은 큰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소소한 일상 속에 있는 이것을 보지 못하는 걸지도 모릅니다. 소중한 건 거리나 크기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그것은 마음의 눈으로 보면, 마음의 시선을 조금만 바꾸면 보이는 게 아닐까요?

조종사와 어린왕자가 멀지 않은 곳에서 샘을 발견했듯이, 소중한 것은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밤에 보이는 별이 낮에 보이지 않아도 여전히 존재하는 것처럼, 소중한 것은 사라진 게 아닙니다. 도르래와 두레박이 준비된 우물을 마시는 것처럼, 그것은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닙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소중함이라는 우물을 찾겠다는 마음과 우물을 발견할 수 있는 심안(心眼), 그리고 내 손으로 그것을 길어 올리는 성실함이 아닐까요?

sw20100531.gif
* 오늘 소개한 책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저, 어린왕자, 삼지사, 2003년

* 얼마 전부터 트위터를 시작했습니다. 제 트위터 계정은 @SW2123 입니다. 트위터를 통해 여러분과 좀 더 가까이 만나고 싶습니다.

IP *.237.95.125

프로필 이미지
burberry replica
2010.10.14 11:36:15 *.43.232.87
sdfsdf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6 [금욜편지 67-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2번 교만한 애정실천가] file [2] 수희향 2018.12.14 984
3415 [금욜편지 115- 책쓰기는 설득이다] 수희향 2019.12.06 984
3414 [수요편지] 감사의 기도 [2] 불씨 2022.01.18 984
3413 화요편지 - 인사담당자와 커피 한 잔 하실래요? [2] 종종 2022.08.02 984
3412 [라이프충전소] 때를 안다는 것 김글리 2022.10.28 984
3411 가족처방전 – “엄마, OO해도 돼요?” 라는 질문에 대하여, 첫번째 이야기 제산 2018.07.16 985
341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시인과 와인의 나라 3 file [1] 알로하 2020.01.19 985
3409 [라이프충전소] 결국 누가 글을 잘 쓰게 되는가 [1] 김글리 2022.12.08 985
3408 [수요편지] 모든 나뭇조각은 진짜 [2] 불씨 2023.04.11 985
3407 다시 걷습니다 書元 2016.10.29 986
3406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6편) 차칸양 2017.08.08 986
3405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4편) 차칸양 2017.07.25 987
3404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1] 유머 감각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file 습관의 완성 2020.08.16 987
3403 [용기충전소] 추임새의 마법 [1] 김글리 2020.11.13 987
3402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 네 번째 이야기 제산 2018.10.21 988
3401 [수요편지] 고민이 고민인 사람들에게 [1] 불씨 2022.11.02 988
3400 [수요편지] 혁명으로 가는 길 [1] 불씨 2023.03.15 988
3399 [월요편지 19] 내가 글을 쓰는 근사한 이유 5가지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8.02 989
3398 [내 삶의 단어장] with, 함께 할 수 없다면 에움길~ 2023.07.10 989
3397 트럼피즘(Trumpism), 불확실성을 대표하는 키워드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1.15 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