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11월 5일 04시 51분 등록


    잠의 신 솜누스의 궁전은 깊은 산 깊은 계곡 속 동굴 속에 있다.   햇빛이 하늘 가득히 퍼져갈 때도 그 동굴에는 해가 비치지 않는다.    새벽을 알리는 닭도 없고 잠을 깨우는 개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나이든 노신(老神) 솜누스는 흑단의 침대 위 깃털보다 더 부드러운 보료 위에 가물거리는 눈으로 누워 있다.    

   그에게는 여러 자식이 있는데 맏아들의 이름은 모르페오스다.    그는 많은 꿈의 신들 중 하나인데, 인간으로 둔갑하는데 능하고 사람의 흉내를 잘 내기로 유명하다.     특정인의 걸음걸이, 표정, 목소리등을 모르페오스처럼 완벽하게 흉내 내는 신은 없다.   그는  특정인의 옷차림,   그 사람이 즐겨 쓰는 말까지도 정확하게 찾아 쓴다.    그러니 꿈 속에서 누군가의 역할을 맡아 똑같이 행동할 때는 모르페우스가 활동하는구나라고 생각하면 틀림없다.    꿈 속에서 우리가 본 그 사람은 그 사람이 아니라 바로 모르페우스가 변신을 한 것이다.     

 누군가 거듭되는 간절한 소망을 품고 잠이 들면 잠의 신 솜누스는 언제나 모르페오스를 보내 인간의 꿈 속에 특정한 사람이 나타나 보이게 한다.

신화에 따르면 만사가 귀찮고 게으른 잠의 신 솜누스가 맏아들 모르페오스를 꿈 속으로 보내 특정한 사람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이유는 그 꿈을 꾸는 사람이 평소에 너무도 간절하게 그 사람을 보고 싶어 기도를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솜누스 신은 날마다 기도하는 사람을 싫어한다고 합니다.     날마다 기도 하면 너무도 귀찮게도 그 사람이 바라는 것을 꿈 속에서 보여 주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자기경영은 날마다 꿈이 이루어지도록 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  리하여 꿈의 신이 우리의 꿈 속에 나타나 그 꿈이 이루어진 모습을 보여주게 하는 것입니다.       이루어진 꿈을 먼저 보는 것, 신기하게도 그것을 본 사람들만이 그 꿈을 이룰 수 있습니다.     

  기도란 신을 귀찮게 하는 것입니다. 신에게 꿈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떼를 쓰는 것이지요.       꿈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신이 아닙니다.   바로 간절함이지요.   신은 그 간절함에 응합니다.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11.05 11:42:53 *.10.44.47
요즘 사부님을 제 꿈에 너무 자주 모시는 것 같아
살짝 죄송스러워하고 있었는데..
실은 솜누스 부자에게 미안해해야하는 거였군요.  ^^

근데 진~~짜 똑같았어요.  
그 모르페오스 덕에 넘은 고개가 몇 고개는 될겁니다.
비하인드 스토리를 알았으니 이제부터 '감사'도 그들에게 돌려야겠어요. ㅋ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16 더 나은 하루를 위한 여행 연지원 2016.11.21 1037
3315 2018 무술년의 새로운 시작, “어떻게 살 것인가?” [5] 차칸양 2018.01.02 1037
3314 [용기충전소] 한글날, 쉬어갑니다 file 김글리 2020.10.09 1037
3313 [월요편지 90] 유튜브 구독자 3,000명이 되면 생기는 일 [4] 습관의 완성 2022.01.16 1038
3312 일상에 스민 문학-대통령 후보 토론회와 고골의 <외투> file [2] 정재엽 2017.05.03 1039
3311 [월요편지 116] 부자가 되고 싶다면 이 습관부터 시작해 보세요 [2] 습관의 완성 2022.07.17 1039
3310 미리 크리스마스 書元 2016.12.10 1040
3309 우리가 ‘흙수저’라고? - 첫번째 이야기 [6] 제산 2017.02.26 1040
3308 여성 리포트 - 봄의 길목에 서다 書元 2017.02.04 1041
3307 [수요편지] 주인과 노예 장재용 2019.05.01 1041
3306 다시 회사로 [2] 어니언 2023.03.02 1041
3305 내 수익은 변화수용력에 숨어 있다 file 이철민 2017.09.14 1042
3304 [월요편지 10] 응, 괜찮아, 월급 받잖아 file 습관의 완성 2020.05.31 1042
3303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최종편) [6] 차칸양 2017.08.22 1043
3302 32년간 편지를 쓴 사나이의 이야기 [1] 제산 2017.07.03 1044
3301 목요편지 - 대나무 이야기 [1] 운제 2020.07.09 1044
3300 그림으로 말해요 – 두 번째 이야기 제산 2017.07.17 1045
3299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3편) 차칸양(양재우) 2017.07.18 1045
3298 글쓰기 공간 <브런치>에서의 3년을 돌아봅니다 [2] 차칸양 2018.07.10 1046
3297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스물한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1.18 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