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7월 9일 02시 57분 등록

  옛날에 강원(姜嫄)이라는 처녀가 있었다. 어느 날 그녀는 들길을 걷다 커다란 거인의 발자국이 찍혀 있는 것을 보았다. 호기심 많은 처녀 강원은 그 커다란 발자국 안에 자신의 조그만 발을 디뎌 보았다. 그 순간 몸속에 무언가 이상한 느낌이 전해졌다. 집으로 돌아 온 후, 임신이 된 것 처럼 배가 불러 오더니 마침내 달이 차차 이상한 살덩어리를 낳게 되었다. 끔찍하게 생각한 그녀는 그것을 골목길에 버렸다. 그랬더니 소와 양이 그것을 다 피해 갔다. 이번에는 얼음판에 내다 버렸는데, 새가 날아와 깃털로 감싸 주었다. 한참을 그렇게 감싸 주자 살덩이 속에서 예쁜 사내아이가 태어났다. 강원은 그 아이를 데려다 키웠다. 처음에 아이를 버렸다 하여 그 이름을 기(棄) 라고 불렀다. 아이가 자라 농사일에 두각을 나타내더니 커서 나라의 농업 책임자가 되었다. 기는 순임금 때 제후로 봉해졌는데, 이때부터 그는 후직(后稷)이라고 불리었다. 그후 그는 농사의 신(農神)이 되었고, 후손이 번성하여 주(周) 민족의 시조가 되었다.

'회남자(淮南子)' 라는 책은 후직이 농업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옛날에 밭이 없어 백성들이 먹거리가 부족했다. 후직이 땅을 개간하고, 씨를 뿌리고, 잡초를 가려내고, 거름을 주는 법을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었다. 농업을 알게 되자 사람들의 생활이 풍족해 졌다"

후직은 농업을 위해 평생을 힘쓰다 들에 쓰러져 죽었다고 합니다. 농부는 죽을 때도 밭두렁을 베고 죽어야 하듯, 우리 역시 무엇을 하든 그 일에 뼈를 묻게 될 때, 그 일을 사랑했다 할 수 있습니다. 고대 농경국가에서는 토지의 신인 '사(社)'와 농업의 신인 후직을 함께 숭배 했는데, 그 후 이 둘을 합친 '사직(社稷)' 이라는 단어는 국가의 운명과 동의어가 되었습니다.

자기경영은 그 일에 힘쓰다 쓰러져 죽을 자리를 갖는 것을 말합니다. 어떤 일이든 처음에는 거친 땅을 개간해야 합니다. 처음 시작할 때의 난감함은 어쩌면 화전(火田) 같은 것인지도 모릅니다.   화전이란 불을 싸질러 땅의 껍데기를 겨우 얻는 것입니다. 그렇게 어렵게 시작하여, 거름을 하고 씨를 뿌리고 잡초를 매줍니다. 그리하여 해가 지나 깊은 땅을 얻게 됩니다. 토심을 얻어야 좋은 곡식과 채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모든 일은 그 마음을 얻어야 깊어집니다. 마음 심(心)과 깊을 심(深)이 같은 발음인 이유가 아닐런지요.
오늘 어느 땅에 나를 묻어 기쁨이 될지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

 * 공지사항 : 7 월 24일과 25일 양일간 '사자로 사는 법- 직장인 필살기 창조 프로젝트' 가 진행됩니다.  참가를 원하는 분들은  다음을 참고하여 신청해 주시기 발합니다.   http://bhgoo.com/zbxe/339795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10.07.09 05:16:47 *.70.142.5
네 사부님. 명심하겠습니다.
부족한 저는 늘 마음이 조급한 것 같습니다.
말씀 새기고 또 새기어 땅을 갈고, 씨를 뿌리겠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7.09 06:31:31 *.111.205.146
자기 삶을 산다는 것은,
'역경과 고난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작할 때의 곤란함. 그 곤란함이 있어서, 제 일이 더 좋아졌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해와 달
2010.07.11 13:35:32 *.233.253.118
일을 시작한 지 며칠만에 난감함에 부딪쳤는데, <처음에는 거친 땅을 개간해야 한다>는 말씀에 힘을 얻습니다.
<일에 힘쓰다 쓰러져 죽을자리>를 생각하며 밭을 갈아야겠습니다.
누군가의 글을 읽고 마음을 다잡고, 길을 다시 걸을 힘을 낼 수 있게 해주어서 감사드립니다.
더운 여름에도 건강하시어 많은 사람들에게 힘을 주는 좋은 글 많이 쓰시기 바랍니다.  
상하이에도 비가 내려 날이 아주 습하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96 월급쟁이 마음사전 장재용 2020.04.07 997
3395 [화요편지] 다시 애벌레 기둥 속으로 [2] 아난다 2020.03.30 998
3394 시로 말해요 - 네번째 이야기 [2] 제산 2017.05.22 999
3393 아뿔싸! 또 글이라니! 연지원 2016.11.07 1000
339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1] 유머 감각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file 습관의 완성 2020.08.16 1000
3391 시장물건도 자신의 이름을 걸어야 한다 이철민 2017.10.05 1001
3390 지선씨 이야기 운제 2020.11.12 1001
3389 아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커리어 컨설팅 [6] 재키제동 2017.03.31 1002
3388 [라이프충전소] 약점극복 스토리에 숨은 진짜 의미 [2] 김글리 2022.09.30 1002
3387 혼자 걷는 길이 힘들지라도(에코 4기를 마치며) 차칸양(양재우) 2016.11.22 1003
3386 창업 결정 전 5가지 셀프 질문 (두번째) [4] 이철민 2017.08.17 1004
3385 스위치 다시 켜기 [1] 어니언 2022.10.27 1004
3384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맛있는 와인,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 file 알로하 2019.09.01 1005
3383 수민이의 꿈을 응원하는 아빠가 [1] 제산 2017.10.09 1006
338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맛있는 연말과 새해를 위한 치즈 file 알로하 2019.12.29 1006
3381 사사무애법계 [1] 불씨 2022.07.20 1006
3380 가족처방전–‘피의 연대기’, 나의 연대기 file 제산 2018.07.02 1007
3379 [내 삶의 단어장] with, 함께 할 수 없다면 에움길~ 2023.07.10 1007
3378 그 남자가 사는 법 [3] -창- 2017.07.08 1008
3377 백열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여름방학 [2] 재키제동 2017.07.28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