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6월 4일 08시 10분 등록

  중국 장강의 중류에 동정호가 있다. 이 아름답고 커다란 호수는 수많은 신화와 전설의 무대이기도 하다. 전설적인 성군 요임금의 시대에 이곳에 커다란 구렁이 한 마리가 나타났다. 이 구렁이의 이름은 파사(巴蛇)인데, 어느 날 코끼리 한 마리를 삼켰다.  그리고 3년간을 소화시키고 그 뼈를 내 놓았다.   이 구렁이 파사는 어찌나 컸던지 죽은 후, 뼈만 남게 되자, 그 뼈가 산언덕을 이룰 정도였다. 동정호 근처에 가면 지금도 파릉이라는 지역이 있는데, 이 언덕이 바로 파사의 뼈로 이루어진 언덕이라고 한다.

  나는 커다란 구렁이 파사의 이야기를 동양 신화 속 최고의 명궁 예(羿)의 영웅담 속에서 찾아내었습니다. 영웅 예가 천하를 돌며 온갖 종류의 괴물을 퇴치하여 백성들의 아픔을 구하는 이야기 속에 이 큰뱀 파사는 예에 의해 죽게되는 괴물 구렁이로 등장합니다. 짐작컨대 코끼리를 삼킨 파사뱀은 코끼리를 소화 시키는 3년 동안은 백성을 헤치지 않았겠지요 ?  이미 가득 뱃속에 먹이를 넣고 소화시키고 있었을테니까요.  그러면 예에 의해 죽임을 당하지도 않았겠지요. 오히려 영험한 신물이 되어 사람들을 도와 주기도 했을 겁니다.  그랬다면 희생자가 아닌  자신의 영웅담 하나를 만들어 낼 수도  있었을 텐데요.

자기경영은 오랜동안의 소화입니다. 뱃속에 넣고 품고 앉아 3년을 소화시켜 그 뼈를 뱉어 낼 수 있으면 이미 그 큰 코끼리가 녹아 더 큰 뱀으로 바뀐 것입니다. 자기경영도 그렇습니다. 천직이 될 만한 커다란 코끼리 한 마리를 덥썩 문 다음 천천히 뱃속으로 밀어넣고 소화시켜가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턱뼈가 돌아가고 숨이 턱턱 막힐 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전념하여 3년을 소화하여 뼈를 뱉어 낼 때 쯤이면 옛날의 그 뱀은 사라지고 새로운 더 큰 파사뱀이 되는 것입니다. 어린 왕자 속에 나오는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처럼 말입니다.

* 공지사항 :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이 7월 2일 부터 4일 까지 진행됩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다음을 참고 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zbxe/dream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나경
2010.06.06 08:19:28 *.131.41.34
선생님은 어쩜 이렇게 재미난 옛이야기들을 찾아내시는지요^^
저는 아주 오래된 옛이야기들이 참 좋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6 [라이프충전소] 이 길이 내 길일까? 묻고 있다면 [4] 김글리 2022.04.08 983
3415 화요편지 - 인사담당자와 커피 한 잔 하실래요? [2] 종종 2022.08.02 983
3414 [금욜편지 67-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2번 교만한 애정실천가] file [2] 수희향 2018.12.14 984
3413 [수요편지] 감사의 기도 [2] 불씨 2022.01.18 984
3412 [라이프충전소] 때를 안다는 것 김글리 2022.10.28 984
3411 [라이프충전소] 결국 누가 글을 잘 쓰게 되는가 [1] 김글리 2022.12.08 984
3410 다시 걷습니다 書元 2016.10.29 985
3409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6편) 차칸양 2017.08.08 985
3408 가족처방전 – “엄마, OO해도 돼요?” 라는 질문에 대하여, 첫번째 이야기 제산 2018.07.16 985
340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시인과 와인의 나라 3 file [1] 알로하 2020.01.19 985
3406 [수요편지] 모든 나뭇조각은 진짜 [2] 불씨 2023.04.11 985
3405 [내 삶의 단어장] with, 함께 할 수 없다면 에움길~ 2023.07.10 986
3404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4편) 차칸양 2017.07.25 987
3403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1] 유머 감각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file 습관의 완성 2020.08.16 987
3402 [용기충전소] 추임새의 마법 [1] 김글리 2020.11.13 987
3401 [수요편지] 고민이 고민인 사람들에게 [1] 불씨 2022.11.02 987
3400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 네 번째 이야기 제산 2018.10.21 988
3399 [수요편지] 혁명으로 가는 길 [1] 불씨 2023.03.15 988
3398 [월요편지 19] 내가 글을 쓰는 근사한 이유 5가지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8.02 989
3397 트럼피즘(Trumpism), 불확실성을 대표하는 키워드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1.15 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