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3236
  • 댓글 수 8
  • 추천 수 0
2010년 12월 28일 13시 50분 등록

오랫동안 군무를 하며 기본기를 다진 것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군무는 여러 사람과 호흡을 맞추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사실 혼자 춤추는 것보다 어려운 점도 많거든요. 또 군무 따로 솔로 따로 여서는 좋은 작품이 될 수 없기에 군무가 솔로보다 못하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오랫동안 군무생활을 한 게 오히려 자랑스럽죠. 정말 중요한 건 거기서 배웠으니까요.
- 강수진, <당신의 발에 입맞추고 싶습니다>에서 재인용

이 말은 강수진이 1993년 1월 ‘로미와 줄리엣’ 공연을 끝내고 한 말입니다. 이 공연에서 그녀는 줄리엣 역을 맡으며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주역 무용수의 자리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주역 발레리나가 된 지 3년 후인 1996년 주역 발레리나 중에서도 최고의 자리인 프리마 발레리나가 되었습니다.

강수진은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발레리나입니다. 하지만 그녀가 오랜 무명 생활을 보냈다는 점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1993년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전까지 그녀는 7년간의 무명생활을 보냈는데, 이 시기는 그녀가 모나코 왕립발레학교에 입학(1982년)하여 선진 발레를 몸에 익히기 시작한지 10년이 흐르는 시점이었습니다. 그 10년 동안 그녀는 하루에 15시간 연습하고 한 해 평균 250켤레의 토슈즈를 갈아 치웠습니다. 한 번은 발레단의 물품 담당자가 찾아와
“(토슈즈를) 제발 좀 아껴 쓸 수 없겠느냐?”고 하소연을 할 정도로 그녀의 연습량은 엄청났습니다.

다르게 계산해보면 그녀는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에 입단(1986년)하고 10년 가량이 흐른 1996년 발레단을 대표하는 프리마 발레리나가 되었습니다. 이런 점을 보면 어떤 분야에서 톱 클래스의 위치에 서기까지 10년 정도의 끊임없는 노력과 연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누군가의 전성기에 환호하고 그때의 그 사람을 기억하지만 진정 중요한 시기는 그 전성기를 만든 준비의 기간입니다. 준비의 시간은 대부분 무명의 초라한 시절입니다. 그 시절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성과가 결정됩니다. 그래서 평범함에서 도약을 이뤄낸 사람들은 화려한 전성기보다 무명 시절을 더 자랑스러워합니다. 강수진은 세계적인 발레리나의 화려한 삶에 대해 묻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사람들은 발레리나에 대한 환상이 있지요. 우아하고 세련된 삶을 살 것이라는. 하지만 실상 발레리나의 삶은 무척 단조롭습니다. 연습하고, 밥 먹고, 잠자고, 다시 연습하는 거죠.”

강수진은 현재까지도 하루에 7~8시간씩 연습하고 매년 토슈즈 150켤레를 갈아 신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것이 일반적인 발레리나의 정년인 35세를 훌쩍 넘긴 그녀가 현재까지 프리마 발레리나 위치를 지키고 있는 이유입니다.

“여기가 끝이고 이 정도면 됐다고 생각할 때, 그 사람의 예술 인생은 거기서 끝나는 것이다.”
- 강수진

sw20101228.gif
* 장광열 저, 당신의 발에 입맞추고 싶습니다, 동아일보사, 2004년
* 홍승완 트위터 : @SW2123

IP *.237.95.132

프로필 이미지
나그네
2010.12.29 12:13:27 *.82.153.163
우와 꼭 읽어보고 싶은 느낌이 팍팍 듭니다~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0.12.31 00:56:19 *.237.95.132
^_^
프로필 이미지
요한
2010.12.31 10:20:25 *.131.5.207
나는 아직도 내 삶이 어디에 가닿을지 잘 모른다. 하지만 멈춰있지는 않을 것이다. 계속 흐를 것이며 언젠가는 바다에 가 닿으리라는 것을 나는 믿는다. 새해에도 계속 흘러가자! 승완아!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0.12.31 13:23:52 *.237.95.132
그래요, 형!
우리 매일 흘러가요 ^_^
프로필 이미지
해와 달
2011.01.01 23:29:59 *.30.169.208
저도 바다까지 흘러가 보렵니다.
바다의 세계는 또 어떤 세상일까요? 좋은 글에 감사 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1.01.02 17:21:45 *.237.95.132
네, 명희 님은 그럴 수 있을 거에요.
한국에 도착하셨는지요?
그렇다면 다음 주에 뵐 수 있으면 좋겠네요. ^_^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11.01.02 07:37:19 *.64.107.166
승완씨...

새해에 좋은 일 많이 생기길 바랄께요.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1.01.02 17:22:56 *.237.95.132
형, 말씀 편하게 하시기로 했잖아요.
저도 형의 새해에 건강과 축복이 가득하기를 기원할게요. ^_^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6 멋드러진 인생 6막을 살아갈 그를 기대하며 file [2] 차칸양(양재우) 2017.04.25 1051
3275 마지막 출근을 마쳤습니다 [6] 차칸양 2017.12.12 1051
3274 [화요편지_어른의 공부] 경험의 재구성, 실패의 재구성 [2] 삶을 담은 하루 2023.04.11 1051
3273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할까 書元 2017.01.07 1052
3272 여성 리포트 - 생존기술 [1] 書元 2017.03.18 1052
3271 [월요편지3] 나이 때문에 멈칫 하는 당신에게 file [2] 습관의 완성 2020.04.05 1052
3270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2030년의 어느 날, 나의 하루 알로하 2022.01.09 1052
3269 [월요편지 128] 회사 다니며 부업으로 쌀국수 매장 2년 해보니 깨달은 것 [3] 습관의 완성 2022.11.20 1052
3268 [내 삶의 단어장] 멈춤, 언제까지 야반도주 [4] 에움길~ 2023.09.11 1052
3267 [월요편지 14] 그들은 왜 매번 같은 옷을 입는 걸까? 습관의 완성 2020.06.28 1053
3266 2017년 변경연 1차 출간기념회 연지원 2017.01.23 1054
3265 [수요편지] 걷기예찬 [3] 불씨 2023.08.22 1055
3264 가족처방전 - 중학생 자녀가 공부는 하지 않고 책만 읽어요. file 제산 2018.01.15 1056
3263 '나는 왜 더 잘하지 못할까' 자책하는 그대에게 [3] 장재용 2020.05.05 1056
3262 월급쟁이 탁월함에 관하여 장재용 2020.06.09 1056
3261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나비를 꿈꾸며… 1 file 알로하 2020.07.26 1056
3260 [월요편지 134] 은퇴 후에도 손 벌리는 자녀 등쌀에 벌벌 떠는 부모가 늘고 있는 이유 습관의 완성 2023.01.08 1056
3259 [일상에 스민 문학] 대한민국 시민 혁명 file [2] 정재엽 2017.05.17 1057
3258 강남순 교수의 페미니즘 강의 후기, 첫번째 이야기 제산 2020.02.17 1057
3257 아, 이런 기분이구나. 짤린다는 게.(후편) [6] 차칸양 2017.12.05 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