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9월 3일 06시 28분 등록

  영웅 헤라클레스의 어머니는 알크메네다.   아버지는 제우스다.   제우스가 바람을 피워 난 인간 아들이 바로 헤라클레스인 것이다.   알크메네가 헤라클레스를 낳을 때 그 산고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제우스의 아내인 헤라가 그 출산을 막기 위해 '해산의 여신'을 매수하여, 괴롭혔기 때문이다.   해산의 여신이 문 앞에 앉아 두 다리를 포개고 두 손을 깍지 끼고 앉아 있으니 나오던 아이가 다시 들어가곤 했다.   알크메네에게는 갈란티스라는 충성스러운 금발의 하녀가 있었다.   그녀는 고통 속에 있는 알크메네를 도와주고 싶었다. 갈란티스는 문 앞에 앉아 있는 해산의 여신에게 가서 이렇게 말했다.

"누구신지 알 수는 없지만 저희 마님을 축복해 주세요. 알크메네 마님께서 방금 기도의 응답을 받아 옥동자를 낳으셨답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해산의 여신은 기겁을 할 만큼 놀라 팔장을 풀었다.   여신의 팔장이 풀어진 순간 알크메네는 아이를 쑥 낳아 버렸다.   속은 줄 안 해산의 여신은 웃고 있는 갈란티스의 머리채를 잡아 마당에 꿀렸다.   그리고 갈란티스를 황금빛 족제비로 변하게 했다.    입으로 거짓말을 했으니, 새끼도 입으로 낳게 했다.   주인의 고통을 풀어준 하녀는 이렇게 족제비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바지런하고 재빨랐다. 서양의 고대인들은 족제비가 입으로 새끼를 낳는다고 믿었다.

이 이야기는 재미있기도 하지만 슬픕니다. 누구를 도와준다는 것은 종종 본인의 불편과 희생을 감수해야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도와주는 것이 모두에게 기쁨으로 끝나는 경우면 최상입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을 도와주기 위해서 내가 슬픔을 져야할 때도 있습니다. 그 사람이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우리는 희생조차 즐거움 마음으로 감수합니다. 이때 희생은 헌신이 됩니다. 희생이 베푸는 사람의 인생을 닫는 것이라면, 헌신은 스스로 선택한 길에 충실함으로써 자신의 인생에 용감해 지는 것입니다.

자기경영은 헌신입니다. 한 눈을 팔지 않고, 그 일에 혹은 그 사람에게 사랑으로 의리를 지키는 것입니다. 파블로 카잘스가 한 말이 인상적입니다. 아흔이 넘어서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첼로를 연주하는 이유는 '평생 사귀어 온 친구 첼로에 대한 의리'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이 말을 상기할 때 마다 나는 즐거워집니다. 그리고 스스로 행복해 합니다. 나에게도 평생 의리를 지켜 헌신할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죽을 때 까지 그렇게 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그것이 무엇인지는 '잘 지킨 후' 아흔이 넘어서 말하겠습니다.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지금
2010.09.03 07:58:34 *.131.6.239

아흔 그 말씀 그 자리 미리 예약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9.03 08:27:06 *.10.44.47
그 때쯤엔 저도 일흔이 넘어 있겠네요.
꼭 지금 살아온 만큼 더 살아낸 그때쯤엔
저도 뭔가 할말이 생길 것 같습니다. 
사부님께서 제게 그 자리를 허락하셨다는 건
최소한 사부님에 대한 의리를 지켰다는 의미일테니까요.     ^^




프로필 이미지
2013.05.22 20:15:08 *.1.160.49

사부님 나빠요~!!

아흔까지 사시기루 하셔놓구...

아직 삼십년이나 더 남았다구요~!!  ㅠ.ㅠ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9.03 21:16:15 *.186.57.54
저도 자리 예약하나 해두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chanel vernis
2010.10.21 12:55:35 *.180.69.125
good
프로필 이미지
burberry replica
2010.10.28 11:53:10 *.95.18.152
good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56 상호가 브랜드는 아니에요 이철민 2017.05.25 1020
3355 [화요편지]영혼의 독립운동 [2] 아난다 2021.09.07 1020
3354 캠핑 가보셨나요? [2] 어니언 2023.06.22 1020
3353 어기적거리며 걷고 있다면 연지원 2016.10.24 1021
3352 역사는 처음이시죠? - 한국사 file 제산 2019.08.12 1021
3351 정의…3 사회적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1.03 1022
3350 [수요편지 7- 황금씨앗] [2] 수희향 2017.06.14 1022
3349 1000번 거절당한 작가의 이야기 file 제산 2017.07.31 1022
3348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7편) 차칸양 2017.08.15 1022
3347 [수요편지] 에어컨이 없어야 장사가 잘 된다 장재용 2019.08.14 1022
3346 [수요편지] 가을 하늘, 그리고 삶의 의미 [1] 불씨 2022.11.15 1022
3345 일흔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졸업여행 재키제동 2016.10.14 1023
3344 일흔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그림자 재키제동 2016.11.18 1023
3343 '아이템'을 생각하는 다섯 가지 방법 - 2 이철민 2017.06.08 1023
3342 [일상에 스민 문학] - ‘욱’하는 이방인 file 정재엽 2017.06.21 1024
3341 백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아버지와 베트남 [3] 재키제동 2017.06.23 1024
3340 [월요편지 27] 세상엔 나를 도와주려는 사람들로 넘쳐난다 [1] 습관의 완성 2020.09.27 1025
3339 목요편지- 여섯번째, 벚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3] 운제 2018.03.29 1026
3338 변화경영연구소 12기 연구원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2] 제산 2018.01.21 1027
3337 [라이프충전소] 부모님을 모시고 첫 해외여행을 다녀왔습니다 [5] 김글리 2022.12.03 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