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11월 11일 22시 29분 등록


    뮈스켈로스라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그의 꿈 속에 몽둥이를 둘러 맨 영웅 헤라클레스가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 당장 일어나라. 일어나서 네 아버지의 나라를 떠나 머나 먼 강, 자갈이 많은 곳으로 가거라" 그러더니 만일 이 말을 듣지 않으면 경을 칠 것이라고 협박하더란다. 잠을 깨고도 곰곰이 그 꿈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지만 그는 떠날 수가 없었다. 왜냐하면 그 당시의 법에 따르면 아버지의 나라를 떠나게 되면 사형을 받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 다음 날이 되었다. 헤라클레스는 또 그의 꿈에 나타나 또 같은 말을 하며 당장 떠나지 않으면 경을 칠 것이라고 위협을 하더란다. 연거푸 같은 꿈을 꾸게 되자 뮈스켈로스는 더 이상 머뭇거릴 수 없어 아버지의 나라를 떠날 차비를 하였다. 그러나 운이 나쁘게도 떠나지도 못하고 붙잡혀 재판에 회부되었다. 그 당시 사람들은 큰 항아리 속에 유죄면 검은 돌, 무죄면 흰 돌을 던져 죄의 유무를 결정했다. 무정한 사람들은 모두 검은 돌만을 항아리안에 던져 넣었다. 뮈스켈로스는 두 팔을 벌려 헤라클레스에게 탄원했다.

"오, 헤라클레스여. 12가지의 난사를 치르시고 이제는 천궁의 신이 되신 분이여. 나를 도우소서. 나를 이 꼴로 만든 이가 바로 신이시니, 나를 구하소서"

사람들은 항아리의 돌을 쏟았다. 검은 돌만 들어 있으리라 생각했지만 쏟아져 나온 돌은 모두 흰돌이었다. 기적이 일어난 것이다. 뮈스켈로스는 무죄로 방면되었고, 자신의 꿈을 따라 아버지의 나라를 떠나 이탈리아의 아이사르 강 어구에 그리스식 도시를 건설하였다.

자기경영은 같은 꿈을 반복하여 꾸는 것입니다. 처음 꿀 때는 그저 황당한 꿈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둘쨋 날도 같은 꿈을 꾸었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만일 그 다음 날도 같은 꿈을 꾸었다면 믿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의 모든 정신 작용은 그 꿈을 신의 도움과 계시로 인식하기 시작할테니까요. 매일 같은 꿈을 꾸다보면 꿈 속의 일을 믿게 됩니다. 그러니 같은 꿈을 반복하여 꾸다보면 그 꿈은 자연히 이루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것이 꿈을 이루는 방식입니다.

우리가 꿈을 이루어 가기 위해 전력을 다할 때, 사람들은 검은 돌을 던져 유죄를 만들어 가듯, 우리의 꿈의 어리석음을 지적할지 모릅니다. 위대한 꿈일수록 미치광이의 꿈과 흡사하니 더욱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대하다는 것은 바로 다른 사람들이 아직 보지 못한 것을 보았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옛날의 영웅들은 멀리 떠나 나라를 하나 세우는 것이 꿈이었나 봅니다. 21세기 영웅들의 꿈은 자신의 생각의 왕국 하나를 세우는 것입니다. 그것이 기업이든 행복 숲이든 정신과 병원이든 작은 목공소든 자연식 화장품을 파는 가게이든 상관 없습니다. 무엇이든 하고 싶은 분야하나를 정하고 그 분야의 창시자가 되는 것입니다. 직업 하나를 창조해 내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분야의 최초의 인물이 되는 것입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은 모두 그렇게 시작 했습니다.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김선화
2010.11.12 13:08:42 *.253.124.89
예~사부님!
꼭 그  하나를 찾아서 제 왕국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직은 그 왕국의 모습이 안개속이지만,제 왕국에서 살아보고 죽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사랑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16 어쩌다 그것이 된 우리는 김용규 2016.10.07 1037
3315 더 나은 하루를 위한 여행 연지원 2016.11.21 1037
3314 2018 무술년의 새로운 시작, “어떻게 살 것인가?” [5] 차칸양 2018.01.02 1037
3313 [월요편지 90] 유튜브 구독자 3,000명이 되면 생기는 일 [4] 습관의 완성 2022.01.16 1037
3312 [월요편지 116] 부자가 되고 싶다면 이 습관부터 시작해 보세요 [2] 습관의 완성 2022.07.17 1038
3311 일상에 스민 문학-대통령 후보 토론회와 고골의 <외투> file [2] 정재엽 2017.05.03 1039
3310 미리 크리스마스 書元 2016.12.10 1040
3309 우리가 ‘흙수저’라고? - 첫번째 이야기 [6] 제산 2017.02.26 1040
3308 다시 회사로 [2] 어니언 2023.03.02 1040
3307 여성 리포트 - 봄의 길목에 서다 書元 2017.02.04 1041
3306 [수요편지] 주인과 노예 장재용 2019.05.01 1041
3305 [월요편지 10] 응, 괜찮아, 월급 받잖아 file 습관의 완성 2020.05.31 1041
3304 내 수익은 변화수용력에 숨어 있다 file 이철민 2017.09.14 1042
3303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최종편) [6] 차칸양 2017.08.22 1043
3302 32년간 편지를 쓴 사나이의 이야기 [1] 제산 2017.07.03 1044
3301 목요편지 - 대나무 이야기 [1] 운제 2020.07.09 1044
3300 그림으로 말해요 – 두 번째 이야기 제산 2017.07.17 1045
3299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3편) 차칸양(양재우) 2017.07.18 1045
3298 글쓰기 공간 <브런치>에서의 3년을 돌아봅니다 [2] 차칸양 2018.07.10 1046
3297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스물한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1.18 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