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12월 10일 06시 02분 등록

은빛 발을 가진 여신 테티스는 거구의 절름발이 대장장이의 신 헤파이스토스를 찾아갔다. 헤파이스토스는 테티스의 손을 잡고 반갑게 반색을 하며 맞이한다.

"긴 옷의 테티스여, 우리 집에 웬일이시오? 존경하고 사랑하는 이여. 마음속 생각을 말해 주시오.
 내가 이룰 수 있고 또 이루어 질 수 있는 일이라면 기꺼이 이루어지게 하리다"

그러자 테티스는 아들 아킬레우스를 위한 무구(武具)를 만들어 주기를 요청했다. 방패와 투구와 가슴 가리개와 복사뼈 덮개가 달린 정강이받이를 흔쾌히 만들어 주기로 약속한 헤파이스토스는       '천둥 번개와 같은 풀무질'과 '불타오르는 담금질'을 통해 방패부터 만들기 시작한다.        다섯 겹의 청동판으로 만들어 진 방패 위에 그는 우주와 삼라만상을 빼곡이 새겨두었다.     평화의 도시와 전쟁에 휩싸인 도시를 새기고,  두 도시를 벗어나 리듬감있는 농촌의 한해살이를 묘사했다.    장식이 그려진 부분은 금이지만 밭고랑 하나는 매고 나서 농부들이 달콤한 포도주로 목을 축이자 방패는 진짜 밭처럼 검게 변했다.    헤파이스토스는 이 방패 위에 온갖 신기한 일들을 펼쳐 놓았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제 18장은 헤파이스토스가 여신 테티스의 부탁으로 트로이 전쟁 최고의 용사 아킬레우스의 무구를 만드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테티스는 헤파이스토스에게는 생명의 은인입니다. 헤라가 헤파이스토스를 낳자 너무 못생겨서 하늘에서 집어 던져 버려진 것을 바다의 여신 테티스가 받아서 9년 동안 보살펴 주었으니까요. 대장장이의 신 헤파이스토스가 만든 이 무구는 당시 최고의 보물이었지요.      나중에 트로이 전쟁에서 아킬레우스가 전사한 후, 그리스 용사들 중에서 이 무구를 서로 차지하기 위해 험한 설전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결국 오딧세우스가 차지하게 됩니다.     무구를 함께 다투던 용사 아이아스는 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하게 되지요.      그만큼 훌륭한 무구는 용사들이 아끼고 탐내는 보물입니다.

자기경영은 '천둥번개과 같은 풀무질'이며, '불타오르는 담금질'입니다. 헤파이스토스가 작업하는 과정을 가장 잘 표현하는 상징어들입니다.     바로 자신의 예술 세계 하나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묘사한 것입니다.    예술은 그림이나 조각 혹은 음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구석구석에 깃들어 있는 정신을 말합니다.     온 마음으로 몰입하여 헌신하는 모든 것은 예술적 경지에 다다르게 됩니다.    빵을 반죽하고 굽는 것,   김치를 담는 것,   소채나 꽃을 가꾸는 것, 책을 쓰는 것이 모두 같습니다.    매일 반복하고, 몰입하고, 혁신하는 것입니다.

헤파이스토스의 작업장은 신들의 거처 중에서 가장 지저분한 곳입니다. 불길의 열기와 혼동 속에서 그는 늘 땀으로 잔뜩 더렵혀져 일에 몰두합니다.    무엇을 만들어 내는 현장은 온갖 재료들이 널려있고,    정돈되어 있지 않으며,  일하는 사람도 쉴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마다하지 않습니다.  만드는 과정에 있다는 것은 바로 그런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불굴의 헌신을 거쳐 완성된 것만이 훌륭한 작품이 됩니다.    사람들이 다투어 갖고 싶은 보물은 이렇게 만들어 집니다.    나와 그것이 하나가 되는 것, 그것이 바로 특별한 차원에 이르게 되는 변함없는 원칙이기 때문입니다.

IP *.160.33.21

프로필 이미지
aion gold
2010.12.14 23:25:33 *.21.129.8

There are many ways to make Aion gold in Aion. Here I want to talk something about farming. I think it is a good way to make Cheap Aion gold. It is a proper and easier way for you to make Buy Aion gold from us.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4 공감하는 인간,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 file [4] 승완 2011.01.04 6335
1073 세 번 가슴을 친다 [13] [1] 부지깽이 2010.12.31 4134
1072 내 삶은 무엇을 짓고 있는가? [8] 김용규 2010.12.30 3151
1071 삶의 기울기를 바꾸는 작은 힘 [6] 문요한 2010.12.29 3432
1070 발레리나 강수진과 10년의 법칙 file [8] 승완 2010.12.28 3576
1069 말은 적게 삶은 더 많이 [1] 부지깽이 2010.12.24 3444
1068 삶을 비추는 거울 [3] 김용규 2010.12.23 3076
1067 단순함으로 나아가고 있는가 [3] 문요한 2010.12.22 3391
1066 다산 정약용의 가르침 file [2] 관리자 2010.12.21 4070
1065 어려울 때 함께 하고픈 사람 [5] 신종윤 2010.12.21 3224
1064 경쟁이란 무엇인가 ? [1] 부지깽이 2010.12.17 5059
1063 자립하는 삶을 일궈내는 법칙 file [2] 김용규 2010.12.16 10362
1062 꼭짓점을 찾아 삼각형을 만들어보라 [1] 문요한 2010.12.15 3011
1061 나는 나를 혁명할 수 있다 file [2] 승완 2010.12.14 3584
1060 구멍가게가 살아남는 법 file [1] 신종윤 2010.12.13 3808
» 천둥 같은 풀무질 [1] 부지깽이 2010.12.10 3239
1058 내가 인간과 사람을 구분하는 법 [4] 김용규 2010.12.08 3390
1057 어둠속에 함께 있어줄 사람 [4] 문요한 2010.12.08 3403
1056 삶의 겨울, 가장 힘들지만 귀중한 선물을 주는 계절 file [13] 승완 2010.12.07 3153
1055 다시 배우는 삶의 고마움 [2] 신종윤 2010.12.06 3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