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7월 16일 07시 12분 등록


  "이보게, 나스타조. 나는 그대가 높은 가문의 한 여인을 사모하는 것 보다 더 열렬히 이 여인을 사랑했다오. 그런데 이 여인의 냉혹한 태도 때문에 절망하여 자살하고 말았다오. 얼마 후에 이 여인도 죽었다오. 나는 자살했기에 영겁의 죄를 받고, 이 여인도 살아 생전에 보인 잔혹함과 나의 고통을 기뻐한 죄로 심한 형벌을 받게 되었다오. 그러니까 이 여인은 내 앞에서 도망치고, 나는 옛날에 사랑했던 이 여인을 마치 원수처럼 쫓아가 나 자신을 찔렀던 이 칼로 여인을 찔러 죽인다오. 이 일은 매주 금요일 이 시간에 계속 되풀이 된다오. "

                                                     - 나스타조 이야기, '데카메론'의 다섯 째날 여덟 번 째 이야기


나스타조.jpg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산드로 보디첼리는 이 비극적 이야기를 '나스타조 델리 오네스티'라는 네 개의 연작 파넬에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나체의 여인이 도망치고, 그녀를 사냥하는 흰개와 검정개가 그녀의 허벅지를 물고, 그 뒤로 분노에 가득한 말을 탄 기사가 그녀를 쫓아옵니다. 그리고 이 장면이 배경을 바꾸어 반복됩니다. 기사로부터 끔찍한 보복의 이야기를 들은 나스타조는 자신의 사랑을 차겁게 거부하는 고귀한 집안의 아름다운 파올라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놀란 파올라가 나스타조의 구애를 받아들여 결국 둘은 결혼하여 잘살게 된다는 해피엔딩의 이야기지만 그림의 장면은 살벌하기 짝이 없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 끔찍한 그림이 당시 피렌체의 부호가 자신의 아들 결혼식 선물로 보디첼리에게 의뢰하여 그려졌다는 것입니다. 숨겨진 이야기를 모르면 그림은 해석되지 않습니다.

자기경영은 스토리입니다. 자신의 인생에 대한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어린 시절, 매일매일의 시간들은 세상에 대한 호기심 속에서 짜릿한 모험을 꿈꾸었으나 기다리던 '별일'은 생기지 않았지요. 그래서 학교 숙제로 써야할 일기에는 '아침 먹고 점심 먹고 저녁 먹고 잠잤다'는 기록 밖에는 남길 수 없었지요. 정말 그럴듯한 모험이 없는 인생, 끊임없이 같은 장소, 같은 사람들, 같은 일들 속에서 반복하여 살고 있는 우리가 어느 날 정말 이야기거리가 되는 멋진 일을 맞닥들이게 될 때, 그리하여 그것이 두고두고 내 인생의 이야기가 될 때, 삶은 풍부한 수량을 가진 강물처럼 깊은 비밀을 담고 흐르게 됩니다. 자기경영은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시간의 화폭에 담아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일 때문에 내 삶이 바뀌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당신에게는 어떤 멋진 일이 생겼는지요 ?

* 공지사항 : 7 월 24일과 25일 양일간 '사자로 사는 법- 직장인 필살기 창조 프로젝트' 가 진행됩니다. 
참가를 원하는 분들은  다음을 참고하여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bhgoo.com/zbxe/339795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나경
2010.07.16 09:18:30 *.131.41.34
아이들의 수다를 듣고 있으면 절로 웃음이 납니다.
우리아이들만 그런걸까 싶게..
아이들은 끊임없이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그걸 쏟아내느라 시끌벅적합니다.
저는 가끔 내 삶도 좀 무료하고 지루해졌으면 좋겠다 싶을때가 있습니다.
4년째 여행길에 있는 내 친구는
여행이라고는 떠날 줄 모르는 나더러 "일상이 늘 낯설어" 그런다더군요^^
자신의 스토리를 만들고 사랑하게 해 주는 소장님의 글을 통해 늘 힘을 얻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1.01.21 10:43:02 *.210.34.134

The western wedding gowns style for those who want a full-on fairytale look! No longer disparaged as a "meringue", this western bridesmaid dresses is favoured by celebrity and royal brides.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76 그 남자가 사는 법 [3] -창- 2017.07.08 1007
3375 백열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여름방학 [2] 재키제동 2017.07.28 1007
3374 절실함의 근원, 그리고 열정과 의지 [1] 불씨 2022.10.04 1008
3373 [내 삶의 단어장] 쵸코맛을 기다리는 오후 1 에움길~ 2023.05.01 1008
3372 월급쟁이의 자식 장재용 2020.04.21 1009
3371 [목요편지] 눈을 들어 숲을 보라 [1] 어니언 2021.02.25 1009
3370 할 때의 기쁨 김용규 2017.01.13 1010
3369 삶이라는 모험 [1] 어니언 2022.12.29 1010
336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신의 선물을 마신 사람들 2 file [3] 알로하 2019.04.05 1011
3367 자기 인생을 통째로 장악한 사람 한 명석 2016.10.19 1012
3366 가을 뒤안길 書元 2016.11.12 1013
3365 [수요편지 10- 피카소의 현실참여] [4] 수희향 2017.07.26 1013
3364 회사적인 너무도 회사적인 장재용 2020.06.30 1013
3363 [월요편지 127] 나는 왜 그 말이 상처가 될까? [1] 습관의 완성 2022.11.06 1014
3362 [월요편지 1] 설레이는 첫 번째 편지를 보내며 [3] 습관의 완성 2020.03.22 1015
3361 [수요편지] 가을 하늘, 그리고 삶의 의미 [1] 불씨 2022.11.15 1015
3360 [화요편지] 바다를 '나는' 여인들 file 아난다 2020.10.19 1016
3359 우리가 흙수저라고? - 네번째 이야기 [2] 제산 2017.03.26 1017
3358 캠핑 가보셨나요? [2] 어니언 2023.06.22 1017
3357 상호가 브랜드는 아니에요 이철민 2017.05.25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