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318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은 싱클레어라는 한 소년이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쉽지 않은 일종의 문턱 넘기인데, 자신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 나의 삶을 책임질 수 있는 건강한 자아(인격)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입니다. 그래서 <데미안>은 소설 특유의 허구적인 이야기가 아닌 인간의 성장을 그린 구도자적 체험으로 다가옵니다. 또한 모든 인간의 내면에는 성장을 위한 씨앗, 즉 잠재력이 있기에 싱클레어의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로 읽을 수 있습니다. <데미안>을 지배하는 주제는 책의 첫 페이지에서 헤세가 던지는 성찰적 질문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내 속에서 솟아 나오려는 것, 바로 그것을 나는 살아보려고 했다. 왜 그것이 그토록 어려웠을까.”
이 질문이 성찰적인 이유는 내면으로의 여행을 거치지 않고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여행은 ‘나 자신에게로 가는 길 위의 한 걸음’과 또 한 걸음의 궤적입니다. 내면 여행은 본질적으로 ‘나를 찾아가는’ 모험이자 탐험입니다. 나름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여행은 모험입니다. 동시에 이 여정은 자신의 고유한 목표와 잠재력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기에 탐험입니다. 그리고 이 목적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방황과 고독을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 길이 모험과 탐험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헤세는 이 탐험적이고 모험적인 ‘나를 찾아가는 길’을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이 문장은 <데미안>의 전체 내용을 관통하는 핵심 메시지입니다. 왜냐하면 <데미안>은 자신이 몸담고 있던 외부와 내부 세계를 깨뜨리고 거듭나는 그 험난하고 ‘고통스러운 투쟁의 기록’이기 때문입니다. 새로 ‘태어나려는’ 사람에게는 ‘용기’ 뿐만 아니라 ‘길잡이’도 필요합니다. 싱클레어의 이야기에서 ‘데미안’이라는 인물이 그런 역할을 수행합니다. 헤세가 책 제목을 주인공인 ‘싱클레어’가 아닌 길잡이 ‘데미안’으로 정한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데미안은 ‘나를 찾아가는 길’에서 발견해야 할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데미안이 싱클레어에게 해준 “우리들 속에는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하고자 하고, 모든 것을 우리들 자신보다 더 잘 해내는 어떤 사람이 있다”는 조언에 들어있는 ‘어떤 사람’입니다.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통해 이 존재를 발견하게 됩니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처음에는 구원자로 다가오고 그 후에는 정신적 우상이자 스승, 그리고 친구로 변모합니다. 싱클레어는 자신과 차원이 다른 인물이었던 데미안을 점차 싱클레어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한 실례로써 자각하게 됩니다. 데미안이 싱클레어 내면에 존재하는 바로 ‘그 사람’이었던 것입니다. 이 변모는 싱클레어가 자기 내면에서 ‘데미안’을 발견하고 그것과 하나 되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이 마무리는 소설의 끝이기도 합니다.
“이따금 열쇠를 찾아내어 완전히 내 자신 속으로 내려가면, 거기 어두운 거울 속에서 운명의 영상들이 잠들어 있는 곳으로 내려가면, 거기서 나는 그 검은 거울 위로 몸을 숙이기만 하면 되었다. 그러면 나 자신의 모습이 보였다. 이제 그와 완전히 닮아 있었다. 그와, 내 친구이자 나의 인도자인 그(ER)와.”
<데미안>은 진정한 ‘자신에 이르는 길’을 상징적이고 생생하게 표현한 수작입니다. 진정한 자신, ‘자신 속에 있는 뛰어난 존재’와의 만남과 합일은 10대와 20대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관심사입니다. 더불어 이 존재의 구체적인 모습은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에서 이 관심사는 개인의 고유한 주제이기도 합니다. 이것이 10대와 20대 뿐만 아니라 자기실현의 길을 걷고 있는 모든 이들과 <데미안>을 나누고 싶은 이유입니다.
* 오늘 소개한 책 : 헤르만 헤세 저, 전영애 역, 데미안, 민음사, 2009년
* 홍승완 트위터 : @SW2123
* 교육 안내
구본형 변화 경영연구소에서는 ‘사자로 사는 법 - 평생직업으로 가는 필살기 창조 프로젝트’에 참가할 2기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책임과 의무의 고단한 ‘낙타의 삶’에서 차별적 전문가로 평생 일할 수 있는 ‘사자의 삶’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직장인 경력 혁명 프로젝트입니다. 구본형 소장이 정립한 ‘필살기 창조 모델’을 따라 쉽고, 명료하고, 강력하게 접근합니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하여 등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77 |
개같은 부모 되기 ![]() | 김용규 | 2010.08.05 | 3738 |
976 | 이성과 상상이 연애할 때 [2] | 문요한 | 2010.08.04 | 3409 |
975 |
영웅을 벨 칼은 영웅의 내부에 있다 ![]() | 승완 | 2010.08.03 | 3369 |
974 |
코발람에서 보내는 편지 ![]() | 신종윤 | 2010.08.02 | 3922 |
973 | 자신에게 주술을 거세요 [2] | 부지깽이 | 2010.07.30 | 3702 |
972 |
자갈밭 위에 피운 꽃 ![]() | 김용규 | 2010.07.29 | 4458 |
971 | 어느 날 나를 찾아왔어 | 문요한 | 2010.07.28 | 3500 |
970 |
인도에서 띄우는 편지 ![]() | 신종윤 | 2010.07.27 | 3169 |
969 |
신화, 삶의 지혜를 재밌는 이야기 속에 버무리기 ![]() | 승완 | 2010.07.27 | 3405 |
968 |
내 사랑은 눈이 하나 ![]() | 부지깽이 | 2010.07.23 | 4662 |
967 | 그녀가 안겨 준 고민 [3] | 김용규 | 2010.07.22 | 3045 |
966 | 순서를 바꿔보라 [1] | 문요한 | 2010.07.21 | 3339 |
965 |
역사와 영웅들의 세계로 유혹하는 책 ![]() | 승완 | 2010.07.20 | 3020 |
964 | 떨림을 따라가라 [7] | 신종윤 | 2010.07.19 | 4270 |
963 |
나를 사랑하라, 냉정한 여인이여 ![]() | 부지깽이 | 2010.07.16 | 4954 |
962 | 입구전략 [1] [1] | 김용규 | 2010.07.15 | 3091 |
961 | 그래도 가야 할 길 [2] | 문요한 | 2010.07.14 | 5429 |
» |
자기실현의 길을 걷고 있는 이들과 나누고 싶은 책 ![]() | 승완 | 2010.07.13 | 3182 |
959 | 상황을 다시 설계하라 [1] | 신종윤 | 2010.07.12 | 3372 |
958 | 농부는 죽을 때도 밭두렁을 베고 죽는다 [3] | 부지깽이 | 2010.07.09 | 35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