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804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0년 12월 23일 01시 13분 등록

 

지난 해에는 12월 중에 단 한 번도 강의를 나간 적이 없는데, 송년 모임의 양상이 달라진 탓일까요? 올해는 부르는 곳이 여럿입니다. 먼 곳에 갔다가 숲으로 돌아온 늦은 밤. 아궁이에 장작을 지피고 하늘을 바라봅니다. 음력 17일의 달이 마치 보름달처럼 빛나자 숲은 은빛으로 화답합니다. 숲 속 바위 솟은 언저리에선 부엉이 푸호오- 푸후오- 오두막의 개들보다 먼저 숲 떠났던 나를 반깁니다. 저잣거리의 한 해는 아름다운 조명 아래서 사위고, 나의 한 해는 푸른빛 품고 은색으로 빛나는 숲을 지키는 부엉이의 노래와 함께 저물어 갑니다.

 

올 한 해는 참 바빴습니다. 마을사람들이 함께 공부하고 밥 먹고 일하면서 부지불식간에 잃어가던 공동체 문화를 되살릴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계획을 만들고 정부를 설득하는 일이 내 몸을 차지했던 한 해였습니다. 한편 내년 이 곳에 숲학교를 짓고 도시의 지친 영혼들이 머물러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기반시설을 만드는 사업계획을 만들고 역시 정부와 주변의 지인,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설득하는 일이 내 마음 대부분을 빼앗은 한 해였습니다. 당연 딸 녀석과 함께 써서 마무리하기로 했던 어린이를 위한 숲이야기 책은 출판사 담당자의 속을 태우며 해를 넘기게 되었습니다. 초여름에 시작했던 청산도의 사람과 바람과 물과 풀과 나무의 이야기를 담을 책 역시 해를 바꾸어서나 탈고를 마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글 빚을 진다는 게 얼마나 마음 무거운 일인지 통감하며 연말을 보내고 있습니다.

 

새해 나의 삶은 역시 바쁠 것입니다. 숲학교를 지어야 하고, 숲 탐방로를 만들고 임산물도 심어야 합니다. 방문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체계적으로 홍보도 해야 할 것입니다. 정부가 지원하는 예산 8억 원에 더하여 스스로 부담해야 할 자금을 더 마련하기 위해 선한 투자자들을 조금 더 찾아 다녀야 할지도 모릅니다. 숲 속의 생활이 오로지 현재를 사는 방법을 터득하고 익혀온 시간이라고 자부해 왔지만, 지난 몇 날은 일이 내 삶을 휘두르더니 급기야 호되게 몸살을 앓게 만들었습니다.

 

아픔은 내게 있어 거울입니다. 나는 아픈 시간을 거울로 삼는 편입니다. 아픔은 나를 강제로 눕게 만듭니다. 고열에 몽롱해지고, 뼈마디가 쑤시며 한기가 느껴지면 외로움이 실존으로 찾아옵니다. 방법이 없습니다. 모든 통증, 심지어 외로움에게 나를 맡기는 게 최선입니다. 이윽고 몇 날 만에 회복되어가는 몸과 정신 속에서 비로소 근자의 삶이 맑은 거울 위에 투사됩니다. 그간 느릿느릿 사는 것과 게으르게 사는 것의 차이를 구별 않고 살아왔던 것이 거울 위에서 들통이 납니다. 스승님 늘 말씀하시는 꾸준함에 나를 바치지 못한 일상도 아픔을 불러온 스트레스를 통해 폭로됩니다.

 

돌아와 달빛 아래 푸른빛 머금은 은빛 숲의 나목(裸木)들을 쳐다보다가 갑자기 부끄러워집니다. 달빛을 받은 가까운 숲의 나무들이 드러내는 형체가 참으로 또렷합니다. 나무들은 겨울 숲의 밤에서 조차 당당해 보입니다. 여름내 땅을 붙들고 잎과 가지를 키워 제 하늘을 지킨 성장의 증거들을 겨울 햇살 아래서도, 달빛 아래서도 거침없이 드러낼 수 있을 만큼 당당합니다. 아마도 저들에게는 하루하루의 삶을 비추는 거울이 있는 모양입니다. 나도 이제 새로 시작해야겠습니다. 매일 걷고, 쓰고 읽고 정돈하며 스스로를 비추는 일을 다시 시작해야겠습니다. 그래서 내년에는 빚지는 일을 만들지 말아야겠습니다. 아픔을 거울로 삼지 말고, 하늘 아래 드러날 내 육신과 영혼을 거울로 삼아야겠습니다.
IP *.20.202.217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10.12.23 08:09:20 *.64.107.166
많은 글빚을 지고 계셨군요.

저는 "말"빚이 얼마나 무서운가를 알게 해 준 한해였는데 말입니다.

새해에는 더 깊어지시고 더 느릿느릿하게 사실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새해에도 글로 많은 복을 지으시기를 ....
프로필 이미지
최정희
2010.12.23 13:59:06 *.153.252.66

반갑고 고맙습니다.
좋은 글이 고맙고 , 그곳에 숲이 오롯이 있음매 고맙고.

가끔 그 산방 그 숲이 그리웠어요.
그러나 아이들과 시간 보내랴.,  농(農)사 하는 분들과 저녁시간 보내랴
시간이 아쉬웠지만 그리워함만해도 행복했어요.

저는
농업인 연수와 더불어  교사들을 위한  농서(2권),  를 만들었어요.
농업에 대한 어설픈 이해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앞에 섬이 가끔은 
얼굴 붉어지지만  쉼없는 배움으로 미안함을 대신합니다.
새해에는  그 숲 향기 더 짙어지길  소망하며
백봉산 솔향기 실어 보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0.12.23 16:44:18 *.181.74.112
빚도 재산이라는 말...
그저,  집 한채 마련하려고 ..전전긍긍하는 속세의 사람들에게는 그나마의 위로입니다.

그 빚이 있어서....움직이게 되지요..
거꾸로 생각하면..살아가는, 움직이게 하는  힘입니다..
너무..채근하지 마시길~

실외온도 13도를 가르키는 울산의 도심에서~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6 멋드러진 인생 6막을 살아갈 그를 기대하며 file [2] 차칸양(양재우) 2017.04.25 1051
3275 마지막 출근을 마쳤습니다 [6] 차칸양 2017.12.12 1051
3274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2030년의 어느 날, 나의 하루 알로하 2022.01.09 1051
3273 [화요편지_어른의 공부] 경험의 재구성, 실패의 재구성 [2] 삶을 담은 하루 2023.04.11 1051
3272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할까 書元 2017.01.07 1052
3271 여성 리포트 - 생존기술 [1] 書元 2017.03.18 1052
3270 [월요편지3] 나이 때문에 멈칫 하는 당신에게 file [2] 습관의 완성 2020.04.05 1052
3269 [월요편지 14] 그들은 왜 매번 같은 옷을 입는 걸까? 습관의 완성 2020.06.28 1052
3268 [월요편지 128] 회사 다니며 부업으로 쌀국수 매장 2년 해보니 깨달은 것 [3] 습관의 완성 2022.11.20 1052
3267 [내 삶의 단어장] 멈춤, 언제까지 야반도주 [4] 에움길~ 2023.09.11 1052
3266 2017년 변경연 1차 출간기념회 연지원 2017.01.23 1054
3265 가족처방전 - 중학생 자녀가 공부는 하지 않고 책만 읽어요. file 제산 2018.01.15 1055
3264 [수요편지] 걷기예찬 [3] 불씨 2023.08.22 1055
3263 강남순 교수의 페미니즘 강의 후기, 첫번째 이야기 제산 2020.02.17 1056
3262 '나는 왜 더 잘하지 못할까' 자책하는 그대에게 [3] 장재용 2020.05.05 1056
3261 월급쟁이 탁월함에 관하여 장재용 2020.06.09 1056
3260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나비를 꿈꾸며… 1 file 알로하 2020.07.26 1056
3259 [월요편지 134] 은퇴 후에도 손 벌리는 자녀 등쌀에 벌벌 떠는 부모가 늘고 있는 이유 습관의 완성 2023.01.08 1056
3258 [일상에 스민 문학] 대한민국 시민 혁명 file [2] 정재엽 2017.05.17 1057
3257 아, 이런 기분이구나. 짤린다는 게.(후편) [6] 차칸양 2017.12.05 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