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1년 2월 25일 07시 21분 등록


"오늘 아침 아주 기분이 좋다. 미켈란젤로가 이미 죽은 사람이라는 것을 어제 알았기 때문이다"

    '톰 소여의 모험'으로 유명한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의 말입니다. 그는 로마를 방문한 후 감동합니다. 그리고 그 인상을 그만의 유머로 표현한 것입니다. 누구든 로마를 방문한 사람들은 그 장엄한 인류의 문화 앞에 압도당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마음의 눈이 날카로운 문인들과 예술가들은 더욱 그럴 수 밖에 없겠지요.

   특히, 로마의 어디를 가든,  미켈란젤로의 손길은 특별합니다. 30대의 젊은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예배당의 천장에 '천지창조'를 그려 넣습니다. 그리고 산 삐에트로 성당(베드로 대성당)의 돔을 설계합니다. 세월이 지나 60살의 미켈란젤로는 다시 시스티나 예배당 제단의 뒤쪽에 '최후의 심판'을 그려 넣습니다. 63세 때 그는 다시 교황의 요청으로 로마의 일곱 언덕 중의 하나인 캄피돌리오 언덕을 재개발합니다. 그가 만들어 놓은 계단을 오르며, 그가 축조한 언덕의 건축물들이 점점 확장되어가는 황홀함에 접어 봅니다. 86살의 노년에 그는 다시 교황의 주문으로 '천사와 순교자의 성모 마리아'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데이 마르틸리) 성당을 짓게 됩니다. 이 성당은 4세기 초 극심하게 그리스도교를 박해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목욕탕 위에 세워졌습니다. 고대 로마와 르네상스 의 융합을 상징하는 건물이기도 하고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이기도 해서 이 성당은 현대 이탈리아 정부가 국장의 장례식장으로 쓰는 곳이 되었다는군요.

아마도 예술가에게 바치는 최고의 찬사는 '신의 손길'이라든가 '신과 운명이 가장 사랑한 사람'등으로 표현되어 왔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예술가가 예술가를 표현하는 가장 진실한 찬사는 어쩌면 '당신이 죽어 주어서 정말 기쁘오'라는 말이 아닐까 합니다. 동종의 분야에종사하는 사람의 질투와 찬사와 절망과 의욕이 혼재된 가장 인간적인 찬사일 것입니다.

자기경영은 질투와 찬사입니다. 그것이 바로 창조적 에너지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인간은 불완전 합니다. 그 불완전함 속에서 완전에 대한 꿈을 열망하는 단명하고 슬픈 존재입니다. 그러나 그 운명이 아름다운 이유는 스스로의 모자람에 절망하고, 조금 나은 다른 사람의 재능에 질투하고, 스스로 이룬 작은 성취에 도취하고, 그리고 다시 그 미천한 성과에 실망하다 다시 누군가의 위대한 성취에 자극을 받아 다시 한 번 해보겠다는 의욕으로 가득 차게 되기 때문입니다.  나는 질투와 찬사를 가슴에 품고 로마에서 돌아 왔습니다. 그것이 내 여행의 기쁨이었습니다.

IP *.160.33.89

프로필 이미지
숨결
2011.02.25 11:29:45 *.7.108.122
"자기경영은 질투와 찬사입니다. 그것이 바로 창조적 에너지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질투와 찬사를 자기경영에 접목시키다니, 멋진 접목!
나는 질투와 찬사를 가슴에 품고 로마에서 돌아왔습니다.....우~와~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2.26 11:33:39 *.67.223.154
남도로 봄맞이 가신 선상님의 여행의 기쁨에 샘이 다 납니다.
<질투와 찬사> 그 훌륭한 감성들을 항상 키워내시니...그거이 더 부럽구요.

예술의 전당에 가서  <물처럼 바람처럼>   전시회 보고 왔습니다.
창암 이삼만 의 글씨가 100여점 가량...정성을 들여  걸어두었더군요.
공부 출세 결혼, 3가지 가 늦어 三晩이 된 후기 조선의 3명필중 한분이지요.

그곳에서 범해도 질투와 찬사를 불러 일으키며.... 자기경영을 새롭게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56 개인사를 관통하는 성장과 퇴화의 패턴 file 승완 2011.09.13 4047
855 자동차를 파는 스파이더맨 file [5] 신종윤 2009.03.09 4050
854 아이야, 미안하다 신종윤 2011.10.04 4051
853 신의 음성을 가진 멘토를 가질지니 [3] 부지깽이 2011.11.25 4051
852 호랑이의 도움으로 file [4] 부지깽이 2010.01.01 4052
851 나의 노래를 부르면 된다. file 최우성 2013.01.07 4052
850 얼굴 하얀 힘센 여인 file [2] 구본형 2009.02.27 4053
849 당신의 실력이 늘지 않는 이유 문요한 2011.05.18 4055
848 새들의 노래 소리가 듣고 싶다면 file [5] 김용규 2010.05.06 4058
847 음악이 다시 힘을 줄 것 입니다 [1] 구본형 2006.12.15 4061
846 올곧은 유연함 file [2] 김용규 2009.10.22 4063
845 성숙의 기회, 그림자와의 만남 file 승완 2011.11.15 4068
844 여러분, 감사합니다 [12] 관리자 2013.04.19 4068
843 낙엽, 그 간결함 [3] 구본형 2006.10.19 4071
842 문명은 모든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문명이어야 한다 부지깽이 2011.09.16 4071
841 태몽 혹은 인디언식 이름 [8] 구본형 2008.02.15 4072
840 훌륭한 역할모델의 전형, 파블로 카잘스 file [8] 승완 2010.02.02 4073
839 길이 끝나는 곳에서 다시 길은 시작하고 file [2] 문요한 2008.10.28 4077
838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변화가 필요하다 [3] 오병곤 2007.03.05 4080
837 낙과(落果)의 교훈 – One get, One lose file [12] 김용규 2009.07.30 4080