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10월 8일 01시 24분 등록


   탄탈로스는 소아시아에 있는 프리기아의 부유한 왕이었고, 바람둥이 제우스의 많고 많은 자식 중의 하나였다. 그는 신들로 부터 천벌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불분명하다.  이유를 몰라서라기보다는 이유가 많아서 정작 어떤 이유로 그리 되었는지 잘 모르겠다는 말이다.  제우스가 사랑하여 곁에 두고 있을 때 신들로 부터 들은 비밀을 인간에게 누설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연회에서 불로불사(不老不死)의 신주 넥타르와 신들의 음식 암부로시아를 훔쳐 인간에게 주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는 신들을 시험하기 위하여 자신의 아들인 펠롭스를 죽여서 갈기갈기 찢은 후, 신들의 식탁에 올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신들은 이 불경을 즉시 발견하고 아무도 고기를 먹지 않았다. 다만 그 당시 딸을 유괴당해 넋이 나간 풍요의 여신 데메테르만이 아무 생각 없이 고기 한 점을 집어 먹었다. 신들은 갈갈이 찢겨진 펠롭스는 다시 살려 내었다. 그러나 데메테르가 실수로 먹어 버린 어깨 쪽 살 한 조각은 어쩔 수 없어 황금으로 기워 두었다 한다.

탄탈로스는 지옥 중에서도 가장 어두운 타르타로스에 갇혀 영원한 기아와 갈증에 시달리게 되었다. 그는 늪 속에 목까지 잠긴 채 서 있어야 했다. 머리 위로는 가지가 휘도록 탐스러운 열매로 가득한 과일 나무가 있고, 목 아래로는 맑은 물이 흐른다. 그러나 그가 손을 뻗어 과일을 따려하면 그 가지는 하늘로 올라가 손에 닿지 않게 되고, 고개를 숙여 물을 마시려 하면 물이 줄어 닿지 않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풍요 속에서 굶게 되었고, 가장 맑은 물을 앞에 두고 영원한 갈증에 시달리게 되었다.

자기 경영은 허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입니다. 보이는 것에 감탄하는 순간, 우리는 그것에게 사로 잡혀 영원한 갈증에 시달리게 됩니다.  현인들은 허상에 갇히지 않으려면 새의 시선을 갖는 법을 수련할 것을 조언 합니다. 높이 올라 전체를 보면,  미망에서 벗어나게 되기 때문입니다. 

괴테는 '시와 진실'에서 우리에게 새의 시선을 갖게 해주는 것이 바로 시(詩)라고 말합니다.
"시는 모래주머니를 단 우리를 열기구처럼 하늘로 높이 띄워준다. 그리고 땅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사람들을 높은 곳에서 내려다 보게 해준다"

의술이 육체를 치료하듯, 시는 허상에 대한 욕망으로부터 정신을 해방 시켜 줍니다.

IP *.160.33.18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36 [라이프충전소] 불안을 활용할 몇가지 방법 [1] 김글리 2022.09.24 1026
3335 변화경영연구소 12기 연구원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2] 제산 2018.01.21 1027
3334 '첫 경험', 많이 해보셨나요?(후편) [2] 차칸양 2017.09.12 1028
3333 [내 삶의 단어장] 담배 가게 아가씨 [2] 에움길~ 2023.08.14 1028
3332 [수요편지 5- 죽음편지 1] [2] 수희향 2017.05.10 1029
3331 [수요편지 8- 로욜라의 메타노이아] [2] 수희향 2017.06.28 1029
3330 내 점포 입지를 견고하게 하는 법 이철민 2017.11.09 1029
3329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한 여름에 즐기는 우리나라 와인 2 file 알로하 2019.08.18 1029
3328 [화요편지] 이만 요가하러 가겠습니다. 아난다 2019.12.10 1029
3327 모임을 즐기는 78억가지 방법 [1] 어니언 2022.12.15 1029
3326 백열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이탈리아 여행후기 [6] 재키제동 2017.08.25 1031
3325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없었다 [3] 김글리 2022.11.25 1031
3324 새로운 여행이 시작되었다 연지원 2016.10.17 1033
3323 화장실에서 겪은 자비 김용규 2016.11.17 1033
3322 머리를 아래로, 엉덩이를 위로 하는 사색 [1] 옹박 2017.07.10 1033
3321 [수요편지 4- 맨발의 면접여행] [4] 수희향 2017.04.26 1035
332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신들의 자손이 먹는 치즈-페타(Feta) [3] 알로하 2019.03.02 1035
3319 ‘시’로 말해요 – 두번째 이야기 [4] 제산 2017.04.24 1036
3318 [용기충전소] 자신만의 사막을 건너는 법 [4] 김글리 2020.08.28 1036
3317 어쩌다 그것이 된 우리는 김용규 2016.10.07 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