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15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1년 1월 20일 01시 33분 등록

떠나시는 분의 연세가 아흔 가깝다고 들었습니다. 수년을 요양원에 계셨으니 넉넉하지 않은 자식들의 사정도 힘겨웠을 것입니다. 상주인 동네 형님으로부터 장자는 어머니보다 앞서 오래 전에 세상을 떴다는 이야기를 예전에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리하여 맏상주가 된 그는 쉰 살을 넘긴 노총각으로 당뇨와 합병증을 앓고 있습니다. 그는 마을입구에 살면서 백오산방 근처와 다른 곳에 남의 농토를 빌려서 작은 규모로 마늘과 감자, 옥수수 농사를 짓는 분입니다. 그는 올라올 때 마다 거의 매번 나의 오두막에 들르곤 하는데, 그때마다 나는 차를 타드리곤 했습니다. 배운 것이 많지 않으신 형님은 말투가 투박하지만, 퇴비 많이 써서 농사지으라는 당부를 하다가 당신 집안 사정 이야기를 할 때는 알 수 없는 분노를 비추기도 했습니다.

 

앞서 세상을 떠난 형을 대신하여 오늘은 그가 맏상주 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어제 장례식장에 갔을 때도 그는 예의 그 투박한 과묵으로 나를 대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눈과 얼굴 표정에는 여태 보지 못한 감정이 금새라도 터질 듯 그득차 있었습니다. 오늘 그의 얼굴은 심상치가 않습니다. 다가가 어깨에 손이라도 얹으면 절대 눈물을 보일 것처럼 생기지 않은 그가 아이처럼 울지는 않을까 애잔한 마음이 듭니다.

 

장지는 나의 오두막에서 400m쯤 떨어진 양지바른 밭 가장자리입니다. 상여는 당연 나의 산방으로 닿는 길을 거쳐 오르다가 제법 깊은 계곡을 건너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 장지에 닿을 것입니다. 비슷한 연세의 동네 할머니들이 마을입구에서 상여를 떠나 보내며 서럽게 곡을 합니다. 요령소리의 특별한 박자와 만가로 풀어내는 고인 생전의 애닯은 삶이 절묘하게 섞이면서 할머니들의 곡은 오열로 바뀝니다. 물리적으로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이웃 할머니들이 또래와 나누는 별리의 슬픔이 하도 깊어서 만가의 후렴을 부르는 내 가슴도 젖어오는 느낌입니다.

 

상여는 산방으로 오르기 위해 꼭 거쳐야 하는 노루재에서 멈췄습니다. 요령잡이의 의지인지, 아니면 상여의 앞머리에 선 상두꾼 형님들의 의지인지는 알 수 없으나 상두꾼 모두의 발이 제자리 걸음을 합니다. 잠시 뒤에 상여를 내려놓으라는 신호가 옵니다. 요령은 계속해서 울고 만가의 가사 속에서는 맏상주인 그 노총각 형님만을 열외로 하고, 차례차례 다른 자식과 며느리를 보자고 읊조립니다.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노루고개 넘어서면 다시오기 어려우니 자식얼굴 모두 보자며느리들 얼굴도 만나고 가자…” 가사 속에 녹여서 호명된 이들 모두는 상여 앞으로 나와 노자를 놓고 말없이 절을 합니다.

 

다시 요령잡이가 몸을 돌려 앞장을 서고 우리 상두꾼들은 박자를 따라 상여를 메고 출발합니다. 이윽고 산방으로 오르는 길과 장지로 향하는 갈림길을 지나 작은 계곡에 이르러 상여는 다시 멈춰섭니다. “이제 가면 못 오나니, 사위들 얼굴 모두 보자○○조카도 보고가자…” 요령잡이는 이미 순서를 준비라도 한 듯, 망자가 되어 그리운 이들의 얼굴을 불러 절하게 하고 있습니다. 살아서 다 나누지 못한 별리의 정을 떠나는 길 위에서라도 나누게 하는 이 과정이 없다면, 보내는 이들의 상실감은 더욱 크겠구나 생각했습니다.

 

죽음을 통해 누군가를 보내야 하는 것은 상실 중에 가장 큰 상실입니다. 어찌 보면 상실은 무언가를 잃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품고 살아야 하는 것을 뜻하는지도 모릅니다. 아직 완성하지 못한 그림, 아직 다 나누지 못한 사랑을 평생 이룰 수 없는 그리움으로 품고 살아야 하는 것, 그것이 상실의 맨 얼굴인지도 모릅니다. 장지가 지척입니다. 이제 곧 맏 상주 그의 상실감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IP *.20.202.217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11.01.20 04:30:36 *.64.107.166
장면 장면들이 눈에 그려지는군요.
프로필 이미지
선재
2011.01.25 11:06:20 *.64.86.121
안녕하세요 백오님, 대전 지윤 입니다. 글 잘 보고 있었는데 인사가 늦었습니다.
새벽에 어머님 꿈에 깨어나고보니 백오님 글이 더욱 마음에 내려앉습니다.
상실이란 그리움을 평생 품고 살아가는 것 ...  자자산방의 겨울 풍경이 궁금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16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1편)-어니스트 펀드 file [2] 차칸양 2017.09.26 882
1515 [수요편지 14- 새벽형 인간으로 변신] [2] 수희향 2017.09.27 972
1514 먼저, 정보공개서부터 확인하세요 [2] 이철민 2017.09.28 857
1513 백열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2017년 10대 풍광 재키제동 2017.09.29 970
1512 시장물건도 자신의 이름을 걸어야 한다 이철민 2017.10.05 1000
1511 기억의 회향(回向) 書元 2017.10.06 792
1510 수민이의 꿈을 응원하는 아빠가 [1] 제산 2017.10.09 1004
1509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2편)-레이니스트 [2] 차칸양 2017.10.10 799
1508 [수요편지 15- 명함없는 삶] [2] 수희향 2017.10.11 921
1507 자신에게 냉정한 통찰력을 발휘하라 [2] 이철민 2017.10.12 927
1506 백스무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소셜 마케팅 특강 [2] 재키제동 2017.10.13 834
1505 개들은 모르는 것을 보면 짖는다 옹박 2017.10.16 761
1504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3편) - 디레몬 [2] 차칸양 2017.10.17 873
1503 알아두면 쓸데있는 근거없는 계산법 1 [2] 이철민 2017.10.19 950
1502 백스물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용기 1그램 [2] 재키제동 2017.10.20 1128
1501 Business Tip - 진심 한잔 [1] 書元 2017.10.21 938
1500 '갈등'은 꼭 필요하다 제산 2017.10.23 826
1499 이제 막 인생2막에 발을 디디려는 너에게 [2] 차칸양 2017.10.24 860
1498 [수요편지 16- 스승님과의 공저] [4] 수희향 2017.10.25 900
1497 알아두면 쓸데있는 근거없는 계산법 2 [2] 이철민 2017.10.26 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