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5189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7월 14일 08시 04분 등록

“나는 산을 정복하려고 온 게 아니다. 또 영웅이 되어 돌아가기 위해서도 아니다. 나는 두려움을 통해서 이 세계를 알고 싶고 느끼고 싶다. 이 높은 곳에서는 아무도 만날 수 없다는 사실이 오히려 나를 지탱해준다. 고독이 더 이상 파멸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고독 속에서 분명 나는 새로운 자신을 얻게 되었다. 고독이 정녕 이토록 달라질 수 있단 말인가. 지난날 그렇게도 슬프던 이별이 이제는 눈부신 자유를 뜻한다는 걸 알았다. 그것은 내 인생에서 처음으로 체험한 흰 고독이었다. 이제 고독은 더 이상 두려움이 아닌 나의 힘이다.”
 

- 라인홀트 메스너의 <검은 고독, 흰 고독> 중에서 -

nanga_parbat_kinoplakat_gross.jpg

---------------------------------------------

 

1970년 산악인 라인홀트 메스너는 히말라야 주봉 가운데 하나인 낭가파르바트 등정길에서 사랑하는 동생을 잃어버립니다. 하지만 시신조차 찾지 못한 채 하산을 하게 됩니다. 이후로도 그는 산 때문에 많은 것을 잃게 됩니다. 동료의 죽음, 발가락 절단, 아내와의 이혼 등등. 하지만 그럼에도 그는 산을 떠나지 못합니다. 오히려 힘들수록 산을 오릅니다. 그리고 1978년에는 8,000m가 넘는 낭가파르바트의 무산소 단독등반에 나섭니다. 무모해 보이는 그의 도전에 많은 사람들이 왜 그렇게 산에 오르느냐고 묻습니다. 그는 대답합니다. “내가 산에 오를 수 없게 될 때, 그 때는 이미 내가 아닙니다.”

 

그는 산소기의 도움도 없이 최소한의 등반도구만을 가진 채 정상에 한 발 한 발 올라갑니다. 그리고 정상에 가까워지면서 지금껏 맛보지 못한 깊은 안식을 만나게 됩니다. 오랜 시간동안 자신을 괴롭혀 왔던  불안감에 가득 찬 검은 고독에서 벗어나 평안함으로 가득 찬 흰 고독과 마주합니다. 극한의 고독에서 오히려 존재의 확장을 체험하며 죽음까지도 이해하는 새로운 세계와 조우한 것입니다. 

 

메스너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우리에게도 각자 올라가야 할 인생의 산이 있습니다.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의 산이 있습니다. 그 산은 어쩌면 위험해보이고, 정상을 쉽게 허용하지 않으며, 때로는 혼자서 올라가야 할 절대고독의 산으로 보일지 모릅니다. 하지만 그 산을 올라가야만 우리는 진정한 자유와 새로운 자아와 대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그 산은 어렵고 두려워도 고독과 손잡고 가야할 곳입니다.

 

당신의 인생에 그 산은 무엇일까요?  


 


- 2010. 7. 14.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402호-


link.jpg




IP *.120.20.161

프로필 이미지
지금
2010.07.14 08:13:11 *.131.11.222

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철민
2010.07.14 08:21:42 *.114.22.75
고독은 희망입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글 감사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6 [화요편지]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내는 것만으로도 [6] 아난다 2021.12.21 1218
375 혁신에 속고, 열정에 울고 [4] 장재용 2021.12.21 1086
374 크리스마스의 행복 [2] 어니언 2021.12.23 1202
373 [용기충전소] 운을 불러오는 법 [2] 김글리 2021.12.24 1182
372 [월요편지 87] 내가 슬플 때 마다 꺼내 먹는 약 [1] 습관의 완성 2021.12.27 1508
371 [화요편지] 나에게로 '돌아오는' 여행 [5] 아난다 2021.12.28 1243
370 마지막 편지 [15] 장재용 2021.12.28 1511
369 생존을 위한 친화력 [2] 어니언 2021.12.30 1167
368 [용기충전소] 2021년을 함께 돌아보다 [5] 김글리 2021.12.31 1219
367 [월요편지 88] 4배수 법칙 [2] 습관의 완성 2022.01.03 1555
366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8] 어니언 2022.01.04 1375
365 [수요편지] 깨어남에 대해 [3] 김글리 2022.01.05 884
364 전환기가 다가온다 [2] 어니언 2022.01.06 922
363 [라이프충전소] 그냥 서툴게 시작해버려요 [2] 김글리 2022.01.07 946
362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2030년의 어느 날, 나의 하루 알로하 2022.01.09 1052
361 [월요편지 89] 자녀 습관에 관한 부모의 흔한 착각 [1] 습관의 완성 2022.01.09 919
360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무취미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오디션 프로그램!" [2] 종종 2022.01.11 926
359 [수요편지] 내려갈 때 보았네 [1] 불씨 2022.01.11 893
358 시련의 빛과 그림자 [1] 어니언 2022.01.13 788
357 [라이프충전소] 하나가 바뀌면 모든 게 바뀔 수 있다 [6] 김글리 2022.01.14 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