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2013년 2월 11일 01시 57분 등록

법의 정신에 대하여

 

법의 정신이란 법을 이루는 근간이며, 원칙일 것이다. 법과 관련되어 흔히들 이야기 하는 것들 중에 다음의 것들이 있다. “악법도 법이다.”, “법 위에 정서법”, “유전무죄, 무전유죄”, “법대로 해라~” 등 이런 말들이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것은 법이 100% 완전하지 못하다는 것, 즉 무엇인가 2% 부족한 것이 있다는 것이다.

 

법에는 항상 법이 100% 커버(Cover)할 수 없는 gray area가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특정 사안에 대해서도 그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서 달라 각자 법률해석 부분에서도 이견이 분분하다.

 

위법이 아니라고 하여 꼭 적법한 것은 아니며, 법으로 처벌받지 않는다 하여 모든 죄가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특히나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10명의 도둑을 놓치더라도 1명의 무고한 사람이 없게 하라는 형사소송법의 대원칙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어느 누가 봐도 99.99% 피의자로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단, 0.01%의 증거불충분으로 사건이 기각되거나 무죄선고를 받기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법의 부조리함이 얼마나 많은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이 없는 상황, 무법 지대의 상황을 생각해본다면 몸서리처질 일이다. 아마 이런 무법지대와 같은 형태의 정체는 몽테스키외의 저서 법의 정신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체’(governments) 중에서는 전제정체에 가장 가까울 것이다. 그런 상황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유명한 영화가 있다. 몇 년 전 흥행했던 포르투갈 출신 노벨문학상 작가인 주제 사마라구의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인 눈먼 자들의 도시가 바로 그것이다. .

 

어느 날 갑자기 한 도시의 모든 사람들이 눈이 멀게 되는 상황에서 처음에는 서로 돕고 평화를 추구하지만, 이어서 본능적인 욕구들이 생겨나고 눈이 보이지 않는 것에 익숙해지면서 그들 사회에서도 보이지 않는 그들만의 사회가 형성된다. 모두들 나약한 사람들 그리고 동변상련의 입장으로 서로서로 의지하고 도와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사회에서도 권력을 차지하여 주된 이익을 자신에게 돌리고자 하는 세력이 생겨난다.

 

타인의 두려움을 담보로 그 위에 군림하며 온갖 악행을 자행하는 인간의 원초적 잔인성을 보여주는 영화를 보면서 기본적인 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 기본적인 보호체계가 없는 세상이란 과연 어느 정도까지 이기적이며, 잔인할 수 있고, 두려운 곳인지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완전치 않은 법을 보완하고 제/개정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보다 합리적인 법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그 정체 하에 있는 국민들이 깨어있어야 할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법의 정신이란 몽테스키외가 주창하는 만민법의 개념을 바탕으로 평상시에는 서로 최대한의 선을 전시에는 최소한의 악을 행하기 위해 애써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준수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타인에게 대접받기를 바라는 대로 타인을 대접해주려는 상호성의 원칙의 자세의 준법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죄를 지은 사람에게는 필벌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여 그 어떤 예외도 두지 않는 일관적인 적용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IP *.35.252.86

프로필 이미지
2013.02.11 13:20:07 *.33.186.66
잘 읽었습니다. 상호성의 원칙! 저도 정말 좋아하는 말입니다. 좋은 명절 보내세요 ~
프로필 이미지
2013.02.12 11:57:10 *.91.142.58

형선님이 1빠로 글 올리셔서

명절 내내 부담 100배+자극 100배였습니다!

 

형선님은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글에도 또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글도 강한 것 같습니다.

부러웠어요 ^^;

프로필 이미지
2013.02.11 21:36:04 *.236.20.55

내가 법을 지키지 않고 타인의 권리를 침해한다면, 

나도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깨달음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39 4.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 ? - 무의식에 대한 고찰 [15] 미나 2010.03.07 2051
2038 나팔꽃은 언제 피는가 [2] 미 탄 2006.07.30 2052
2037 [0007]객(客) - 김미선 [1] 햇빛처럼 2010.12.29 2052
2036 새해 인사 [5] 윤인희 2010.12.31 2053
2035 뱅쿠버 생활을 접고 [2] 이수 2013.08.17 2053
2034 난 기르세요? [1] 김용관 2003.09.19 2054
2033 [버스안 시 한편] 인연 [1] 정야 2014.08.13 2054
2032 -->[re]이혼 초일류국가 대한민국 [1] 이운섭 2004.01.01 2055
2031 이기적 인간과 비이기적인 사회 이희석 2006.03.13 2055
2030 매미가 남기고 간 것 [1] 잘난농삿군 2003.09.18 2056
2029 올해가 가기 전에 해야 할 몇 가지 일 [1] 자로 2006.11.26 2056
2028 다산초당을 찾아서-정약용선생 [4] 도명수 2007.05.02 2057
2027 세상아! [7] 백산 2007.08.25 2057
2026 (05) 책들이 내게 구원이 되어줄까 [2] 이한숙 2008.03.10 2057
2025 [7기도전-칼럼] 관계란 무엇인가? [2] 유재경 2011.02.27 2057
2024 [칼럼 8] 내 안의 신화찾기 1 [8] 신진철 2010.04.26 2058
2023 매일쓰기40 : 규모의 철학 [5] 인희 2010.08.24 2058
2022 8기 예비연구원[1주차 칼럼] -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안지수 안지수 2012.02.19 2058
2021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음이 담긴 글을 쓰고 싶다 [3] 신재동 2005.06.22 2059
2020 내 꿈이 부르는 소리를 찾다. [6] 다뎀뵤 2007.05.29 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